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가족의 무슨 좋은 일이 있다거나 큰 일이 있을 때 따겠다고 아껴뒀던 돔페리뇽.

 

스파클링 와인의 대명사처럼 되어버린 프랑스 샴페인 지역의 대표적인 명주, Dom Perignon의 발음과 표기에 대해서는

 

마치 미국식 발음인 샴페인 대신 프랑스식의 샹파뉴가 맞다느니 왈가왈부가 있겠지만, 일단은 '돔 페리뇽'으로 통일된 듯.

 

차 트렁크에 넣어두고 서울에서 포항까지 달렸더니 자연스레 칠링을 되어서 선뜻하고 서늘한 유리병의 촉감.

 

유럽식 방패 모양의 라벨이나 세밀한 포도덩굴 그림, 색감이 고급스럽다.

 

 

 여느 와인들과는 달리 스파클링 와인의 경우 코르크마개가 굉장히 단단하고 압축적으로 박혀 있어,

 

한번 빼내고 나면 다시 꽂기도 힘들다. 마개를 처음 뽑을 때 힘든 건 말할 것도 없고. 코르크마개에도 새겨진 방패문양.

 

한 때는 이런 코르크 뚜껑도 다 모아놓고 그랬었는데. 부질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다 버렸다.

 

(습관을 버리다. 그리고 남은 것.)

 

이번에도 못내 아쉬워서 사진만이라도 남기겠다며 이리저리 굴려가며 사진으로 담는 중.

 

1999년산이라 그런지 코르크 마개의 절반 가까이 샴페인이 흡수되었다. 아무래도 집에서 보관할 때도

 

기포가 빠질까봐 눕혀서 보관했으니 저렇게 스며드는 게 자연스럽겠지만.

 

코르크마개, 그리고 철사로 된 와이어의 이중 안전장치. 그렇게 1999년부터 지금까지 유리병 안에서

 

잠자고 있던 돔 페리뇽의 맛은 못 전할지언정 색깔만이라도 전해야 옳겠으나, 펜션에 와인잔이 제대로 된 게

 

없어서 잔에 담긴 사진은 찍을 수가 없었다는 게 아쉬울 따름. 작고 가벼운 탄산방울이 보글보글했는데.

 

 

맛에 대해서는, 그렇게 상큼하고 산뜻하면서도 그윽한 후향이 남는다는 게 무척 인상적이었다..정도.

 

 

 그리고 이전에 포스팅했던, 쓰잘데기없이 모아놓기만 했던 와인 코르크마개들 사진을 다시한번.

 

 

 

 

대만여행 갔을 때 만났던 레스토랑 糖水, 알고 보니 홍콩에 본점을 둔 홍콩 브랜드의 레스토랑이었다.

 

대만과 일본에도 해외지점을 두었을 정도로 잘 나가는 레스토랑이라는데 전반적인 음식들도 괜찮지만

 

레스토랑 이름 그대로 달달한 디저트류가 특징적인 듯. 특히나 하트 모양 망고 푸딩이 탱글거리는 모습이란.

 

Noodles with Wontons in Soup. (45HK$)

 

Wontons with Spring Onions (66HK$)

 

Fried Flat Noodles with Beef in Satay Sauce (75HK$)

 

 

Steamed Egg Custard Buns (25HK$)

 

Steamed Prawns and Pork Dumplings (35HK$)

 

Chilled Mango Pudding (25HK$)

 

 

 

 

 

 

 

홍콩섬 썽완의 이름난 관광 코스로는 웨스턴 마켓, 캣 스트리트를 지나 만모우 사원과 근처 할리웃로드의 골동품 샵이나

 

앤틱샵, 각종 갤러리샵들을 구경하는 정도가 있을 텐데. 그 중에서도 놓칠 수 없는 건 과일의 왕 두리안 향기를 풀풀

 

풍기는 '허니문 디저트' 샵에서 '두리안 팬케잌' 혹은 '두리안 푸딩' 혹은 기타 열대과일 디저트들 맛보기!

 

웨스턴 마켓, 은 그렇게 크지 않은 오랜 붉은 벽돌 건물로 근 백년을 버티고 있는 상가 건물인 셈이다. 2층엔 옷감만 취급하는

 

샵들이 꽉 차 있고 3층엔 레스토랑이 있으니 크게 시간을 들일 공간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오랜 세월의 풍취가 남아있다.

 

 이런 옛 스테인드글라스의 느낌이 그런 것들 중 하나. 그리고 밟을 때마다 살짝 울림이 있는 듯 느껴지던 바닥재들도.

 

 여하튼, 웨스턴 마켓에서 절대 놓쳐서는 안 될 '허니문 디저트'!

 

메뉴판 가득 망고니 포멜로니 타피오카니 두리안이니 온갖 종류의 열대과일로 만들어진 디저트류의 향연이 펼쳐져 있었지만

 

관심사는 오로지 두리안, 두리안을 먹겠다는 목표 하나로 태국 여행을 갔던 적도 있으니 뭐.

 

짧지 않은 시간동안 두리안으로 만들어진 것 중에서 뭘 먹을까 고심하다가 고른 건 '두리안 팬케잌'.

 

포크로 살살살 절개한 단면을 따라 황금빛 두리안의 크리미한 속살이 생크림을 잔뜩 묻힌 채로 두둥.

 

싸여있을 때는 살짝 후각 세포를 노크하던 수준의 두리안 향기가 불끈, 온몸을 강타하기 시작했다. 냐항.

 

요리조리 열심히 두리안 팬케잌을 감상하고 감사하고 향기를 맡는 나를 보며 같이 갔던 직장 동료가 그랬다.

 

먹는 걸 이렇게 열심히 찍는 모습은 처음 본다나. 당연하지, 이건 두리안으로 만든, 가공하거나 말린 게 아니라

 

두리안 생물이 가득한, 두리안 향기와 과즙과 맛이 그대로 살아있는 두리안 팬케잌이니깐!

 

그래서, 야곰야곰 먹으면서 점점 홀쭉해지는 녀석을 아쉬워하면서 동시에 두리안의 향기가 몸속 가득 포섭된 데에

 

더할 나위없이 만족하기도 하면서 완전 몰입해서 먹어버리고 말았다는.

 

뭐, 이건 별로 눈길도 안 갔지만 그래도 예의상 찍어준 사진 하나. 올챙이알 같은 타피오카가 잔뜩 들어간

 

열대과일 플러스 녹차 아이스크림이었는데, 나쁘진 않았지만 역시 두리안이 최고.

 

그리고 다시 힘내서 캣스트리트로 걸어 올라가는 길. 웨스턴 마켓 옆길에는 트램 정류장도 바로 붙어 있고 MTR역도 있으며,

 

홍콩의 어디를 막론하도 돌아다니는 2층버스 덕분에 더욱 풍경이 이국적으로 보이는 것 같다.

 

 

 

 

이태원에 갈 때마다 늘 지나치는 골목, 늘 눈여겨보는 간판. 하필 오늘따라 그득그득 채워진 쓰레기봉투가 간판 양쪽을

가린 채 잔뜩 나와있었다. 아프리카 음식점이라니 대체 어떤 맛의 음식을 파는 걸까, 친절하게도 요리 하나하나 사진과

제목이 적혀 있는 메뉴판같은 간판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뭐 하나 가늠해 볼 수가 없다.

이 곳의 아프리카 음식점을 꼭 한번 와봐야겠다고 맘먹은 지는 사실 오래되었지만, 궁금증 만큼이나 왠지모를 주저함도

적잖았던 게 사실이다. '아프리카 음식'에 대한 막연한 궁금증, 또 그만큼이나 막연한 거리감이랄까. 음식점은 2층,

그 위 3층에는 고시원. 저기 사는 사람들은 한번씩 맛이라도 봤으려나. 아무래도 아프리카 음식은 대중화되고 세계화된

다른 지역의 음식들에 비해 그 고유하고 독특한 맛을 타협하지 않고 지켜내고 있을 거 같다.

기세좋게 문을 열고 들어섰다. 안에는 온통 깜깜..;; 검은 분들이 마치 동네 사랑방처럼 둘씩 셋씩 모여앉아 못 알아들을

언어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고, 한국인 따위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한쪽 벽면에 조그맣지만 단호하게 액자에 넣어져

걸려있던 사업자등록증이니 그런 서류들에서 보이는 낯익은 한글의 분위기 말고는 온통 낯선 이국의 분위기. 순간

나이지리아 쯤 되는 아프리카 어디메로 휙 순간이동해버린 듯한. 저 아프리카분들도 이런 분위기에서 위로받고 싶어

이 '해피홈'에 찾아오는 것이겠구나 싶었다.

이런 곳에서 괜히 카메라를 들고 여기저기 찍어대는 것도 민망한 짓이다. 그들의 일상, 그들의 '해피 홈'에

침입해서는 일일체험 증빙샷이라도 남기듯 마구 사진을 찍어대고 훌쩍 떠난다는 건. 그렇게 생각은 했어도

워낙 사방이 신기한 거 투성이라 가만히 있기가 좀이 쑤셨다. 흡사 여행을 떠나온 듯 방방 떠오르는 공기.

테이블 위에 놓여 있던 물비누 뽁뽁이랑 핸드로션의 용도가 뭘까 궁금했는데, 궁금증은 이내 풀렸다.

Grinded Rice, Gari, Pounded Yam, Fufu with Egwusi Soup이라는 길고 긴 이름을 가진 메뉴와 Joll of Rice라는

볶음밥 비슷한 걸 주문했다. 생각보다 많은 양에 놀랬고, 주문한 음식들과 함께 나온 분홍빛 양동이에 놀랬다. 손으로

음식을 먹고 마지막에 저 양동이에 담긴 물에서 손을 씻으라는 의미. 사실 다른 아프리카인 손님들에겐 전부 기본으로

주어졌던 이 양동이 대신 우리 테이블엔 스푼과 포크가 제공됐지만, 괜히 특별대접받고 싶지 않아 손으로 먹겠다고

양동이를 달라 했던 거다.

아프리카 원주민들의 생활을 다룬 다큐멘터리 같은 걸 보면 하얀 쌀가루나 나뭇가루 같은 걸 물에 개어서 떡처럼 해서

먹는데, 이게 바로 그거랑 같은 거 같다. 얌..이라던가. 생각보다 풀기도 없고 미끈한 느낌, 그야말로 '무미'해서 아무런

맛이 느껴지지 않았다. 옆에 스프를 찍어 함께 먹는 건데 의외로 손을 사용해서 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요런 식. 프랑스 사람들이 빵을 손으로 떼어 돌돌 말아서 먹듯이, 알아서 적당량을 떼어 손으로 매만지곤 스프에 찍는다.

보통은 작은 경단만한 사이즈로 만드는 거 같던데 옆에 앉았던 커다란 검은아저씨 한 분은 무슨 새송이버섯만한

기둥을 만들어서 왕창왕창 씹어드시더라는. 손으로 먹는 재미에 스프가 말라붙을 때까지 떼어먹었고, 양이 많다

걱정하던 볶음밥까지 다 먹어버렸다. 볶음밥은 꽤나 맛있었는데, 돼지껍데기나 힘줄살들이 푸짐하게 들어간 게 역시

뭔가 색다른 면모가 분명히 있었지만 이 커다란 하얀 덩어리를 손으로 떼먹는 재미앞에선 오히려 평범했달까.

냉장고에 쟁여둔 음료는 뭐, 별반 다를 것 없는 사이다, 콜라, 미란다..이런 거였는데 그런 사이에서 불쑥 눈에 띄던

음료 하나가 있었다. 말타고야, 라는 신기한 이름의 음료. 그냥 딱 보기에 맥주지 싶어서 주문하고 보니 논-알콜의

어린이 음료.;;;;

끈적하고 달콤한 카라멜시럽 맛이 생생히 살아있던, 마시고 나면 목이 마른 그런 류의 음료지만 나름 아프리카 음식하고

먹으니 잘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고.


음식을 다 먹고 가게 문을 열고 밖으로 나왔더니, 문득 낯설다. 아프리카에서 한국으로 어느새 돌아와버렸다.





어느 날, 퇴근 후 송년회를 빡시게 가졌던 다음날 내 방 책상 위에서 발견된 중국산 와인. 때이른 산타클로스

놀이는 혈관 속에서 맥놀이하는 알콜 성분과 저질 체력 덕에 가능했으리라고 보는 게 합리적이겠지만, 왠지

나는 이 와인병이 무슨 별똥별처럼 우주에서부터 내 방 책상위로 내려앉았다고 상상해 보고 싶은 거다.

중국에서도 와인을 만들었단 말인가, 새삼 중국 대륙의 힘을 느끼면서 거의 새 것과 다름없이 코르크만 한번

열렸다 닫힌 듯한 와인 맛을 음미해보기로 했다. 중국과 프랑스의 조인트 벤처 와이너리에서 만들었다는

무려 '다이너스티' 와인인 거다. 라벨지 색깔도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붉은 계열이고.

라벨 뒤, '다이너스티DYNASTY'의 중국어 표현, '왕조'. 중국 톈진지구에서 만들어졌다는데 거기가 포도 재배

그리고 와인 숙성에 적합한 지역이었는지는 미처 몰랐다. 왠지 자꾸 의심병이 도지는 이유는, 공항 면세점에서

파는 마오타이주조차 메틸알콜로 만들곤 한다는 그네들에 대한 불신과 일종의 '두려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와인은 포도로 만든 건 확실하겠지? 유통기한이 지났다거나 상한 포도로 만들었다거나 제조 과정이 지극히

비위생적이라거나 따위 온건하고 상상가능한 거 말고, 예컨대 포도가 아닌 붉은 색 돼지간으로 만들었다거나,

(그저 상상일 뿐) 알고 보니 헌혈의 집에서 폐기된 붉은 피를 재활용했다거나(워워워)...


중국에 대한 악감정이 있는 건 아니다. 고량의 냄새를 좋아하고 고량주를 좋아하며 중국제품도 사실 굉장히

품질이 높고 좋은 제품이 많다는 건 이미 알고 있지만, 그냥 상상해 보면 그렇다는 거다. 중국에서 나온 와인,

한국에서 복분자니 뭐니 이러저러한 것들로 와인을 빚어놓은 것도 꽤나 의심스러울 때가 많은데 더더욱

요모조모 생각해 보고 조심하게 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사실 맛만 좋으면 된다. 그치만 코르크 마개를 따고 확 풍기는 냄새는 살짝 매콤한 냄새, 어릴적 우뢰매를 보러

자주 갔던 어린이대공원 근처에서 곧잘 맡았던 최루탄을 백분지일 정도로 희석시킨 냄새랄까. 잔에 따라서

비춰본 와인의 색깔도 그닥...살짝 갈색이 도는 붉은 빛, 게다가 공기와 닿아 향이 좀더 숙성되면서 매캐한

냄새는 좀더 강해져 버렸다. 맛 역시, 라벨에 소개된 것처럼 light하고 fruity하다기보다는 그냥 가볍게 맵다.


좀 많이 실망해서, 담부터는 술에 취해도 제대로 먹을 수 있는 걸 챙겨오자고 대오각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