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남지 입구에서부터 펼쳐지는 범상찮은 풍경. 한껏 늘어진 버드나무 아래 그늘처럼 동그랗게 드리워진 돌섬,

그리고 떨어지는 햇살을 가득 받고 있는 연잎들로 가득차버린 연못.

아직 해가 스물스물 올라오는 아침나절, 비스듬히 내려꽂히는 햇발인데도 땀방울이 굵어졌다.


저너머 보이는 선화공주와 서동의 인형, 궁남지는 서동의 홀어머니가 그의 아버지(라 주장되는) 용과 교합하여

서동을 가진 장소라는 전설이 서려 있다고 한다. 그 서동이 신라에 염탐하러 갔다가 발견한 게 선화공주.


국적과 신분이 달라 헤어질 수 밖에 없었던 두 사람, 함께 하기 위해 지어 불렀다는 서동요의 가사말을 이렇다.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서 서동도련님을 밤이면 몰래 안고 잔다"는, 다소 망측한 가사. 공주로서의,

여자로서의 자존심이나 조심스러움을 무릅쓰고 사랑하는 이와 함께 하겠다는 선화공주, 그녀를 더욱 빛나게

만드는 노랫말. 하긴 뒤집어 생각하면 어쩌면 의도치 않게 공주 전문 파파라치쯤에 노출되어 부끄러움을

못 견디고 신라에서 백제로 망명한 건지도.


궁남지 한 가운데에 섬을 만들어 기슭과 다리로 연결해 두었다. 기슭의 벤치에 나란히 앉아 신선이 노니는

저 섬을 구경하면 한나절은 후딱 지날 듯 하다.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도 모른다지만, 신선들의 '방장선산'을 향해 죽어라 풍악만 울리다가 툭툭

생명이 다해 떨궈지는 매미들.




대학 다닐 때, 갑갑증을 못 이기고 덜컥 버스 터미널에서 무작정 부여로 향했던 때가 있었다. 낙화암이나 용케

기억해 내어 둘레둘레 돌아보다가 궁남지 이 다리 위에서 하염없이 앉아있었던 기억. 마침 비가 왔댔다.




무지개가 살짝 서린 분수대. 그때도 분수가 있었던가. 뭔가 포말처럼 잔뜩 머릿속에 엉겨붙었단 느낌에 어디로던

나가서 바람을 쐬고 싶었던 거 같다. 여기를 다녀오고 나서 머릿속에 드라마틱한 무지개가 떠오르진 않았지만,

그래도 덕분에 부여라는 이름이 꽤나 낭만적이고 포근한 뭔가가 되었다.

서동과 선화공주가 빗자루로 환생했다면, 아마 이들이 아닐까. 굉장히 다정하게 서있는 한 쌍의 빗자루.

약간 크고 빗자루 숱도 많은 왼쪽 녀석이 서동, 약간 작고 아담한 데다가 숱도 단정한 오른쪽 녀석이 선화랄까.

"선화공주 빗자루는 남몰래 빗질하며 서동빗자루를 밤이면 몰래 털어준다." 정도로 노랫말을 바꿔 불러주면

둘의 못다한 사랑이 빗자루로 태어난 이번 생에나마 이어질 수 있을까.




새끼 오리가 무섬증도 없이 사람들 앞길을 이리저리 가로지르며 종종걸음을 친다. 그 재빠른 발놀림이나 발랄한

움직임은 태생이 그런 거지 딱히 겁을 집어먹어서는 아닌 거다. 평화로움 게이지에 플러스 십 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