피지에 여행을 다녀오시고 피지 맥주를 잔뜩 사오신 어머니 덕분에, 가보지도 않은 동네의 맥주를 맛보게 되었다.

 

무려 피지 골드맥주, FIJI GOLD BEER. 이런저런 세계맥주를 마셔보긴 했지만 피지산 맥주는 처음인 거 같다.

 

 

국내에서 파는 데가 있으려나 싶을 정도로 레어한 아이템이니 기억해두려면 역시 사진사진. 황금맥주라 역시 금빛이 번쩍번쩍.

 

향도 강하고 고소하고 달달한 맛도 강한 것이 꽤나 술술 들어가는 맥주다. 병과 캔이 살짝 맛이 다른 거 같긴 한데,

 

전반적으로 그렇게 탄산이 강하진 않으면서도 시원하고 향긋한 목넘김이 좋다고 해야 할까.

 

맥주만 몇 모금 홀짝이며 캔 하나쯤 비우고 나서야 생각났다. 스페인에 다녀온 동생이 사온 하몽. 그 중에서도

 

도토리를 먹여 키운 암퇘지를 직접 손으로 포를 떠서 만들었다는 최고급 하몽이 하나 냉장고에서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 

 

 

맛있게 먹으려면 먹기 전 삼십분 정도 전에 미리 개봉해두라는 지시를 충실히 따르기 위해 맥주를 다시 한 캔 더 홀짝.

 

원래 하몽은 메론을 썰어서 같이 먹는 게 정석이긴 하지만, 여태 먹었던 것 중에 가장 맛있는 거 같긴 하다.

 

기름기도 적당하고, 쫀득이는 살의 식감도 훌륭하고, 게다가 그렇게 짜거나 질기지 않고 딱이다.

 

그렇게 캔을 몇 개 비우고, 병을 몇 개 비우고. 그제서야 병 윗도리에 돋을새김된 글자들이 눈에 밟힌다.

 

 

피지에 놀러가지 않는 한 언제 또 피지의 황금맥주를 먹어볼 수 있으려나. 스페인에 놀러가지 않는 한

 

언제 또 저런고가의 하몽-85그램들이 저거 하나에 삼만원 가까이 한다는-을 맛볼 수 있으려나.

 

 

그래도 한 번이라도 아쉬움없이 질펀하게 먹고 마실 수 있었으니 그쯤이면 만족할 만한지도 모르겟다.

 

 

 

 

 

 

 

뉴욕에서 돌아오는 길, 공항 라운지에서 맥주를 한 캔 마시는데 문득 병뚜껑에 시선이 갔다. 어라, 캔 뚜껑에서 왕관이 보인다.

 

아무래도 캔뚜껑에 이런 왕관 문양이 보이는 맥주는 처음인 거 같아서 새삼 맥주캔을 들고 요모조모 살펴보게 된다.

 

그러고 보니 발견한, 빨갛고 파란 성조기 색깔을 따서 만든 화려한 캔 디자인 외에 카피 한 줄이 눈에 띄었다.

 

KING OF BEERS, 맥주의 왕이라. 그런 의미로 맥주 캔뚜껑에 왕관을 얹어넣은 거엿다. 버드와이저.

 

 

국내에 수입맥주가 거의 눈에 띄지 않던 시절, 유일무이하다시피했던 수입맥주는 버드와이저였지만 사실

 

그 때는 공장이 국내에 있다던가, 뭐 여하한 이유로던가 맛이 그다지 인상적이거나 호의적이진 않았던 거 같다.

 

그리고 얼핏 외국, 혹은 미국 본토에서 제대로 사먹는 버드와이저의 맛은 그것과 다르단 말은 들었었는데

 

어쩌면 진짜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의 맛은 났던 거 같은 맥주.

 

 

 

 

 

시청 근처를 걷다가 문득 발견한 술집,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술집에 내걸린 황금색 플래카드가

눈에 번쩍 뜨였던 거다. 다름 아닌 '선토리 프리미엄'. 그것도 생맥주와 병맥주를 모두 판다는

소식에 완전 흥분해버리고 말아서, 가던 길도 제끼고 당장 들어가 앉아 각 일병씩 주문부터.

선토리 프리미엄, 일본에서 발견한 최고의 맥주.

선토리 프리미엄 캔맥주는 일본 여행갔을 때 발견해버린 최고의 맥주였는데, 병맥주나 생맥주도

그럴까 싶었다. 아무래도 생맥주는 좀더 가볍고 탄산이 진해 시원한 느낌이 강하고, 병맥주는

반년전쯤의 기억에 따르자면 캔맥주랑 비슷하면서도 살짝 다른 느낌? 그렇지만 역시 선토리는

선토리. 약간씩 미묘한 차이는 있었지만 역시 최고다.

그 전에도 정말 희소한 몇몇 주점에서 사적인 라인을 통해 수입해온 듯한 선토리 맥주를

팔지 않았던 건 아니다. 다만 공식적인 라인이 아니었기에 딱히 저런 배너같은 홍보물도

없었고, 이렇게 정식 수입절차를 밟은 명찰도 안 붙었던 거 같다. 물론 가격도 좀더 비쌌고.

여기서 파는 선토리 생맥주와 병맥주는 각각 만삼천원. 비싸긴 하지만, 기네스같은 프리미엄급

맥주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으니만치 만족이다. 값싼 거 두 잔 마시기보다 선토리 한 잔을

마시고 싶은 날도, 사람도 있는 거니깐.

주점 아저씨한테 물어보니까 정식으로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다만 시중의 마트 같은 곳에서도

팔릴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고 한다. 다른 맥주 업체들의 반발이 있다나, 해서 당분간은 이렇게

주점에서만 팔릴 거 같다는 말씀인데, 어디까지나 그 분 말씀이니 진위 여부는 확실치 않으니

좀더 추이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그런데 여기 발견하고 나서 보니 여기저기 배너가 내걸리고

하는 걸로 보아 일반 주점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두근두근.

언젠가 마트에서 선토리를 살 수 있는 그날이 오면, 냉장고 한가득 선토리 캔맥주만 쟁여놓고

마시는 그날을 꿈꾸며. 맛있게 마시는 방법을 공유! 맥주와 거품의 비율은 7:3의 황금비를

지켜서 따르기 위한 테크닉이 담겨 있으니 꼭 선토리뿐이 아니어도 다른 맥주를 마실 때

충분히 응용이 가능한 팁 되시겠다.






가끔 들르곤 하는 술집, 연말이 다가오니 가게 밖으로 온통 치렁치렁 꼬마전구들을 늘어뜨렸다.

가게 전체를 작고 따스해보이는 주홍불빛으로 감싼 느낌, 안으로 들어오니 그 불빛들의 기운이

온통 한 곳으로 집중되어 있다. 얼음상자 안에 즐비하게 꽂혀있는 세계맥주들이 반짝반짝.

사실 손님들이 잘 찾지 않거나 쉽게 구하기 어려운 것들은 메뉴판에만 존재하는 것도 많다.

이날따라 뭔가 안 마셔보던 게 땡겨서 이것저것 새로운 것들을 시도해보려 했지만 번번이

뺀찌먹고, 그냥 벨기에산 '스텔라 아르토아'랑 미국산 '허니브라운'.

벨기에 맥주는 레페브라운이니 뭐니 무얼 마시던 늘 만족하게 된다. 라거류가 되었건 에일류가

되었건, 기본적으로 전부 맛있는 듯. 스텔라 아르토아 역시, 라거답게 깔끔하고 시원한 맛이

느껴지면서도 쌉쌀하다기보다는 구수함에 가까운 그 향취가 좋다. 허니브라운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꿀이 들어갔는지 달콤한 맛이 강조되었긴 하지만 그렇다고 텁텁하진 않은 정도.

원래 맥주는 병으로 마시는 게 아니라 잔에 따라 마셔야 그 맛을 제대로 음미할 수 있다고 한다.

좋은 맥주는 그래서 맥주잔이 함께 제공되는 법인데, 스텔라 아르토아잔은 손잡이가 특이했다.

둥그렇게 배부른 유리잔 목부분이 슬쩍 깎여나가서는 저런 장식이 들어가서 오톨도톨, 잔을

쥐기에도 미끄럼없이 편한 거 같다.




알콜함량 4.6%, 호주의 대표적인 맥주 중 하나인 Foster와 같은 회사에서 나온 맥주인 듯.

VB가 뭐의 약자인지 자꾸 신경쓰여서 이것저것 추측해보게 만들고 있다.

Voice of Brasil? Victory of Baseball? Vibration of Baritone? V-shape of the Bushman?

이도 저도 아니면 Victoria Beckham? 빅토리아베컴 공식맥주 VB?

Whatever, 맥주는 은근히 맛이 강렬해서 살짝 소맥의 느낌이 풍기는 게 의외였다. 도수는 고작

4.6%인데 쌉쌀하거나 고소한 맛보다는 쓴 맛이 대세를 이루던 맥주.









@ 도쿄, 에비스.


일본의 칠복신 중 한 명이라는 에비스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에비스(EVISU)라는 맥주,

그 맥주 공장의 이름을 따서 에비스라는 동네가 생기고, 에비스 역도 생기고.


앞으로 세계의 맥주공장 견학을 다녀야겠다, 는 다짐을 하게 됐다. 아무래도 맥주는 맥주공장의 시음장에서

맛보는 게 최고인 듯.





어제 술자리에서 만난 새로운 맥주, 캐나다에서 왔다는 이 친구는 이름도 독특하다. 무스헤드.

Moosehead라니, 두껍고 넓은 뿔을 가진 사슴처럼 생긴 녀석이 전면에 모델로 나선 걸로 보아 아마도

저 녀석의 이름이 '무스'인 거 같다.

백과사전을 찾아보게 만드는 맥주라니, 뭔가 대단한 면이 있는 맥주. '무스(Moose)'라는 녀석의

우리말 이름이 더 대단하긴 하다. 무려 '말코손바닥사슴'이란다. 이런 호랑말코같으니, 할 때의

그 '말코'인 거 같긴 한데 정말 정면에서 본 이 녀석의 코 생김새가 말같이 길게 늘어지긴 했다.

맥주맛, 뭔가 굉장히 시원하면서 부드러운 맛. 호가든과 같은 느낌으로 목을 타고 내려가긴 하는데,

쟈스민향이 지워진 대신 좀더 쿨한 자극을 주는 허브같은 게 들어간 건 아닐까 싶은. 캐나다산

보드카니 위스키는 먹어봤지만 그러고 보면 캐나다산 맥주는 또 처음이었던 거 같다. 꽤나 깔끔한 출발.

앞으로도 이름을 기억해두고 가끔 먹어주겠어. 무스헤드. 말코손바닥사슴 대가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