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Reuters has published its list of the best photographs taken in 2012, a massive collection of 95 powerful images showing different events that have occurred around the globe over the past year. In addition to large photos, descriptions by the photographers, and the official captions, each image is also accompanied by information about the equipment and settings that were used to capture it.

Photography enthusiast and Reddit user hallbuzz decided to copy, paste, sort, and tally all 95 EXIF data entries, and published a list with the ranking of cameras, lenses, and settings used.

Another user named mathiasa then took that list and turned the data into a series of charts. They offer an interesting glimpse at how some of the most powerful photographs recently captured by photojournalists were snapped:

 

Cameras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cameras2

 

Prime Lenses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prime2

 

Zoom Lenses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zoom2

 

Shutter Speed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shutterspeed2

 

F-Stop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aperture2

 

ISO

The Most Popular Cameras and Settings for Reuters 2012 Photos of the Year iso2

 

 

A single photograph captured using the most popular equipment and settings (for Reuters’ top 95 photos of 2012) would be shot using a Canon 1D Mark IV with a 16-35mm lens attached, set at 1/320s, f/2.8, and ISO 200.

 

(via Reuters via Reddit)

 

 


Update: mathiasa has released an updated series of charts here. We’ve updated the charts in this post with the new versions.


Image credits: Photographs by Reuters, charts by mathiasa

 

 


Read more at http://www.petapixel.com/2012/12/02/the-most-popular-cameras-and-settings-for-reuters-best-photos-of-the-year-2012/#yZeLtfPBmStefVvm.99

하늘에서 본 지구, 어떻게 보면 굉장히 간단한 컨셉일 수도 있겠다. 헬기나 기구를 활용해서 남들이 확보하기 어려운

거리를 두고 지구상의 풍경과 사람, 사물들을 사진에 담아낸다는 건. 가까이서 보았을 때 미처 한눈에 잡아내지 못했던

전체적인 이미지라거나, 흉물스럽고 무질서해보이기만 하던 덩어리에 특정한 패턴이나 리듬감이 느껴질 수 있으니까.

게다가 멀리 떨어져서 보면 웬만하면 다 이뻐 보인다는, 그런 식의 말도 있으니 '하늘에서 본 지구', 항공사진이란

장르는 어느정도 먹고 들어간다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얀 아르튀스-베르트랑의 전시는 역시 기대했던 것만큼, 아름다웠다. 그의 사진들은 기껏해야 지면으로부터 1-2미터

떨어진 곳으로부터 바라볼 뿐인 인간의 시선으론 좀체 가닿지 못할 그런 풍경들을 담고 있었다. 그야말로 '신의 눈'.

고도 30-3,000미터 사이에서 촬영되었다더니 그 높이란 건 정말 사람이나 자동차, 섬이 콩알 만하게 보일 만큼의

높이여서 꽤나 신선하고 새로운 각이 잡혔던 거 같다. 게다가 1990년 이래 110개국이 넘는 나라를 돌아다니며 삼천시간

이상을 비행했다고 하니 뭔가 담을 거리를 찾는 작가의 발놀림은 굉장히 부지런했던 셈이다.


그렇지만 그의 작품들을 더욱 빛나게 했던 건 단순히 아름다움을 좇거나 풍경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으려는 의지랄까

그의 마음이 사진들에 담겨 있다는 게 느껴졌기 때문인 거 같다. "하늘에서 본 지구", "하늘에서 본 한국", "인간의 친구-동물"

그에 더해 영화감독 뤽 베송과 함께 촬영한 "HOME"이란 동영상까지 총 네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전시를 보고 있으면,

지구의 생태가 어떻게 일상적으로 인류로 인해 더럽혀지고 있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가 얼마나 아름다운 공간인지,

지구가 품고 있는 생명들이 얼마나 다종다기하고 서로 다른지에 대한 애정이 물씬한 시선을 따르게 되는 거다.


각종 광물과 대리석을 캐는 채석장에서 흘러나오는 화학물질로 범벅된 기이한 색상의 물줄기들이 거친 선의 추상화처럼

황토빛 대지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거침없이 선을 그어놓는가 하면, 말려놓으려 걸어둔 바닷가 청록색 그물들은

중첩된 채 캔버스에 거칠하게 붙여둔 텍스쳐같은 설치미술품 같기도 하고, '꽃보다 남자'에서 나왔다는 그 누벨칼레도니의

하트 모양 표식은 도무지 자연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믿기지 않을 만큼 정교하고 섬세하게 장식적이고. 그런가 하면 직접

키우고 있는 말이니 돼지니 양 같은 동물들을 가슴에 품고, 사랑스럽게 껴안고 사진을 찍은 농부들의 그 표정이라니.


흔히 "지구는 인류가 후대로부터 빌려 쓰는 곳"이란 표어를 생각없이 말하지만, 얀 아르튀스는 그 이상을 말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 지구는 인류의 '가정(HOME)'이다, 인류와 온갖 동식물과 생명들이 함께 모여사는. 그런 메세지를

전달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이 전시의 수익금은 전부 환경기금 및 국제 어린이 기아기금 등에 전달된다고 하니

꼭 한번 가보라고 추천해주고 싶다. 이런 높이를 확보한 채 세계를 찍은 사진을 본다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좋을 듯.



* 전시는 서울시립미술관 본관(2,3층), 2011.12.15~2012. 3. 15일까지.

www.하늘에서본지구.net







* 19세 이하에게 유해한 정보(사진 등)가 포함되어 있다 하여 강제 비공개처리된 후, 약간의 수정과

사진 자체 검열을 통해 재발행하는 '유르겐 텔러' 사진전. 그의 전시는 19금이 아니었다.



대림미술관의 전시를 언젠가부터 빠짐없이 보고 있다. 최근만 해도 폴스미스, 디터람스, 이번에

유르겐텔러의 전시까지. 그는 무려 10년동안 마크 제이콥스의 광고사진을 찍기도 하고 각종

다큐멘터리 작업도 하는 등, 딱히 상업사진가라거나 예술사진가라는 식의 단순한 도식에

포섭되는 인물은 아닌 거다. 원래 전시를 보러가서 작품을 찍어오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

그의 사진들을 보며 내가 다시 재촬영하고 싶다는 욕구가 무럭무럭 생겨버렸다. 

유르겐텔러의 이번 전시회, 'Touch Me'를 소개하는 브로슈어의 소개된 두장의 그림은

위의 마크제이콥스 광고사진과 이 문어 사진. 아마도 마크제이콥스의 상품들을 탐닉하다못해

쇼핑백 안에까지 박박 긁어들어간 빅토리아 베컴을 보여주고 싶었던 듯한 첫째 사진과

침대 위에서 여덟개의 다리를 흐느적대며 쉼없이 꼬아대는 문어를 보여주는 두번째 사진은

묘하게 겹치는 구석이 있는 거 같다. 침대 위 문어는 굉장히 섹슈얼하면서도 강렬한 느낌. 



(사진)


그의 사진들은 거침이 없다. 주저없이 드러내고 거침없이 희롱하는 느낌이다. 심지어 그는

임신한 부인의 만삭의 배 위로 자신의 성기를 드리운 채 사진을 찍는다. 그의 몸을 사진으로

담아내며 그는 스스로 포토그래퍼의 '권력'을 내려놓고 피사체로 평등해지는 건 아닐까.

 

(사진)

여성 모델이 그럴듯한 그랜드 피아노에서 연주를 하는 사이, 그는 또다시 옷을 벗고 피아노

위에 올라가 넓은 등판을 통해 피아노 소리를, 울림을 듣고 있다. 자신의 적나라한 신체를

아낌없이 보여주면서, 귀로 듣는 게 아니라 온 몸으로 듣는다는 게 어떤 건지를 보여주려는 듯.



(사진)


도슨트의 설명에 따르자면, 이 사진은 어린아이의 돌사진 같은 포즈를 요청하여 찍은 것이란다.

비슷한 포즈, 비슷한 표정이라지만 너무도 이질적이고 위화감마저 조성되는 풍경, 아마도 그는

이런 식의 불편함을 불러일으키고 좋아하는 건 아니려나. 뭔가 쿨하게 드러내고 표현에 거침없다

싶으면서도, 그의 사진은 은유와 유머가 가득하단 느낌이다.

아무래도 사진을 찍으면서 모두가 바라는 건 그런 거 아닐까. 이미 잔뜩 소모되고 익숙해져버린

풍경에서 뭔가 새로운 느낌, 낯선 시선을 공유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이런 사진인 거다.

지상에 존재할까 싶은 생명체의 모습같기도 하고, 영화 '괴물'에 나왔던 녀석의 모형같기도 하고,

그런데 알고 보면 바나나를 긴 혀로 휘감아 삼키려드는 순간의 코끼리였다는 반전.

이번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touch me', 그 제목은 사실 이 사진 어디엔가 숨어있는 그 문구에서

비롯했다고 한다. 터치 미. 옷을 전부 챙겨입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 팬티만 입은 한 남자가 다소

멍하고 방심한 표정을 짓고 있는 거다. 그리고 그의 팬티에 그려진 손모양과 간단한 문구.

묘한 광기가 떠도는 듯한 눈빛 위로 거꾸로 쓴 왕관, 길가의 가로수 나무라도 꺽은 듯 엉성하고

약해보이지만 구부정한 자세를 용케도 버텨주는 나무지팡이, 옆에 변기와 맞물려 왠지 냄새나고

더러운 오물일 거라 짐작-기대되는 거뭇거뭇한 흔적들이 묻는 그의 몸. 


(사진)


그녀의 강렬한 눈빛에 이끌렸던 시선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츰 내려가는 순간, 또다른 눈이 하나

나를 지켜보고 있었다. 외설적인 느낌보다는, 활짝 열린 그곳으로부터 도리어 관찰당하는 느낌.

엄마아, 엄마아, 엉덩이가 뜨거워. 정도? 다큰 성인의 몸뚱이라지만 다 벗은 몸에서 풍기는

분위기는 한없이 유약하고 부드럽고, 또 추워 보이는 거다. 난로를 들이대니 오히려 더

추워보이는 느낌이 더해진 걸까.

저런 생생한 표정, 맥주가 터져서 거품이 질질 흐르는 순간이다. 할아버지는 당황한 듯 입을

벌린 채 병을 쥐곤 (공교롭게도) 그의 노쇠한 성기가 있을 위치에서 두 손이 굳었고, 할머니는

그야말로 경악하며 한 손으로 그 광경을 가리려 애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대림미술관 2층, 3층을 한 바퀴 돌고, 몇몇 맘에 들던 작품들 다시 한번 보고 나서 도착한 곳은

유르겐 텔러와 함께 작업했던 모델, 유명인들이 그에게 던진 질문들이 벽면 가득 적혀있던

미디어룸. 원래는 하나하나 답하려 했다고 하나, 무려 102개의 질문이라 그러지 못해 미안하단

유르겐의 쪽지가 가운데에 적혀있었지만 질문들이 전부 유르겐을 비춰주는 거울 같아서

찬찬히 읽어보는 재미가 있었다.

1층에 전시되어 있던 유르겐 텔러의 그 거대한 쇼핑백. 사람들에게 일종의 포토존 역할을 하는

저 쇼핑백 뒤에서 해보고 싶던 건 사실 물구나무를 서던가 해서 다리 두개만 번쩍 노출시키는

거였는데. 보는 눈이 많아서 참았다..랄까. 여하간, 사진을 나도 저렇게 멋지게 찍고 싶다고

잔뜩 파이팅을 충전해서 돌아왔던 전시였다. (2011. 4. 15 - 7. 31, 대림미술관)






#0.

처음 '코르다 사진전'의 사전광고가 코엑스몰 인근에 쫙 깔렸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띄었던 건

체게바라의 사진이었다. 무슨 사진전인지 몰랐지만 체게바라의 얼굴을 앞세워 그 이미지를

팔아먹으려는 또 하나의 시도인가 싶으면서, 대학 내내 가방에 달고 다니던 체게바라의 배지를

두고 아버지가 했던 말이 떠올랐다. 요새 애들 그저 다들 멋져보이니까 하나씩 달고 다니지.

맞네 아니네 다투기보다 그냥 묵묵히 있기로 했었다. 체를 좋아하고 체로 대변되는 혁명정신이

좋은 거고, 난 호치민과 로자와 레닌의 생애와 지향이 좋은 거라고 말하고 싶었었다.


사실 내가 대학에 들어간 99년, 그리고 이삼년후 갑자기 '체게바라 평전'이 출간되고 영화배우

문소리가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며 방송에서 이 책을 소개했던 이후쯤 한국 사회에 나타난 체의

얼굴은 마치 68혁명 이후 미국에서 체를 '자본주의적으로' 소모하는 것과 딱히 다를 것이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는 잘 생겼고, 획득했던 학력자본과 문화자본을 과감히 포기했으며,

쿠바를 끝내 혁명하는데 성공하고는 다시 제3세계로 달려가 그야말로 '세계혁명'의 야망을

품었던 사람이니, 그런 팬덤을 불러일으켰단 건 사실 지극히 자연스러울 수도 있겠다.


#1.

코르다사진전, 아마도 '코르다'라는 사진작가의 작품전인가 본데, 아무래도 그가 '체게바라와

쿠바'의 사진으로 이름을 알렸나보다, 그걸로 어필하려는가보다 하고 좋게 넘어가주기로 했다.

사진전 첫테마는 그의 스튜디오. 쿠바에서 광고사진으로 잘 나가던 그의 작업공간을 보여주고

있어 체게바라는 역시나 미끼였나 싶었지만, 이후 보여준 두번째 세번째 테마를 거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리더들', '민중'이라는 이름의 두세번째 테마에서 보였던 건 쿠바 혁명을 지도하던 카스트로와

체를 비롯한 다른 전사들의 긴박하고 웅장한 혁명 활동과 나른하고 깨알같은 일상의 모습들.

그리고 그들과 함께 눈높이를 맞춘 채 광장을 가득 채워 혁명을 지지하고 환호하는 사람들의

모습이었다. 특히 피델 카스트로, 털이 북실북실한 그는 여전히 '미국의 골칫덩이' 쿠바를

지켜내며 농업중심의 산업사회, 복지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는데, 젊은 날의 그 역시 왕성한

열정과 패기로 새로운 쿠바를 만들어가고 있었던 것.


#2.

그 중에서도 가장 맘에 남았던 것은, 쿠바 어딘가를 여행하던 피델이 사탕수수밭에 그야말로

'철푸덕' 소리나게 주저앉아 쉬던 풍경. 그 격의없는 인간적인 모습이 참 매력적이었다. 사진

곳곳에서 드러나는 피델의 인간적인 면모는 소탈하면서도 적극적이고, 뜨거우면서도 차가운

눈빛을 지닌 그런 사람. 이렇게 허름한 입성으로 아무렇게나 몸을 던지며 남들 보기에는

무모하기만 했던 쿠바 혁명을 이루어낸 사람이니, 대중의 사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아니,

그런 대중의 사랑을 등에 업을 만큼의 그릇이었던 덕분에 혁명도 성공시킨 거일려나.


그러고 보면 사실 코르다의 이번 사진전에서 '체게바라'를 전면에 내세운 건 역시 일종의

낚시, '피델 카스트로와 쿠바' 코르다 사진전이라고 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도록 그는

피델과 가까웠고 그만큼 많은 사진을 남겼던 거다. 피델이 소련에 방문했을 때도 함께 했고,

그가 기지개를 켜거나 잠을 잘 때도 늘 사진을 남길 수 있을 만큼 가까웠던 사이였다니

사진작가로서 그의 이력엔 커다란 축복이었을 터.


#3.

사실 그는 모나리자 다음으로 전세계에서 많이 복제된 체게바라의 얼굴사진을 찍은 작가니까

그의 이력에 미친 공험으로 따지자면 피델이나 체나 오십보백보. 코르다는 그들과 같이

혁명쿠바의 세례를 받은 아이들이라 하는 것이 공정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코르다가 전하는

체에 관한 짧막한 일화 하나가 소개되어 있었고, 다시금 체를 사랑하게 되고 말았다.

체, 당신이 쿠바에서 최초로 만든 사탕수수 수확기를 운전하는 모습을 찍으러 이 먼 시골까지

왔어요. 코르다 당신은 사탕수수를 수확해본 적 있나요? 아뇨, 솔직히 농사일은 한번도. 그럼

일주일동안 칼을 들고 직접 수확을 해 본 후에 내가 수확기를 운전하는 사진을 찍도록 하죠.


그렇게 일주일 후에야 찍었다는 이 사진. 체는 드디어 쿠바의 농업에 과학을 접목해내었다는,

사람들의 고된 노동을 기계로 대체하게 되었다는 감격을 사진에 온전히 담고 싶었던 것이리라.

책상물림하는 도시 인텔리와 일반 노동자, 농민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모두가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추구하던 그에게는 코르다에 대한 그런 요청이 자연스럽고도 꼭 필요한 것이었다.


#4.

그가 광고사진으로부터 사회에 대한 관심이 묻어나는 사진을 찍게 된 건 나무토막을 인형처럼

소중하게 품에 보듬고 있는 꼬마여자아이를 만나고 나서라고 한다. 아바나 교외의 어느 시골로

사진을 찍으러 갔을 때, 카메라를 총처럼 들이대는 낯선 이의 방문에 놀란 아이는 저 나무토막을

쓰다듬으며 괜찮아, 괜찮아 다독거렸다고 했다. 코르다는 저 사진을 찍으면서, 혹은 찍고 나서

무슨 생각을 한 걸까. 그 아이의 세상은 광고 속 화려한 환타지와는 달리 윤택하지도 풍요하지도,

최소한 공정하거나 안전하지도 않은 사회였다고, 문득 미안해진 걸까.


체게바라를, 피델 카스트로를, 쿠바를, 새삼 2010년의 한국에서 여러 장의 사진으로 늘어놓는

이유가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게 굳이 이 시점에 이 공간에서 이런 전시를 하는 목적이자

문제의식일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큐레이터가 어떤 식으로 기획했던 간에, 백이면 백 모두들

자기만의 방식으로 사진전을 읽어내고 감동을 남겨가겠지만, 나의 버전은 그렇다. 체의 그럴듯한

껍데기, 피델의 (알고보면) 역시 그럴듯한 껍데기를 볼 게 아니다. 화보사진같이 멋지지는 않지만

그들이 함께 나섰던 행동의 순간, 역사의 먼지를 털고 다시 한번 그들의 이미지 뒤에 숨은

가치와 자유 정신을 봐야 하지 않을까.


#5.

체게바라가 남미의 정글에서 정부군에 살해당하기 직전에 했던 말이라고 한다. "I know you have

come to kill me. Shoot, coward! You are only going to kill a man." 마찬가지로 그는 코르다와

피델 사이에 서서 이렇게 경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You are only going to see a celebrity!"


사실 체를 좋아한다 해서 모두가 총을 들고 제3세계 정글로 달려가 괴뢰정부를 전복해야

한다거나 당장 사회에 기생하는 기득권세력을 척살해야 하는 것도 아닌 거다. 체의 시대와

지금의 시대는 이미 달라졌고, 권력은 일부 키맨에 쥐어진 게 아니라 전체 시스템에 뿌리내려

있기 때문이다. 다만 짙은 쌍꺼풀의 털많은 젊은 백인남성 '체'을 알고 좋아하고 이해하는 만큼

그보다 훨씬 오랜 삶으로 신념을 증거하고 생활을 변혁시킨 외꺼풀의 쪼글쪼글한 동남아남성

'호치민'도 알고 좋아하고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랄 뿐. 그리고 그들과 같은 열정으로 지금 세상을

바꿔내려 '계란으로 바위치기'하는 사람들을 알고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래 본다.




그래도 일요일 오후, 육천원짜리 전시를 보았으면 사진찍는 솜씨가 조금이라도 나아져야 하지 않겠나 싶은데.

확실히 겨울이었다. 들어갈 땐 흐릴 지언정 사방이 환했는데, 몇시간 지나지 않아 금세 어둠이 짙게 나렸다.
 
어둠 속, 문득문득 도심의 야만스런 불빛과 소음이 정적을 깨뜨리는 가운데 둥실둥실 떠오른 덕수궁 내 중화전.

배병우 작가는 어부였던 아버지를 닮아 꼭두새벽부터 일어나 하루의 농사를 준비했다고 했다. 그가 찍은 사진

중 태반은 해뜨기 직전, 실내는 묘한 공기에 감싸이고 바깥은 몽환적인 보랏빛이나 초콜렛빛 어둠이 출렁이는

그런 시간에 얻어졌다고 했다. 뭐, 사진이 쉽게 찍히는 건 아니라는 이야기다. 어쩌면 상당부분 '우연'이란

요소가 짙게 작용하는지도. 일단 빛이라는 것부터가 그러니까 말이다.

뭐 그런 노력에 비견되랴만은, 쉼없이 눌렀던 셔터, 그렇게 남았던 몇개의 흔적 중 그래도 조금은 봐줄만

하다 싶은 사진들. 진눈깨비처럼 펄럭이며 내리는 빗물 탓이기도 했지만, 한동안 덕수궁미술관 입구 처마 안에

우두커니 선 채 셔터만 눌렀다.

미술관에서 몇 걸음 내딛다가 뒤로 돌아 한 방, 날려줬다. 이녀석 깜짝을 놀랬을 거다. 아닌게 아니라, 하얗게
 
질려버렸다. 스크림의 그 유령 마스크가 떠오를만큼.

확실히, 몸이 움직이니 구도가 바뀐다. 부지런해야 하는구나. 그러고 보면 그동안 내가 찍었던 사진은, 무쟈게

실용적이었던 것 같다. 내가 보는 것, 내가 눈여겨본 것, 그런 것들을 기억에 남기기 위한, 일종의 USB였다.

기억의 외장하드. 딱히 미감이나 예술적인 측면을 고려했던 것 같지는 않다는 게 솔직한 고백. 아..사진 좀

잘 찍고 싶다. 카메라도 질렀는데 제길.

조금 걷는데 하얗게 질린 덕수궁미술관 벽면에 얼룩이 졌다. 무슨 백한마리 달마시안도 아니고, 괴기스럽게

부풀고 꺽여든 나뭇잎들의 그림자가 벽면에 대고 간질간질, 간지르듯 간만 보고 있었다.

아까 밝을 때만 해도 카메라 수십대가 쏠렸던 광명문, 지금은 나와 일대일, 독대하는 중이다. 역시 빛이 부족한

건가. 커다란 구리 종색깔같은 처마 위 하늘 색깔이 제일 맘에 드는 구석이다.

돌아나가는 길, 느지막히 아침 겸 점심만 먹고 아무 것도 먹지도 마시지도 않은 참이었다. 배가 고파서 몸은

뭔가 먹을 것이 있으리라 여겨지는 앞으로만 계속 내달리고 싶어하는데, 손이랑 눈이 브레이크를 잡는다.

참..별 것도 아닌 사진 찍겠답시고 계속 멈춰서서 이리저리 배회하는 모습이라니. 배고파 죽는 줄 알았다.

그리고 사실 그렇다. 낮에 이미 사람들이 우르르 훑고 다닌 길에 닳을 대로 닳아버렸을 구도일 게다. 꼭 내

카메라로 내가 다시 찍어서 내가 다시 간직하고 다시 이렇게 블로그에 올려야 할 이유는 뭘까. 뭐, 모르겠지만

일단은 재미있으니까, 정도의 답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데세랄 지른지 아직 한 달도 안 된 터에 이런 회의와

시니컬한 구렁텅이 따위 빠져들 시간이나 여유는 없는 게다.)

알고 보면 꽤나 넓은 덕수궁과 외부를 연결하는 대한문, 혹은 입장료 내/받는 곳. 특정 포인트를 향해 정연하게

벌어진 등불들과 달리 외부 세상의 불빛은 사방을 향한 사방으로부터의 불빛이다. 잊을만하면 툭툭 떨어지는

산만한 물방울들만큼이나 무질서하고 정신없는 세상이다.

안녕 대한문. 그러고 보면 덕수궁은 꽤나 자주 들르는 곳이다. 일년에 두세번은 가는 듯. 창덕궁 후원-흔히

비원이라 불리는 곳이 여기라던가-을 한번 가봐야겠다고 맘은 먹는데, 아직 한번도 못 가봤다. 배병우 작가가

'생산'해낸 작품 중 소나무를 소재로 한 것은 SNM, 비원을 소재로 한 것은 BWN이란 약자로 시작하는 작품

번호를 가졌다던가.



* 이제부터는 오로지 카메라 자랑을 위한 사진들.

사진으로 일단 찍은 후에 한번 하얗게 불살라 버린듯한 느낌.

사진이 뻘겋게 타버렸다. 그러면서도 묘한 깊이가 느껴지는.

제대로 오래된 사진 느낌..혹은 일반적으로 느끼는 오래된 사진의 분위기란 게 이런 거 아닐까. 누렇게 변색된.

찍고 나서는 아궁이불이 들어오는 구들장 같은 데 기름먹은 장판 속에 한 이십년쯤 묵혀둔 듯한 사진. 

비슷하게 구들장에서 타버린 느낌이긴 한데, 조금 다르다. 타고 나서는, 차가운 가을바람에 한 삼년쯤 식혀진.

뭐, 이문세의 '조조영화'던가, 그런 노래가 떠오른 이유는, 아마 저 오른쪽 창구가 영화티켓 예매소, 그리고

입구는 극장 입구스러워서일 게다. (대체 어디가? 라고 물어도 별로 대답할 말은 없다는...)





배병우라는 사진 작가, 얼핏 귀동냥한 수준이라곤 일본에서 미스터 소나무 라 불릴 정도로 소나무 사진이

유명하다는 정도? 그의 작품을 보기 전 내 감각이란 게, 보고 난 후의 감각과 어떻게 달라질지, 달라지긴 할지

괜시리 궁금해져서 시험삼아 눈앞의 소나무를 찍어보았다.

어라, 들어가려고 봤더니 도슨트의 설명이 오후 네시, 다섯시, 여섯시, 그렇게 있다. 한 삼사십분 밖에서 돌다가

들어가면 도슨트 누나야들과 함께 자상한 설명을 들으며 감상할 수 있겠다 싶어 우선 발길닿는대로 덕수궁을

둘러보았다.

미술전이었다면 뭐 딱히 도슨트의 설명 없이 알아서 이해하면 되겠지, 싶었지만 왠지 사진전은 여러차례 접해

보아도 뭔가 내가 이해하는 게 너무 동떨어져 있는 건 아닐까 자신이 없다. 미술전이라 해도 으레 먼저 한바퀴

돌아보고 도슨트와 함께 한번 다시 돌아보며 내가 받았던 이미지나 느낌들과 비교해 보는 게 또 쏠쏠한 재미,

어떻게든 도슨트와 함께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난 건 더욱 재미있게 전시를 즐기는 첩경이지 싶다. 

전시를 둘러보는 나만의 방식이랄까, 우선 한 바퀴 전체적으로 둘러본다. 몇몇 눈에 밟혔던 작품들은 잘 기억해

두었다가 다시 한번 돌며 그것들만 찾아서 좀더 시간을 할애해 감상한다. 이제 어느정도 정형화되어 버린 

미술전 감상에 비해 아무래도 아직 사진전은 이렇다 할 정도의 전형이 잡힐 만큼 많이 돌아본 건 아니라,

게다가 사진이 뭔지 아직 잘 모르겠어서 조금은 조심스럽다.

뜬금없지만 새로 산 카메라 자랑. 펜탁스가 10월 초 회심에 찬 일격으로 내놓았다는 K-x. 이런 기능이 있다.

설정만 해놓으면 지 마음대로의 색감을 끄집어내어 랜덤으로 찍어버리는. 완전 낡고 퇴락한 느낌이다.

덕수궁을 종횡하며 가로지르는 돌담들, 그 담장을 중간중간 끊어놓고 있는 문들은 자연스럽게 담장과 이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저런 담장에 저런 대문, 아니면 뭘 갖다 붙일 수 있을까.


빗발이 조금씩 흩뿌리기 시작했다. 단체로 출사를 나온 듯한 사람들이 우르르 빠져나가고 위계를 나타낸

비석들이 쪼르르 서있는 마당이 스산해졌다. 사람들은 대부분 덕수궁 입구와 덕수궁 미술관을 이어주는

최단거리 상에 몰려 있었다.

다시 한번 카메라 자랑질. 오오...신기하다 신기해. 같은 공간인데 이토록 다른 느낌이라니.

물, 빛, 바람(공기)를 늘 사진 속에 포착해냈다는 배병우란 사람, 그의 사진을 보면서 몇 가지 느낀 점들이

있었다. 같은 사진이라 해도 '크기'라는 요소에 따라 느낌이 이렇게 달라질 수 있겠구나. 같은 공간이라 해도

시간에 따라, 빛에 따라 이렇게 다른 느낌을 줄 수 있겠구나. 구도를 창조해낼 수 있는 그림과는 달리 사진이란

건, 구도를 발견하고 끌어내기 위해 정말 부지런히 발로 뛰어야겠구나. 뭐 그런 것들.

그는 소나무 사진으로 이름을 얻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그렇게도 말한다고 했다. 그가 한국 해안가에 자라는

옹골지고 고단한 해송이 아닌 다른 지역의 소나무를 테마로 잡았다면 이토록 성공하진 못했을 거라고. 한국의

소나무, 그중에서도 거센 바닷바람을 버티고 열악한 토양조건을 극복해야 하는 주름지고 굴곡진 해송들의

강한 기운을 존중하는 그는, 경주의 왕릉 주변 소나무를 찍은 사진 반대편 전시공간을 온통 까만 천으로 덮어

버렸다. 얘기인즉 왕릉 주변의 소나무들은 지상의 영혼을 하늘로 이어주는 강한 영적 매개체라 맞은 편에

작품이 놓이면 그 기운을 배겨내지 못했을 거라 여겼다는 것인데, 1:1 사이즈로 '생산'된 그의 사진들을 보면

정말 뭔가 기운이 발산되는 듯 했다. (그렇다고 여기서 그런 요청까지 굳이 했다는 작가를 소나무에 미친

'또라이'라고 이야기할 수야 없는 거인데다가, 엽서나 카드 사이즈의 사진과는 다른 모종의 '포스'를 그 1:1

사이즈의 사진들은 분명하게 내뿜고 있었던 거다.)

그는 스스로를 '사진가'가 아니라 부정했다. '예술가'라고 했다.

일반적인 화가들이 붓으로 스스로의 세계를 펼쳐내듯, 그는 카메라로 스스로의 세계를 끌어냈다. 그가 '생산'한

사진들은 단순히 현실의 재생이 아니라 배병우 자신의 의도와 관념이 짙게 투영된 그림과도 같다는 거다. 하여

그의 사진들은 일반적으로 사진의 특성이라 얘기되는 뛰어난 모사성, 구체성, 디테일함이나 세밀함 따위를

대체로 무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냥 소나무 한 그루에 더해 흐릿한 실루엣 쪼금, 그걸로 족한 사진들이다.



일요일, 점심때쯤 비가 온다길래 비가 그치면 나설라고 창밖만 내다보고 있다가 왠지 '낚였다'는 기분에 우산도

안 챙기고 길을 나섰다. 덕수궁미술관, 배병우 사진전이 열리고 있었다.

덕수궁미술관은 왠지 원 플러스 원의 느낌이다. 전시도 보고, 가는길 오는길 틈틈이 덕수궁도 구경하고.

갈 때마다 뭔가 새로운 걸 발견하는 것도 쏠쏠한 재미다. 예컨대 중화전 옆구리에 붙어있는 분수대에서

물개인지 수달 모양의 조각을 발견한다던지.

이런 것도 있다. 조선시대엔 우리와 다른 시간을 살았던 거다. 단순히 자시, 해시, 따위 12간지를 본딴

어중띤 시간감각을 말하는 게 아니라, '과학적'인 해시계와 '과학적'인 현대의 시간계측 간에도 적잖은

차이가 있다는 것. 십몇년마다 일초씩 뚱땅뚱땅 고쳐나가는 지금의 시간도 그다지 믿음직스럽진 않지만

어쨌든 문제는 '기준'이다. 지금의 시간대로 '해시계 시대'의 시간을 번역하기 위한 로제타스톤인 거다.

해시계를 짓누르는 음울한 하늘, 뭔가 고장나 버렸지만 여전히 늠름한 해시계의 위용.

뜬금없게도 뭔가 우리들 사이에도 저런 보정표, 혹은 정오표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의 이런 반응은

너의 요런 반응과 대응하고, 너의 저런 반응은 나의 죠런 반응과 대응한다는 식의 해석을 가능케 해주는.

지금 시간이 몇시니. 하고 누군가 물어보면 이 움푹한 세수대야같은 데다가 고개를 들이박고는 시간을

헤아렸을 당대의 마인드가 왠지 운치있을 법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