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산역에서 내려 조금 걸었더니 저 앞에 문득 많이 보던 건물이 보인다. 특히 '세무사 조xx 사무소'라는 저 파란 간판.

문득, 심장이 두근거리기 시작했다. 이제야 직접 와보는구나. 계속 생각만 하고 있다가 이제야.

[여기 사람이 있다] 우리들의 '구차한' 밥그릇싸움에 사형을 언도한 그들.

저 위에서 여섯 생목숨이 날아가 버렸다. 망루를 짓고 올라간지 하루만에, 경찰특공대가 투입되어 그야말로

'테러분자들을 진압'하듯 불구덩이 속으로 토끼몰이해버렸던 거다.
그리고 책임자 처벌은 커녕 3000여쪽의 수사기록도 공개하길 거부하고, 진상 규명조차 마냥 소홀한 정부. 그들은

피해자 측에 대한 책임있는 사과나 유감 표명 등은 고사하고 어떤 대화도 일절 거부해 왔다.

그런 곳이다. 그런 곳에서 문정현 신부님을 비롯한 사제단과 피해자대책위, 철거대책위원회 분들이 분향소를

설치하고 매일 추모미사를 드리고 있었다. 내가 갔던 저번주 금요일, 이날은 참사, 혹은 학살이 발생한지 무려

193일째 되는 날이었다.

시끄러운 도심의 소음조차 낯설게 느껴지는 공간이었다. 점차 빠르게 뛰는 심장을 가라앉히며 신호등을 건너니

아마도 작가선언 측에서 나온 듯한 분이 길거리 선전전을 하고 계셨다. "평범한 시민이었다. 죽여야 했는가?"

뭐라도 들고 가야겠다 싶어서 우선 현장을 지나 근처 슈퍼에서 집들이 선물용 휴지를 사가는 길, 유족분들 중 한분인 듯한

아주머니께 들려드리며 "어머니, 잘 풀렸음 좋겠어요."란 멘트를 하고 싶었다. 건물 위에 언뜻 잔뜩 불에 그슬려 허물어진

컨테이너가 보인다.

자, 여기서부터 일상이 깨어져나간달까. 사람들이 부산하게 쏘다니던 거리의 어느 지점에서부터 뭔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드는, 불안하게 만드는, 생경한 단어들과 '낯간지런' 호소들.

선연한 빨강색에 느낌표로 끝나는, 뭔가 강력한 어조로 요구하는 선전물들. 용산4구역 철거민들은 재개발을 틈타

한몫 벌어보겠다고 눈이 벌건 '속물'도 못 되었었다. 바랬던 건 단지 재개발 중에 영업을 계속하기 위한 가상가 제공,

그리고 재개발 이후의 임차/임대상가를 보장하라는 것이었을 뿐. 그조차도 묵살당하고, 이렇게 사태가 악화된 건

누구의 책임인가.

전철연의 삑삑거리는 소음 섞인 스피커, 낯설고 무서운 투쟁가, 그런 것들에 대한 관용, 나아가 이해를 바라는 건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해지지 않을까. 사실 무섭고 낯설기는 소리없이 사람을 짓밟는 세련된 공권력이 한 수 위라고.

검찰은 수사기록 3천쪽을 법원의 명령까지 거부하고 벌금을 감수하며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거기에는 아마

용역과 경찰과의 공동 작전을 펼쳤던 정황이나 진압작전이 아무런 안전조치없이 취해졌음을 드러내는 증거가 있을 거란

추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런 의혹이 발생할 것을 알면서도 비공개하는 이유는, 정말 뭔가 있는 거 아닐까.

7월 초에 인터넷 공간에도 이슈가 되었던 사건이다. 경찰의 진압훈련 시범 중에 용산 참사와 너무나도 흡사한 그림이

나타났던 것. 경찰은 이미 용산참사를 '도심 테러리스트 섬멸'작전 정도로 규정지은지 오래인 듯 하다.

분향소 앞을 지키고 늘어선 화분들. 조그마한 꽃집처럼, 다양한 종류의 꽃들이 봉싯봉싯 꽃망울을 열고 있었다.

꽃이라도 없었다면 어땠을까. 금방이라도 무너질듯 을씨년스런 건물에 자리잡은 분향소가 풍기는 허름한 분위기에

더해, 조화라거나 거대한 화환 같은 것들 하나 보이지 않는 삭막함까지 사람맘을 쳐댔을 거다.

분향소는 한산했다. 검은색 전철연 조끼를 입고 다니시는 분들은 의외로 매우 밝고 의연하셨다. 뒤늦게서야 이렇게

찾아뵙고 착잡하고 침통한 표정을 짓고 돌아다니는 스스로가 더욱 부끄러웠다.

다섯분의 영정이 모셔져 있고, 역시 조그마한 화분들이 빈소를 지키고 있다. 참사 이후 6개월, 아직 이분들은 장례도

치르지 못했고...끊임없이 이슈를 몰고 다니는 이 정부 인사들에게 용산 참사란 마치 먼 옛날 일인양 까맣게 잊혀진게

아닌가 두렵다. 이분들에 대한 완벽하고 단호한 무시.

분향소 왼쪽에 지어진 평상엔 신부님들이 인터넷도 하고, 책도 보시고, 이야기도 나누시며 자리를 지키셨다.

문정현 신부님이 그 오른쪽 평상에 앉아 사람들을 맞이하고 계셨다. 나지막한 평상은 왠지,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털썩 주저앉아 잠시 쉬어갈 수 있다고 유혹하는 듯 해서 나도 잠시 앉아 땀도 식히고..신부님과 다른 분들의 이야기도

귀기울여 듣고.

그러고 보니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고 가시는 모양이다. 수박에 생수에 포도, 사과에 쌀포대까지. 좋은 분들이 많다.

다섯 분의 생전 모습이 그려진 액자가 분향소 옆 유가족 분들의 살림터를 가리고 있었다. 그렇지만 마치 내장이

터져나온 생선처럼 삶의 '누추한' 흔적들은 여기저기서 불에 그슬린 양동이로, 손잡이가 떨어져나간 냄비로

나타난다. 이런 것들을 안전하고 위협없는 공간에 부려놓고 일상을 살아갈 만큼, 그만큼의 보장도 못해주는

정부라니 한심하다. 화가 난다.

유가족분들의 일상 아닌 일상은 분향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한쪽에서 매 식사를 준비했고, 또 건물외벽에

의지해 늘어뜨려진 빨랫줄에는 하루치의 빨래가 널려 있었다. 이토록 신산스런 삶을 자발적으로 원하는 사람은 없다.

그건 이분들이 더이상 물러설 수 없는 어느 한계에 도달했음을, 정말 그분들 말씀처럼 '악밖에' 남지 않은 싸움이다.

건물을 반바퀴 에둘러 보았다. 어느 지점에선가 올려다본 하늘은 시커멓게 그을린 채 팍삭 허물어져내린 컨테이너의

잔해로 가려져있었다. 울컥, 눈물이 났다.

여기였다. 이곳을 진압하기 위해 경찰들은 용산 주변 출근길을 온통 마비상태에 빠뜨렸으며, 용역들과 공조하여

토끼몰이식 강경책을 일관했고, 안전대책 하나없이 죽어라, 하며 기름불에 물을 끼얹었다.

건물 뒤에 있는 주차장에는 반짝반짝 세련된 색감의 닭장차가 마치 트랜스포머의 옵티머스 프라임처럼 늠름히 자리를

지키고 서있었다. 닭장차 안에도 역시 먹고 살기 위한 양푼이며 냄비, 식판들이야 있겠지만 차곡차곡 잘 갈무리된 채

깔끔하게 숨겨져 있을 거다. 이건 인간의 존엄성 문제기도 하다.

참 허약하기 짝이 없는 철판 한장이다. 폭발물과 위험물질이 가득하고 인근 주민에 크나큰 위협이 된다 판단하여

해치워 버린 거라지만, 실제로 주변 주민들은 아무 위해도 느끼지 않았다고 증언했던 바 있다.

"죽이지 마라. 민중이 이긴다." 죽이겠다고 달겨들면 사실 방법이 없다. 죽고 나면 이렇게, 끝인가 싶기도 하다.

용산참사가 벌어지고 나서 한동안 여론이 술렁댔었고 이로써 정권이 끝난다는 성급한 예측, 기대섞인 전망도 있었댔다.

그렇지만 그렇게 산뜻한 기승전결의 구조를 가진 이야기란 거, 현실에서 찾긴 쉽지 않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건,

철거민 분들, 저 망루에 오르셨던 분들의 마음이다. 정권 퇴진시키자고 올라간 거 아니다. 민주주의를 원한다고, 이한몸

열사되겠다고 올라간 거 아닌 거다. 내게 살 길 좀 마련해 달라고, 반토막나고 거리에 쫓겨나게 생겼으니 생계 대책

마련해달라고 올라간 거다. 용역이 경찰과 손잡고 죽어라죽어라 괴롭히니 올라간 거다.


최소한 국가라면, 정부라면, 지들이 국가고 정부를 '자처'하겠다면, 국민이 먹고 살게 해줘야 할 거 아닌가.

가톨릭사회교리에 따르면, 양심에 따라서 거부할 권리란 '공권력, 명령이 도덕 질서의 요구나 인간의 기본권 또는

복음의 가르침에 위배될 때, 국민들은 양심에 비추어 명령에 따르지 않을 의무가 있다"고 한다. 전/의경들한테도

못할 짓이다. 그들도 이미 큰 상처를 입었을 터, 거기에 더해 스스로 용기를 갖고 불의에 항거하라 말하는 건 너무나

가혹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애초 그런 상황에 봉착하게 만드는 부조리한 명령의 발화자가 더욱 혐오스럽다.


그들은 자신을 제외한 다른 모든 이들을 아프고 병들게 한다.

고양이에 열광한다. 알레르기가 있다. 고양이까페에 갔다. 오줌을 쌌다.(1/6)

[사진] 고양이 클로즈업..@ 고양이까페.(2/6)

[사진] 스스럼없이 테이블을 차지한 고양이녀석들..@ 고양이까페.(3/6)

[사진] 대자로 널부러진 고양이들..@ 고양이까페.(4/6)

[사진] 가지런히 네발모은 고양이녀석들..@ 고양이까페.(5/6)


에 이어 여섯 번째로 이어지는 고양이 사진選입니다.ㅎㅎ

고양이의 몸에는 늘씬한 팔다리가 차곡차곡 접혀서 숨겨져있다고 느낄 때가 있다. 가제트 만능팔~이 덜컥

튀어나오듯, 고양이의 재빠르고 군더더기없는 움직임은 항상 우월한 기럭지로 뒷받침된다.

어렸을 적 몇십번씩 보았던 디즈니 만화의 고양이캐릭터들, 그리고 그 오리지널버전의 애기고양이까지.

까페 안엔 고양이들이 들어가 쉴 수 있는 공간이 많이 마련되어 있었다. 털이 복슬복슬한 이런 '고양이수납공간'.

아마 기어코 만지고 비비고 안아주겠다는 손님들이 있으면 쪼르르 이런 곳으로 도망치지 않을까. 저렇게

잔뜩 경계하는 표정으로 공간 밖을 내다보며 말이다.

1층위에 2층, 2층위에 3층, 3층위에..각 층마다 거주하고 있는 고양이들은 서로에 대해 잘 모른다. 2층집 고양이가

애써 1층집 고양이에게 말을 걸어보려고 고개를 뺴꼼히 내세웠지만, 들은 척도 않는 나쁜 1층집 고양이.

그와중에 입맛다시는 3층집 고양이는 뭐고.

큰 대자로 뻗어 두발을 널부러뜨린 욘석은 여전히 잠에서 헤어나오질 못한다.

아늑한 바구니 안에서, 그것도 제몸과 색깔이 똑같은 보호색을 띈 바구니 안에서 옹송그린 고양이 한마리.

뭔가 놀란 표정의, 눈을 똥그랗게 뜨고 카메라를 바라보는 고양이.

그리곤 다시 고개를 돌려, 고양이들 밥먹는 방으로 들어가려다 시작되어버린 눈싸움.

의자에 사람처럼 기대 앉아선 주변을 호기심어린 눈길로 바라보는 하양고양이.

그리고, 유독 내 가방에 관심을 보이던 몇몇 고양이들. 가죽냄새가 너희들을 흥분시켰던 거니.

짱구의 울라울라춤은 아마 고양이를 보고 영감을 받은 게 아닐까.

뭔가를 붙잡고 자야 안심이 된다는 듯 밧줄에 팔 하나를 걸쳐놓고 뒹굴거리는 대자 널부러진 꼬마 고양이.

까페 한구석에는 상처입은 유기고양이가 철망 안에서 적응 중이다. 뭔가 부럽기도 하고 착잡해보이기도 하는 애매한

눈빛이라고 느꼈다.

이제 슬 갈 준비를 하려는데, 눈치를 챘는지 좀체 내 가방에서 떨어질 줄 모르고 급기야 앙탈을 부리는 녀석.
시간이 지나면서 늘어난 손님들, 여기저기서 본격적으로 놀기 시작하는 고양이들.

막판에 워낙 귀엽게 구는 통에 정신이 쏙 빠졌다. 아주 그냥 내 가방을 제 둥지삼아 끌어안고 살 기세다. 좋은 기세다.

형님 저는 이만.

왠지 이 녀석이 내 가방위에서 취하는 포즈들이, 요새 연예인들 섹시화보니 하며 찍어대는 그 사진들과 비슷한 포즈에

분위기에 눈빛이다. 요염한 녀석 같으니라고.

기어코 떨쳐내고 일어섰더니, 마침 옆 테이블에 와서 앉는 사람 가방으로 쪼르르 옮겨가 버린다. 순간판단력이나,

대응속도나...나무랄데 없이 쾌속하다. 아마 이녀석은...가방에 대한 페티쉬를 가진 듯.

집에 가는 길, 횡단보도에 빨간 불이 길어서 살짝 넘어섰다가 경찰아저씨가 쫓아왔다.

딱지를 떼고 말았다.ㅜ

그리고, 의사선생님은 '마치 짚을 이고 불섶에 들어간 것'과 같다며 알러지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것이라 했다.

삼일동안 눈이 뻘겋게 충혈되어 지냈다.






꺄아~~ 완전 귀여워~!!

얼굴을 살짝 돌리면...꺄아~~ 너무 귀여워~!!

반대편 얼굴도 보여주셔요 고양이님~~! 꺄아~~~

고양이님과 눈높이를 맞춰 카메라를 들이대는 즐거운 한때.

꺄아~

응? 

꺄아~ 마치..해변가를 걷던 잘빠진 구릿빛 피부의 젊은 남자가 뒤에서 부르는 나긋한 여성의 목소리에 반응해 고개를

살짝 돌아보는 듯한 분위기랄까. 방심한듯, 무심한듯, 하면서도 내 여자에겐 따뜻하겠지..라는.ㅋ

이 몰입한 눈빛연기. 앞에 각잡고 앉아있는 고양이들을 눈빛만으로 제압할 기세다. 근데, 실은 아무것도 앞에 없었다.

왠지 심통스런 표정의 고양이. 나 지금 진짜 삐졌거든. 말걸지 마 흥. 정도랄까.

짝눈뜨니까 완전 불량해 보여. 왕년에 껌 쫌 씹었던 고양이. 그치만 별로 무게감은 없다.

완전 귀여운 새끼고양이. 눈을 몇번 꿈뻑거리다간 정신못차리고 잠들어버렸다.

흔히 여성의 눈을 두고 '고양이눈'이네 뭐네 하지만, 똑같은 고양이눈도 눈가 주름이 약간씩 씰룩거리면서 영

다른 분위기를 풍긴단 말이다.

왠지 고양이가 아니라 부엉이나 올빼미를 떠올리게 만들던 녀석.

이 아이들은 말을 할 줄 아는데 안 하고 있거나, 말을 이해할 수 있거나. 둘 중 하나..라고 믿게 만드는 눈빛을 가졌다.

이렇게 우아하고 의젓한, 그야말로 왕족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고양이는 처음 봤다. 다만 저 갈기갈기 갈기수염이

밥먹을 때 많이 불편하지 않을까 염려스러울 뿐.



금요일은 휴가였다. 비가 오는 꾸물꾸물한 날씨인지라 차를 끌고 그동안 별렀던 고양이까페에 가기로 맘먹었다.

유리창에 볼록볼록, 빗방울이 도톰하게 올라붙었다.

왠지 가는 길에 경찰차가 계속 눈에 밟혔다. 마침 빨간불에 걸린 김에 사거리 반대편에 보이는 경찰차가 뭐하나

궁금해하다가. 자꾸 경찰차가 유난히 눈에 띈다 싶을 때 조심했어야 했다. 결국 나오는 길에 딱지를 떼고 말았으니.

서울대입구역 4번출구로 나와 신한은행을 끼고 좌회전하면 나오는 지오캣, 알고 보니 6, 7년째 고양이까페를

운영해 오신 베테랑 사장님이 버티고 계신 고양이까페계의 좌장이랄까.

이곳을 가르쳐주신 윤뽀님의 포스팅에서도 봤었던, 이미 한번 눈에 익었지만 여전히 섬뜩한 경고문구.

고양이의 생명을 위한 길이 뭔지를 잘 생각하고, 양육자로서의 책임이 뭔지도 잘 생각하고.

(궁디)팡팡 금지!! 드래곤볼에서 손오공이 찌찌와 어떻게 결혼하게 되었는지를 기억한다면 조심.

고양이나 개의 '성격' 운운하는 말은 항상 뭔가 낯설면서도 신기하다. 당연히 갸들도 나름의 성격이나 스타일이 있겠지만,

대개 한 번에 한마리씩 조우하게 되는 터라 비교하기란 쉽지 않았던 터. 한꺼번에 수십마리의 고양이를 만나면 '성격'을

구분해 낼 수 있겠지..라는 기대로 드디어 입장~*

가장 먼저 눈에 띈 새하얀 고양이. 도도하게 몸을 누인 채 방심한 듯한 눈매를 흘리고 있다.

고양이들이 세걸음마다 한마리씩 놓여있었다. 말하자면 단위면적당 고양이밀집도에 있어서는 거의 세계최고수준 아닐까.

의자위에 올라가 있던 조그마한 새끼고양이. 하얀 털실뭉치같으면서도 올망졸망 달릴 건 다 달려있어 더욱 귀여운.

아무도 없던 금요일 오후 1시의 고양이 까페에 밀고 들어선 방문객에 조금은 동요하는 녀석들.

이녀석은 사자처럼 늘어뜨린 갈기를 우아하게 펼치고는 뭔가 다 안다는 표정으로 나를 바라봐주었다. 고양이 왕인가.

주둥이와 귀, 발끄트머리가 온통 까매서 무지 세련된 느낌의 요 고양이는 슬슬 카메라를 의식하고 있었다.

고양이의 이 풍부한 표정이란..! 입매와 눈빛, 살짝 이지러진 얼굴의 각도만으로 표정과 분위기가 확 바뀐다.

못생겼단 표현은 고양이님께 죄송하지만...얜 참 독특하게 못 생겼다. 얼굴이 평면이다. 뭔가 스타워즈의 캐릭터스럽다.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길고양이나 친구집에 놀러가 마주한 고양이와는 다른 듯 비슷한 느낌이다. 다들 머릿속엔

나나나나나, 자신만 들어있는지 주변에 별로 괘념치 않고 있었다. 내가 카페 안을 헤집고 다니며 카메라를 들이대도

피하거나 겁먹지도 않고, 그렇다고 둔한 것도 아닌 것이 참 묘하다. 묘妙한 고양이猫들.

나와 동생은 고양이든 개든 키우고 싶어하는데, 어머니가 원체 반대하신다. 당신이 동물털들이 날리는 걸

못 보아넘기는 때문이기도 하고, 사실 아버지나 내가 살짝 알레르기 기운이 있어서 안된다는 거다. 난,

이렇게 고양이가 떼지어 모여있는 걸 보고 마냥 좋을 뿐이고.

이제 조금 차분하게 앉아서 고양이들이 노닥거리는 걸 구경할 생각이었다. 여태 까페 안을 헤집고 다녔으니 한마리한마리

눈여겨 보며 사랑해줄 생각이었다. 그런데 내가 테이블에 앉자마자 내 무릎에 앉아 귀염을 떨던 고양이 녀석 하나, 갑자기

휴대폰 진동처럼 부들부들 떠는 거다. 급격히 따뜻해지는 내 아랫도리.

떨리는 목소리로 주인 아저씨를 불렀더니, 화장실 가서 깨끗이 씻고 드라이기로 말리면 된댄다. 자주 일어나는 일인갑다.

씻고 나와 그 녀석을 찾았다. 구석에 이렇게 숨어들어서는 눈치를 살피고 있었다..그런 것처럼 보였다. 에구 귀여워라.




여행이 끝났다. 한달여 나의 의지에 오롯이 맡겨졌던 시간이 다시 내 아쉬운 주먹을 희롱하며 어딘가로 풀려난다,

사막의 모래처럼. 아주아주 크고, 딱딱한 책갈피 하나를 꼽아 넣은 느낌이기도 하다. 이왕이면 반질반질 윤이 나는

검정빛, 가죽냄새도 약간 나면 좋겠다.


8주마다 나오는 휴가와, 제대휴가를 온통 노가다판에서 보내며 모았던 돈이었다. 못을 밟아 피가 흐르는 발바닥을

뽁뽁 쳐대며 죽은 피를 뽑아내주던 작업반장의 망치질이 웃기기만 했던 건, 그래도 제대하고 나서 '군대에서 공찼던'

기억만 잔뜩 이야기해대는 '복학생'이 되고 싶진 않았기 때문이었다.


어느새 군대라는 웅덩이에 내가 담겨 있었단 사실이 저만치 예전의 일인 양 스스로에게 낯설어진 것에 대해

감사해하고 있다. 하지만 그 말은 곧, 다합의 해변에서 되짚어 보았던 '나'라는 것으로부터 한걸음 더 멀어졌다는

얘기인지도 모른다. 내가 사랑했던 xx살의 나, 하루키의 매혹적인 이 표현을 쓰고 싶어서 난 23, 22, 21,그런 식으로

나라고 불려왔던 것이 밟아온 무대와 주어진 씬, 그리고 허용되었던 애드립과 - 사실은 스스로 알고 있었을 - 대사들을

충분히 떠올려 보고, 그게 뒤늦게 내게 의미했던 '필연성'이라고 생각했다.


'시간이 약이다'라는 말들과 같은 진실을 담은 온갖 표현들, 하지만 그것이 살아있는 울림을 갖고 효용을 갖는 것은

이미 그 진실이 자신의 지나간 과거로 굳혀진 이후일 뿐이다. 그처럼. 나의 과거도. 다행인지, 아직 크다란 후회나 참담한
 
고뇌를 되씹을 만한 상처를 입지 않은 내게, 미래란 언제나 여전히 최초의 반짝임을 그대로 간직한 신품의 크리스탈과

같다. 그리하여 불행인지, 무언가 바람이 바뀌어 불 때마다, 나는 노심초사하며 나를 되짚어보고 지금 나의 꿈을

생각한다. 혹여나 최초의 균열, 내지 최초의 후회-돌이킬 수 없을 만한-가 이로부터 비롯되지는 않을지, 여태 아무런

흠집없이 나름대로 명민하던 그 반짝임이 드디어 뭉그러지고 무뎌지는 건 아닌지. 혹은 이미 그리 되었는지도

모르겠으되, 그토록 커다란 책갈피의 느낌을 갖는 지금 다시금 노심초사하지 않을 수 없다.


여행은, 맨 몸이었다. 룩소르에서 10여시간 자전거를 타고 물통 네 개를 아작내거나, 17시간 버스에 구겨진채 버티거나,

혹은 등짐을 메고 왠종일 거리를 걷거나. 그러한 순수한 육체적인 깡다구로서의 의미 외에도, 이른바 계급장 다 뗀
 
상태에서의 맨 몸이었단 뜻도 된다. 혹자는 김일성의 한국이냐고 되묻기도 하는 그런 내 나라주소, 거기에 알게모르게

내 등뒤에 버티고 섰던 온갖 상징들-학력, 나이, 재력, ..이른바 사회적, 문화적인 자본이랄까-이 훨씬 희미하게

드러나는 곳에 순간적이나마 벌거벗겨졌다. (물론 여행자로서 달리 획득하는 또다른 온갖 외투들이 순식간에 다시

입혀지지만..)


그곳에서 내 앞에 펼쳐질 일들에 대해 생각한다는 이야기는 곧 내가 돌아올 곳에서 다시 꿰어입어야 할 내 친숙한

껍데기들을 하나씩 꼼꼼히 뜯어보며 각각의 가능성과 내 의사를 타진한다는 것과 같지 싶다. 현재까지 내가 있었던 곳,

바라보던 곳,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 그렇게 차근차근 지금의 '나'란 것에 대해 반추해보고, 그것이 어느쪽으로

얼마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지. 또 해는 앞으로 어디로 움직여 그림자가 얼만큼 어디로 길어지게 될지. 그래봐야

고작 한 뼘이겠지만.


생각이란 놈도 일정량의 치사량이 있는 듯하여, 술에 먹히는 경우 바로 게워내짐이란 행위로 다시금 술을 잡아먹을

준비를 가다듬듯, 생각이 잡다하게 얽히고 섥혀 결국 갈피를 못잡게 되면 다시금 토해내고 그 어느 맘 잡히는대로의

꼬투리에서부터 잡념을 이어가는 듯하다. 그래서, 아무리 생각을 해도 알 수 없는 건 알 수 없는 것.


그냥 가보는 거야, 라고 신해철이 '절망에 대하여'에서 절규했듯..그렇게. 역시나 답은 없이 고작 불타오르는 양광 아래

한뼘의 그림자로 방향을 가늠해볼 수 밖엔 없을 거 같다. 고대 이집트에선 그림자란 그 사람의 생명을 보호한다고

믿어졌다던가.


여행이 끝났다.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일들을, 내가 정말 그것을 하고 싶어서 할 수 있다면, 노심초사 따위 고이접어
 
나빌레라.ㅋ



* 지금보다 낫던 그때의 마음과 정신상태. 아아..바쁘게 살기엔 삶이 짧단 말이다..




역시 터키는 뭔가 심심하다. 차가 달려도 빵빵거리지 않고, 사람들이 막무가내로 무단횡단을 하지 않으며, 공항도

좀더 럭셔리한 티가 풀풀 난다. 물론 터키항공의 불친절과 덜된 서비스정신엔 할 말 없지만, 적어도 트랜짓 동안 쉬라고

별 넷짜리 호텔을 제공했으니 그 또한 봐줄 수 있다. 밤 3시 45분 비행기로 날아서 6시에 이스탄불을 다시 도착한

참이었다. 자, 이제 저녁 8시 비행기 타기 전까지는 12시간 정도 시간이 있으니 뭘 할지 생각했다.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한번 하는데 꾸정물이 줄줄 나온다. 그런 시설에서 한번 씻고 났더니 피로가 대번에 풀리는 느낌,

대신 무지하게 배고파져서 일단 에미뇨뉴로 나와 고등어케밥부터 먹었다. 역시 맛있다. 파샤 모스크를 찾아가서 기대

이상의 인테리어를 좀 인상깊게 봐주고, 슐레마니에 가서 그들 술탄들의 무덤을 먼저 보았다. 천년쯤 된 무덤들이

그토록 고스란히 남아있다니, 종교의 힘이 아마도 그 시간을 지켜냈으리라. 도저히 눈이 감기고 피곤해서 모스크의

천장 그림을 제대로 바라볼 수가 없었다. 여기 터키의 사원들은 그다지-아니 절대-편히 쉬고 누워 잠잘 만한

정도의 분위기가 안 되었지만, 어쩔 수 없이 구석에 가서 벽에 기대앉아 한시간쯤 잤나.


주섬주섬 일어나 한바퀴 돌며 인사해주곤, 중심가 산책이나 어슬렁대며 하기로 했다. 그랜드 바자르 한번 돌아보고,

이집션바자르도 한번 돌아보고, 블루모스크까지 걸었다. 도중에 격하게 친절했던 삐끼 아저씨들한테 잡혀서

양탄자 가게에 앉아 설탕 듬뿍 들어간 차를 마시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뜬금없이 정치학 얘기까지. 그리곤

이집트 카르낙 신전에서 들고 와 이스탄불의 한 광장 복판에 서있는 오벨리스크에게 그곳의 안부를 전해주었다.


다시 블루모스크다. 근데 이집트를 거쳐 다시 바라본 이곳은, 정말 시장바닥이다. 전혀 모스크로서의 기능,

성소로서의 아우라를 잃은 채 그냥 관광지같다. 애들 뛰어다니고 단체관광객 줄서서 돌아보고 다니고. 그냥

한군데 퍼져 앉아 이리저리 고개 갸웃대며 바라보고 싶었는데, 왠 이상한 관광객들이 같이 사진찍자고 하질않나,

아님 애들이 놀자고 장난걸질 않나..머 나름 전부 여자였으니 불만이야 없었지만. 내가 원했던, 이집트에서

만끽했던 그런 분위기는 아무리 기다려도 절대 나올 법 하지 않아 걍 나와버렸다.


내 생각엔 이집트 문화의 양대축은 고대 파라오문화하고 이슬람문화인 거 같은데, 파라오의 그것들은 이미 충분할만큼
 
봤고, 이슬람문화는 카이로에서 제일 잘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물론 하루에 다섯번씩 울린다는 아잔소리라거나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모스크 첨탑, 미나렛들은 이집트의 매끈하게 구획된 전 국토를 뒤덮고 있지만, 그게 뿌리깊은 유적처럼

남아서 지금 현재의 삶과 끈끈이 엮인 게 실감나는 곳은 아마 이슬라믹 카이로만한 곳이 없을 거다.

이슬라믹 카이로에서..아니, 카이로 전체에 수천수만개는 될거라는 저 황홀한 미나렛(첨탑) 중에서 가장 이쁘다고 생각한

알아자르 사원의 세개짜리 미나렛. 이 사원 안에서 난 앉아 쉬기도 하고, 배깔고 일기 쓰기도 하고, 론리가이드북을 펼쳐

일정을 구상하기도 하고, 지쳐 쓰러져 잠들기도 했었다. 마냥 저 미나렛을 질릴 줄 모르고 바라보다 기어이 한 컷.

그러고 보면 이집트에서는 계속 모스크 찾아다니며 아련한 아잔소리와 함께 하루를 마감하곤 했다. 좌식 문화에

익숙해선지 맘대로 누워도 되고 잘수조차 있는 그 평안한 모스크의 분위기가 넘 맘에 들었었다. 게다가 거기엔, 알 수

없는 부담감과 심적인 긴장을 일으키는 형상화된 신의 모습이 없어서..그 눈빛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게 맘에 든다.
 
그냥 저렇게 메카 방향을 가리키는 움푹한 공간이 있어서, 모두가 저 '지표' 너머 머나먼 메카를 응시하는 표정으로

예배를 드린다.

일단 알-아자르(Al-Azhar) 사원까지 걷고 좀 쉬어준 후에 이슬라믹 카이로를 돌기로 했다. 저번에 카이로에 머물던 때에
 
일부러 마지막을 위해 남겨놨던 지역이다. 근데 왜 이녀석들은 일본인이라니까 이렇게 친절해지는 거지. 세번째 온

알-아자르 사원인데 이제야 그 문 뒤의 광경을 볼 수 있는 곳을 소개해 주는 거다. 이로써 내가 사칭한 국적도 세 개.

북한인, 중국인, 일본인까지. 나를 드러내야 하는(identify) 일이 생기면 가장 유리한 게 뭘까 생각해서 필요한 국적을

꺼내 쓴 셈이다.


상인들의 숙소였다던 왈라카 어쩌구는, 마치 무슨 모델하우스 보는 느낌이었다. 새롭게 다시 지었다는 론리플래넷의

설명을 읽기 전에도, 어찌나 휑뎅그레하고 사람의 흔적이 하나도 없던지, 시간이 쌓이거나 사람의 체온이 묻었던 흔적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었다. 그래도 아, 이런 곳이 있었구나 정도랄까. 민속촌처럼.


이런 저런 모스크들을 또 순례하며 사진찍어도 된다는 꼬임이나 느닷없는 박시쉬 요구에도 이제 익숙해졌지만,

중간에 망고주스집에 들렀을 때 또다시 낯선 상황에 봉착. 주인아저씨는 가만히 있는데 주위에서 놀고 있던 아이들이

지들 멋대로 5파운드라느니 7파운드라느니, 진지하게 바가지를 씌우려는 거다. 음..쪼꼬만 애들부터 여행자를 봉으로

보는구나 싶어서 좀 씁쓸했다. 애들 응원 속에 은근히 가격을 높여 부르는 아저씨의 뻔뻔함도 거슬렸고.

베이트 알 수야미는 이슬람시대의 저택인데, 생각보다 훨씬 넓고 집구조가 마치 미로처럼 뒤엉켜 있어서 몇번이나 돌며
 
못 본 구석을 찾아다녀야 했다. 그덕분에 10이집션파운드의 입장료가 비싸다는 생각은 안 들었지만. 수많은 방들에

열지어 배치되어있던 늘어진 쿠션들과 분수들, 우물들은 집안의 세과시용인가 싶을 정도로 으리으리했던 반면,

여성들이 가슴졸이며 내려다보았을 그 촘촘한 격자로 짜인 창문은 꽤나 이색적이었다. 왠지 전통한옥의 격자무늬를

닮은 거 같기도 한 그 창문은 외부의 시선은 완벽히 차단하되 내부에선 외부를 슬그머니 훔쳐볼 수 있는 식으로

만들어졌다.

말하자면, 왕의 천칸짜리 왕궁에서 하나 모자란 구백구십구칸짜리의 호화 상류층 저택이랄까. 무진장 넓고도 화려했고,
 
분수대가 마당마다 있는 게 네개던가 다섯개던가..이슬람문화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거,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딱 그 이야기에 어울릴 법한 저택. 사실 이 사진은 저 왼쪽 귀퉁이에 고양이가 중요했는데, 이녀석이 이뿌게 앉아있다가

움직여버렸다. 개보다 고양이가 역시 귀엽다.

카이로는 정말 매력적인 곳이다. 빌딩으로 빼곡한 스카이라인 한켠으로는 마치 중세를 여전히 사는 듯한 이슬라믹

카이로가 생생한 생명력으로 왁자지껄 펼쳐지고 있으니. 그런 스카이라인의 일부는 카이로 저 너머의 피라미드가

차지하고 있기도 했었다, 고층빌딩들의 각잡고 선 그 윤곽들 너머로. 여튼, 이슬라믹 카이로의 중심에 선 이

아름다운 문..막상 사진기를 들이대면 주위의 이집션들이 이상하게 쳐다본다. 그건 어쩌면, '역사'를 유산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삶의 터전'으로 살고 있는 사람의 시각차겠지. 근대에 박제되기 시작한 역사는 실은, 이런식으로

해방되어야 했을 거다. 한번 꼭 다시 가고 싶은데, 이집트 관광청이 이곳을 싹 정돈하고-사람들의 삶을 소거해내고-

깔끔하니 재건축을 한다고 들었다. 무슨 민속촌 분위기 만들라나 본데, 그래서 내가 갔을 때도 무진장 공사중인

이슬라믹 카이로. 최대한 빨리 다시 가보고 싶다.


나일강 근처 벤치에 앉아 바라본 카이로의 선셋은 생각보다는 이뻤지만, 그래도 역시 스모그나 대기오염때문이겠지만

태양의 선홍색이 어슴푸레한 뭔가에 밀려난 느낌이었다. 그치만 이스탄불, 카파도키아, 올림포스, 안탈랴, 셀축, 시와,

룩소르,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아스완에서 보았던 그 석양들을 떠올리며, 게다가 과거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바라봤을 그 석양들을 상상하며 멍하니 생각을 놔버렸다.


타흐리르 광장서 질주하는 차들과 제각기 일상에서 (여행자가 보기에) 소소한 것들에 묶여 사는 이집트 사람들을

응시하며 상념에 잠겨있었다. 여행도 실은 또다른 뭔가에 묶인 채 굴러가는 일상의 연속일지 모른다. 이러저러한

이름난 볼거리들, 그 틈새에서 악다구니하는 사람들에 눈이 가고 그래서 이곳 역시 사람들이 일상의 틀 속에서

버벅거리는 걸 보다 보면 문득 미소가 지어지고, 내겐 이곳이 그저 일상이 허락되지 않는 타지란 생각이 들었다.

난 여기서 그저 무언가를 계속 소비하며 내 안에 무언가를 계속 쌓아가는, 쌓아가려는 그런 뜨내기일 뿐인지도.


신호등도 변변찮은 이곳의 도로는..무단횡단의 진수를 보여주었더랬다. 재미삼아 합주해내는 클랙션의 무아지경과

도처에서 밟히는 브레이크의 굉음, 게다가 온전한 차 찾기가 힘들 정도로 광폭한 운전자들이라니...카이로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8차선 도로 옆에 주저앉아 찍은 사진. 아마도 이런 것이 앞으로 내가 건너야 할 길이겠거니 하는 맘으로.


* 이런저런 티켓들.

하랄(Halal)은 아랍어로 '합법적인' 또는 '승인된'이란 뜻으로 이슬람권에서 섭취가능한 식음료를 의미한다.

원래 건강에 해로운 식재료나 가공과정을 없애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것으로 대부분의 무슬림들이 돼지고기 섭취를
 
금기시하거나 샤리아법에 맞게 '하랄'되지 않은 소고기를 먹지 않는 것도 '하랄'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한다.


무슬림들이 섭취할 수 있는 재료와 가공과정을 거친 식음료에 대해 아예 '하랄'인증을 부여하여 인증여부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음식과 먹을 수 없는 음식으로 구분하고 식당에도 '하랄'인증마크를 부착하도록 법제도를 정비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싱가폴이나 말레이시아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무슬림이 전세계 인구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는 것을 감안하면, '하랄'은 비즈니스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자료원: 싱가포르 회교도위원회(MUIS))


A.         What is Halal – The General Principles

                  하랄이란? – 일반원칙

 

According to the Islamic view, all food and drinks can be classified under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회교도 기준에 의하면 모든 식음료는 가지로 분류됨.

 

1)        Halal  (하랄)

 

'Halal' is an Arabic word which means lawful or allowable. Any food or drink which falls under this category is permitted for consumption. Most food and drinks are considered Halal unless they are stated clearly in the Quran and Hadith as forbidden or non-Halal.

하랄이란 아라비아 어로 합법적인또는 승인된이란 의미임. ‘코란 하디스에서 금지 되거나 비하랄로 명백히 명시되지 않는 대부분 식음료는 하랄로 간주됨.

 

2)        Non-Halal  (비하랄)

 

'Non-Halal', also traditionally known as 'Haram', means unlawful or unallowable. As the name implies, any food or drink which is classified as non-Halal is prohibited for consumption. In general, all harmful things are non-Halal.

전통적으로 하람이라고 알려진 비하랄 불법적인또는 비승인된이란 의미임. 비하랄로 분류된 식음료는 소비가 금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해로운 것들이 비하랄로 분류됨.

 


3)        Syubhah  (삽하)

 

Any food or drink which lies within the grey area and does not fall clearly under the Halal or non-Halal category is classified as 'Syubhah', alternatively called questionable or dubious.

One example of a Syubhah ingredient is lecithin. Lecithin can be derived from plants or animals. It is considered Halal if the lecithin comes from plants but non-Halal should it come from pigs or animals that are not slaughtered in accordance with the Islamic law.

명백히 하랄이나 비하랄로 분류되지 않은 애매한또는 의심스러운식음료들이 이분류에 속함.  일례로 레씨틴 함유물. 이는 식물뿐 아니라 동물에서도 추출 가능하며 식물에서 추출된 레씨틴은 하랄로 분류되나 돼지 또는 회교도 법에 의해 도살되지 않은 동물에서 추출됐다면 비하랄로 분류.

 

 

B.          The Potential of Halal-certified Products (하랄 인증 품목에 대한 잠재력)

 

·               Muslims representing 20.12% of the total world population, and have become the second largest community on earth after the Christians  
전세계 인구중 20.12% 회교도이며 이는 기독교인 다음으로 많은 인구임.


·               Muslims are the majority in 57 countries and are also a sizeable minority in some countries such as France.
인구의 대다수가 회교도인 국가가 57 이며, 프랑스 같은 나라에서는 소수 이나 많은 인구가 회교도임
.

·               With 1.8 billion Muslims worldwide, the global halal market is worth about S$245 billion (USD153 billion) – a huge market for food manufacturers to tap on.
전세계적으로 18 회교도가 있으며 세계적인 하랄 마크의 가치는 2,450 싱가포르 달러 (미화 1530) 이는 식품제조업체가 개발 가능한 거대한 시장임
.

·               SE Asia is home to more than 250 millions Muslims (Indonesia, Malaysia and Brunei with large Muslims populations).
동남아는 25천만을 상회하는 회교도의 중심지 (거대한 회교도를 가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브루나이
)

·               The Middle East market is a big one market, with an estimated population of 187 million, or 2.9 per cent of the world population. Besides having strong purchasing power, Middle Easterners generally have big families and make purchases in bulk.
187백만 인구를 구성하는 (세계인구의 2.9%) 중동지역 역시 시장임. 커다란 구매력 아니라, 중동지역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대가족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대량구매 성향이 있음
.

·               The growing affluence and sophistication of Muslim populations has fuelled demand for halal food.
회교인구가 점차 부유해지고 세련되어짐에 따라 하랄 식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

  


Annex 1                        

 

Sources of Halal Food (하랄음식재료)

 

1.      Animals (동물)

 

Animal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amely:  (동물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됨)

i)    Land Animals  (육지동물)

ii)   Aquatic Animals (해양동물)

 

i)    Land Animals (육지동물)

 

All land animals are lawful as food, except the following:

아래사항을 제외한 모든 육류는 합법적인 음식임

 

a.     animals that are not slaughtered according to Shariah law;
이슬람 샤리아 (인간의 올바른 삶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 의해 도살되지 않은 동물의 고기


b.     pigs;  

         돼지고기

c.     dogs;

          개고기

d.     animals with long pointed teeth (canines or tusks), which are used to kill prey, such as tigers, bears, elephants, cats and monkeys;

         이빨을 가지고  먹이를 죽이는 동물들의 고기 (호랑이, , 코끼리, 고양이 또는 원숭이 )

e.     birds with talons or predator birds;

          긴발톱을 가진 새의 고기, 또는 육식하는 새의 고기

f.      animals that are enjoined by Islam to be killed including mice, scorpions, snakes, crows, centipedes, etc;
, 스콜피언, , 까마귀, 지네


g.     animals that are forbidden to be killed including ants, bees and woodpeckers;
살육이 금지된 동물 : 개미, , 딱다구리


h.     creatures that are considered filthy by the public such as lice and flies; and
일반적으로 더럽다고 알려진 , 파리
       

i.      animals that live both on land and in water (amphibians) such as frogs and salamanders.

         개구리나 도룡뇽 같은 수륙양생동물 (양서류)


ii) Aquatic Animals (해양동물)

 

Aquatic animals are those, which live in water and cannot survive outside it, such as fish. All aquatic animals are Halal except those that are poisonous, intoxicating or hazardous to health.

물고기 같이 수중이외에서는 생존 불가능한 해양 수산물. 독성이 있거나 사람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수중동물들을 제외한 모든  것은 하랄임.

 

2.          Plants  (식물)

 

All types of plants products are Halal except those that are poisonous, intoxicating or are hazardous to health.

독성이 있거나 사람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식물들을 제외한 모든  것은 하랄임.

 

3.          Drinks (음료)

 

All kinds of water and beverages are Halal as drinks, except those that are poisonous, intoxicating or are hazardous to health and that are mixed with "najis" e.g. alcoholic beverages, flavouring wines, etc

독성이 있거나 사람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음료와 알콜성분이 있는 음료들을 제외한 모든  것은 하랄임.

 

 


다합에서 밥을 먹을 때 찾아왔던 새끼고양이가 있었다. 반가워서 버터바른 빵이나 딸기잼바른 크레페조각같은 걸

던져주다 보니 다음 식사 시간에도 알아서 찾아왔댔다. 스스럼없이 옆에서 세수도 하고 눕기도 하고 뒹굴기도 하는
 
모습을 보니까 전번에 제대로 쓰다듬어줬구나, 하는 확신이랄까.ㅋ 내 허벅지가 만든 그늘에서 편히 웅크리고

쉬고 있는 고양이를 보며, 내 가슴 속에 올려놨던 고양이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이제 나도 누구 한사람 대략

품어줄 만큼은 큰 거 같다고. 그래도 이제 내 호흡에 버거워 주위 사람들 못 챙기거나 신경못쓰는, 소중한 사람을

못 품어주는 일은 없을 거라는 나름의 자신감이 생긴 거 같다.

카이로-시와-알렉산드리아-아스완-룩소-다합-카이로..

마지막을 향해 가는 여행, 카이로를 향해 10시간 버스를 달렸다. 자리가 저번보다 훨씬 편했는지라 문제없이 내내

잘 수 있었다. 어제 중간에 한 잠 자주지도 않고 바다에서 쉼없이 놀았던 게 생각보다 많이 피곤했던 듯. 사실

밤새 달리는 동안 버스는 몇 차례나 멈춰서곤 했었다. 참 이놈의 동네 차도 널럴하게 몰고 다닌다고 생각하며 이왕

멈춰선 김에 해뜨는 거나 보자고 생각했다. 첨에는 아무 이유없이 바다일 거라 믿었던 길 양쪽, 어둠이 양껏

웅크리고 있던 그곳이 실은 먼지 뽀얀 황무지란 사실이 슬슬 드러나기 시작할 즈음, 군인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이미 앞에 멈춰섰던 차를 샅샅이 뒤지고 우리차로 온 참이었다. 모든 짐을 다 꺼내놓고서 하나하나 풀어

헤치며, 가방검사를 하고 있었다. 이건 무슨 생쇼인가, 하고 있는데 결국 내 차례가 다가왔다. 아무리 이집트가

관광객을 보호하고 관광산업을 지키기 위해 군인과 경찰을 온동네에 풀어놓은 경찰국가라고 해도 왠 소지품검사?

어쩌면 다합에서 다른 곳으로 마약이나 다른 물건들이 밀반입될까봐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황무지를

가로지르는 길 한구석에 몰아세워진 채 가방을 줄세워 차례로 열고 있는 모습이란 좀 씁쓸하다. 다른 외국인

여행자들도 다들 툴툴대며 불만가득한 표정이면서도 여권 보여주고 짐 풀어주고.


내 차례는 금방 지나갔다. 어디서 왔냐고 묻고는 여권만 보고 가버렸다. 하긴 혼자서 40명분 가방을 일일이

뒤지는 게 얼마나 짜증났겠어. 조금 후에 버스는 다시 출발했고, 난 다시 편하게 잠들었다. 이번엔 아까보다

조금은 더 편하게 잘 수 있었다. 옆자리에 앉아있던 아저씨가 어느 순간부터 문득 눈에 띄지 않아서 발을

쭉 뻗었다. 그가 잡히지 않기를 기원했다.




17시간여, 수많은 체크포인트(검문소)와 검표원에게 여권을 티켓을 보여줘 가면서 도착한 다합(Dahab).

룩소에서 다합까지 장장 17시간에 걸쳐 가장 큰 소원은, 의자를 한뼘만 뒤로 젖혔으면 하는 거. 하필 내 자리는

젖히는 레버가 고장난데다가, 90도, 딱 그 각도에서 움직일 줄 모르고 치솟아 있는 거다. 어찌나 답답하고

불편하던지, 열일곱시간 내내 이리뒤척 저리뒤척. 온몸의 근육이 다 뒤엉키고 뒤틀리는 느낌이었다.

짐부터 숙소에 부려놓고 이제 허기가 뭔지조차 잊어버린 배를 달래주러 밖으로. 확실히 홍해 건너 사우디가

바라보이는 바닷가 휴양도시라 물가가 비싸다. 해변 한번 쭉 돌아보고, 제일 사람이 적어보이고 평온해 보이는

레스토랑에 들어가서 이집션 아침먹고 이제 모르겠다. 눈앞에 바로 펼쳐진 파도, 머리위의 파라솔, 늘어지는

긴 의자, 배는 부르고 파도소리 황홀하고 바람도 시원하고. 그래, 쉬더라도 눈앞에 뭔가 그럴듯한 걸 병풍처럼

둘러놓고 쉬어야지, 그냥 호텔 방안에서 디굴대는 건 아니다. 남들 다 바쁘게 움직이는데서 혼자 늘어져있는

것도 그다지 내 스타일은 아닌 거 같고. 그래서 푸욱 쉬었다.

그렇게 세네시간 바다보면서, 또 바다를 들으면서, 그림자가 방향이 꺽여 내가 앉던 자리를 두번인가 바꾼 거

빼고는 정말 아무 것도 안 했다. 저녁때가 되고 해가 뉘엿뉘엿 해질때까지도 그럴 수 있겠던데, 세시 좀

넘어서는 일단 인나서 샤워하고 다시 나워서 바다에 들어가기로 작정했다. 여태 breaking the ice는 할 만큼

한 셈이니까, 본격적으로 친해져 봐야지 하고. 숙소에서 나오는 물은 약간 짭짤한 게 아마도 바닷물을 어찌

바꿔서 수도로 끌어들이는 듯하다.


생각보다 파도가 높았고, 물은 생각보다 차가웠다. 맑고 깨끗하길래 그냥 맘놓고 파도에 몸을 맡긴 채 출렁출렁.

한시간도 채 안 있었는데 체온이 뚝 떨어졌다. 태양은 여전히 이글이글 모드지만, 아마 여기가 40도를 오르내리던

아스완이나 룩소보다 훨씬 북쪽이라 그런지 아님 그 동네서 워낙 단련이 된 건지 사실 다합은 그다지 덥단 느낌은

없었다. 바다라는 거대한 온도조절장치가 효과를 발휘한 건지도 모르겠다.

다합엔 유적이나 기타 입장료 낼 게 하나도 없고, 그저 바다다. 바다랑 긴 의자/파라솔 세트. 아무 레스토랑이나

카페 들어가서 제대로 갈린 망고쉐이크가 서비스로 나오는 초콜렛 핫케잌같은 음식 시키고 걍 한나절 개기면서

딩굴딩굴, 물담배도 피고, 마약해보지 않겠냐고 은근히 물어오는 사람들이랑 수작을 부려주고. 천국이다.

삼일정도 아무것도 안 하고 걍 눈뜨면 바다나와서 아무 긴의자에 철푸덕 앉았다. 홍해 건너 사우디아라비아의

왕국서 해가 기어코 탈출하는 걸 보고 나면, 다시 들어가서 씻고, 잠시 나른함을 즐기다가 다시 나와서 하루종일

걍 해변가에 바로 붙은 긴의자, 혹은 양탄자바닥, 혹은 모래사장에 왠종일 누워 바다소리를 듣고, 바다빛깔을

보고, 지나다니는 고양이랑 놀기도 하고. 배고프면 전과는 다른 메뉴 시켜서 맛나게 먹고, 더워지면 바다에

뛰어들어 잠시 놀아주기도 하고, 그러다 문득 쓰고 싶어지면 노트를 꺼내 일기도 적어보고, 적어놓은 거 읽어

보기도 하고. 혹은 론리가이드북을 내키는 대로 펴놓고 읽기도 하고. 삐끼 아저씨들이랑 야한 농담같은 것도

주고받고,ㅋㅋ

그렇게 삼일동안 바다만 끼고 살았다. 정말 이게 릴랙스...라는 느낌이 들면서, 해지는 거 봐주며 물담배도

피워올려보고, 밤바다에 주저앉아 생각나는 노래 전부 불러보기도 하고.(난 이러면서 왠지 상실의 시대에서

나오코에게 바치는 그 멋진 장례신이 생각났다ㅋ) 24, 23, 21, 나이를 거슬러가 보기도 하고, 바다조차 흐른다.


문득 바다랑 피라밋이랑 닮았단 생각이 들었다. 파도를 예측할 수 있을까. 태양의 위치, 바다면의 굴곡, 재질의

차이로 인한 온도의 차, 자잘한 돌들의 방해, 해수 자체의 온도차와 그로 인한 별도의 작은 흐름..해수 표면에

떠있는 온갖 부유물들과 바람이 뒤흔들고 지나는 힘. 드문드문 새들의 날갯짓이나 부릿짓, 배가 만드는 파문에

물고기들이 튀어오르는 소소한 파문까지. 이 모든 걸 다 고려하고 파도의 움직임을 예측하거나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곤 생각지 않는다. 왜 일부러 더 어질러 볼라면 어딘가 어색하듯이, 혹은 아무리 멋지게 꾸며보려 해도

어딘가 부자연스러움이나 부담스러움이 꼭 느껴지기 마련인데, 바다는 그런 게 없다. 피라밋, 오천년의 시간으로

씻겨내어진 피라밋도 그랬다.


인간과 자연의 타협점이랄까, 여행와서 숱한 건축물과 유적, 풍경이나 자연들을 봐왔지만 결국은 자연스러움의

지향, 사막..바다..산..조금은 거릴 두고 보는 게 좋고 직접 그안에 들어가게 되면 잘 보이지가 않는다. 그걸

닮아가는 피라밋, 이슬라믹카이로, 터키 셀축의 유적들.


생각해보면 제대 휴가나와서까지 노가다를 뛰어 모은 돈으로 나온 여행이었다. 그것도 제대한지 사흘만에

비행기 잡아타고 나선 길, 사람이 늘어짐을 넘어서 마치 잔뜩 허물어진 벽이 마침내 더이상 무너져내릴 데가

없을 때까지 무너져 내리듯, 그렇듯 무너져 내려 쉬었더랬다.




이집트는 묘한 나라다. 피씨방에서도 코란 독경소리를 엠피쓰리로 듣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또 아침식사를 하러

들어간 식당에서는 자신의 휴대폰에 담긴 야한 동영상을 어깨동무하고 같이 보자는 점원도 있다. 즐감해 주고, 몇마디

농담을 나누다가 카르낙 신전으로 향했다.

몇 대의 왕에 걸쳐 계속 확장되고 보수되고 고쳤다는 카르낙 신전. 전날 왕의 계곡을 자전거로 도느라 완전히 지쳤어서

오늘은 좀 여유있게 다니려 했는데, 이 신전 하나만 돌아보는데도 두세시간은 걸릴 듯 했다. 룩소에 도착해서 알게 된

친구 칼리드가 말한 대로 세 시간 정도는 할애해야 그 사이즈에 대한 느낌을 온전히 품을 수 있었던 것 같다.

기둥이 수백개는 되는 듯 했다. 아마 최근 트랜스포머2에서 나왔던 이집트의 신전이 여기가 아닐까, 보면서 혼자

생각했는데 영화 속에서는 카이로 기자의 피라밋 옆에 딱 붙어있는 신전처럼 나왔던 거 같다. 영화적상상력이란 건가.

그나마 다합으로 떠나기 전 룩소에서의 마지막 방문지를 칼리드와 함께 다닐 수 있어서 사진이 좀 남았다.

그래서, 터키의 카파도키아에서 한국인누나들이 그랬듯, 아스완서 렌이 그랬듯, 룩소르에선 칼리드가 출발할

때 배웅해 주었다. 머, 앞길을 선명한 비전으로 가다듬고 오겠다거나, 세상에 다시없을 무언가를 보고 느끼고

오겠다거나, 그런 거창한 걸 바라고 온 여행은 아니었는데, 내가 하고 싶은 걸 하고 다니며 자유로움을

만끽했다는 게 제일 큰 뿌듯함인거 같다.

내가 무언가를 왜 하고 싶냐, 고 스스로 자문했을 때 왜냐믄 내가 그걸 하고 싶으니까. 라는 대답으로 충분하다는
 
것. 아마도 대뇌피질쯤에 각인되었을 그 무수한 해돋이와 석양의 풍경, 매혹적인 온갖 자연의 풍광들과 인간이
 
이루어놓은 호방하고 때론 우악스러운 유적..건축물들은 덤, 쯤 되겠다.

그리고, 생각지도 못하게 마주치고 말을 섞고 혹은 잠시나마 여행을 함께 한 사람, 사람들.. 언제나 난 사람들에
 
기대를 덜 걸었고, 그래서 언제나 사람들은 내게 선물과도 같이 주어지곤 한다.


* 비분강개하게도, 인물이 사진 주제를 많이 훼손시킨 사진들.

알고 보니 거기서 왕의 계곡 입구까지가 또 500미터다. 자전거를 묶어두고 왠 모노레일같은-에버랜드에서 본 듯한-차를

타고서야 제대로 도착해서, 람세스 6세가 묻혀있는 무덤부터. 아직도 그 색이 그토록 선명하게 남아있으리라곤 생각도

못했다. 루트모스3세나 람세스2세 모두 공사중이어서 세크메트랑 람세스9세의 무덤을 들어가봤는데, 이제서야 좀

히에로글리프랑 그림들이랑 친해진 느낌이다. 왠지 소화가 좀 되는 듯 하달까. 여태까진 그 압도적으로 수다스런

그림들에 다소 질렸거나 소화불량에 걸린 것 같았다.

내려와 돌아오는 길은 쉬웠다. 그 모노레일같은 차에 일단의 여행객들을 태우고 출발하려던 가이드 하나가 나를

자신 옆자리에 끌어앉혀주는 덕분에 난 공짜로 그 웃긴 차를 타고 내려왔고, 그 아저씨의 '안녕히 가세요'란 인사를

받으며 신나게 자전거를 달려 내리막을 주파했다. 그대로 Tombs of Nobles로.

뜻밖에도, 그 무덤군이 소재한 구릉들 위에 그대로 왠 판자촌 같은 마을이 세워져있다. 경찰할아버지가 굳이

붙여주려던 가이드를 사양하고 올라가다가, '야방'이라는 이름의 꼬마애한테 잡혀서 길안내를 받게 되었는데,

이녀석 상당히 착실하고 눈치도 빠르다. 일본인 여행자들이 야방, JAPAN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고 했다.

7개나 되는 띄엄띄엄 떨어진 무덤들을 도는 동안 별 얘기없이 밖에서 계속 기다려주고, 열쇠를 가진 무덤지기

아저씨들도 열심히 불러다 준다. 애초 가이드가 없이는 잠긴 문 너머 무덤들을 들어갈 수가 없었던 거였다.

막판에 혹시나 하고 물병을 건네니 몹시 목이 말랐던 듯 순식간에 다 마셔버리는 걸 보고 조금 미안해지기도 했다.


워낙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긴 했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건 Senifer의 무덤이다. 천장이 온통 싱그런 보랏빛깔

포도덩굴과 포도그림이었다. 그린지 몇년 되지 않았다고 해도 믿을 수 있을 정도로 잘 보존된 데다가, 워낙에

색감이 이뿌게 잘 표현되어있었다. 어찌나 멋지던지 무덤밖으로 나오기가 싫을 정도였다. 나머지도 모두 멋졌다.

정형화되고 위엄을 부리려다 다소 딱딱해진 느낌의 왕들보다 훨씬 자유로워보이는 그림 스타일에, 풍경화같이

그려진 일부 이색적인, 실험적인 그림들, 카르투쉬와 히에로글리프가 아예 없거나 적당히 감해져 있어서 더욱

그 참신함이 돋보였던 것 같다.

그 무덤 중 하나였던 듯 한데, 사실 이집트의 Hieroglyph란 거, 저런 식으로 모두가 채색되어 있었다는 거다.

왠지 예기치 못한 색깔의 선택, 그리고 생각보다 훨씬 다채로운 색감이 선명하게 남아있는 그림을 상상할라치면...

이집트 외딴 오아시스 마을에까지 수다떨 준비가 되어있는 그들의 넘쳐나는 유산들을 본다면, 거기가 아마도

상상력의 경계쯤 되지 않을까.

만반의 대비를 하고 자전거에 실었던 2리터들이 물통 세개가 반나절만에 비어버렸다. 너무 지쳐서 중간에

기념품점에 들어가서 콜라 한병 마시며 구경하다가, 무덤에 가서도 지하에 위치한 덕에 품고 있는 냉기에

감사하며 한참이나 쉬고, 그렇게 움직였다. 그러면서도 끝내 람세스3세의 신전...메디나 하부까지 돌아봤다.


그가 여느 왕들보다 훨씬 깊이, 그리고 강박적이다 싶을 만큼 많이 파놓은 왕의 상징, 그의 카르투쉬를 보고

있자니 왠지 비감함이랄까 안쓰러움마저 들었다. 보통 남들은 1센티정도의 깊이로 카르투쉬를 조각해 놓는데,
 
그의 것은 무려 4-5센티? 그 정도 깊이로 조각해 놓았댔다. 애비에 대한 자격지심이었을까, 아니면 잊혀지는

게 그토록 두려웠던 걸까. 왠지 군대 갈 즈음의 내가 떠올랐다.


* 왕의 계곡 입장권 퍼레이드.









생각같아선 6시에 딱 룩소르 서안에 도착하고 싶었지만, 자전거를 빌리는 게 아무리 빨라야 7시가 넘어야 가능하다고

했다. 아침삼아 간단하게 바싹 마른 팥빵..? 파이 비슷한 걸 먹고 출발했다. 내셔널 페리 선착장이 워낙 머니까 그냥

자신들의 펠루카를 타고 나일강을 건너라 했던 펠루카 호객꾼의 구라와는 달리, 자전거로 한 10초 달리니까 바로

선착장이 나온다. 정말, 딱 10초 달렸는데 선착장이 나왔다. 대단한 구라빨이라 해야할지..

신나게 좀 달린다 싶을 때 덜컥 멤논의 거상이 나왔다. 네이*에 빌어 나온 자료사진, 이왕 찾아본 김에 설명도 좀

덧붙이자면 테베 근처 왕실 무덤군인 네크로폴리스의 입구에 있는 이 거상은 로마시대에 각광받았던 관광지라고

전해진다. 실제 크기는 이렇게 사진으로 볼때보다 훨씬 더 크단 느낌은 있지만, 워낙 허물어져서 그런지 뒤의 황량한

돌산과 함께 그저 황폐하단 느낌이 짙었다. 그래도 이 거상들이 왕과 왕비들, 귀족들의 무덤을 지키고 있는

수호자들이었을 거란 생각을 하니, 자전거 페달 밟는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무덤 중 가장 볼만하다는 네페르타리 여왕의 분묘는 역시나 닫혀 있다는 이야길 듣고 살짝 실망했다. 가장 먼 왕의

계곡부터 갔다가 고만고만하게 붙어있는 나머지 무덤군들을 좀 더 지나 해가 중천에 뜨고 더워질 때 돌아볼 작정으로

페달을 밟았는데 무진장 힘들다. 온통 그늘 한 점 없는 아스팔트 도로 위를, 그것도 약간 오르막길인데다가 벌써부터

미친듯이 무덥다. 해서 길을 틀어 합셋수트 신전부터.

어디선가 한번쯤 본 듯한 건물이다. 아마도 인디아나 존스였던가, 뭐 그런 데였을 거다. 돌산을 깍아내고 또 가공한 돌을

차곡차곡 이어붙혀 만든 건물이라는데, 크기도 크기지만 그 위치가 정말 절묘하다. 산 중턱에 덜컥 붙어있는 모양새랄까,

산은 온통 붉은 빛. 보기만 해도 가슴이 황량해지고 마는 그런 무생물스러운 산이다. 생명체 하나 품지 않을 것 같은 산.

신전도 같은 빛깔이다. 죽은 이들만 품을 듯한 느낌의 황량한 신전.

그런데 또 그쯤에서 룩소르를, 나일강 동안을 되돌아보면 온통 초록빛이다. 뭔가, 인디아나 존스가 식인종이 우글대는

정글이 지난다거나 온갖 고초를 겪은 후 짜잔, 하고 나타나는 낙원 샹그릴라나 잃어버린 성지처럼 그렇게 어슴푸레

나타난다. 야자수도 잔뜩 보이고, 약간의 건물을 제하면 마치 환영인 양 신기루처럼 펼쳐지는 싱그런 녹색 대지.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구경하다가 거기서 일하는-아마도 가이드인양 박시쉬를 잔뜩 뜯어낼 법한-아저씨들이 모여앉아

있다가 날 부른다. 경계모드로 돌입, 일단 순순히 가보니까 밥먹었냐고, 같이 빵이랑 차 먹자고. 설마 이렇게 많은

사람들한테 일일이 박시쉬-팁-을 주지는 않아도 될 거고, 먹고 보자는 속셈 반, 꼬질꼬질하고 새까맣게 타버린 내가

2리터들이 물병 세개를 든 채로 땀을 삐질삐질 흘리는 게 얼마나 불쌍했겠나 하는 공감 반, 함께 앉았다. 히에로글리프가

잔뜩 남아있는 돌멩이를 깔고 앉아 아저씨들과 함께 빵과 차를 나눠 먹었다. 여전히 발굴중이거나 복구중인 모양인지,

유적 잔해들이 걍 난해하게 흩어져있는 걸 아저씨들은 의자로 쓰고 있었다.

잠시 쉬다가 인사하고 다시 왕의 계곡으로, 어찌나 먼 길이던지. 게다가 그 먼 길에 어떻게 표지판 하나가 없을 수

있는지. 그러고 보니 시와 오아시스 마을도 그렇고 어디에서든 투어 위주로, 투어가 제일 편하도록 해 놓았을 뿐

개별 여행자들을 위한 배려나 안내표지판 같은 것에 꽤나 인색한 것 같다. 땀을 삐질대며 구비구비 고갯길을

돌아오를 때마다 실망하길 몇 차례, 지쳐빠질 때쯤, 혹은 길 잃은 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엄습할 즈음 나타난

왕의 계곡 매표소.

캐나다 의사아저씨 렌과 펠라페를 맛나게 먹구서는 걍 기차역에 마침 서있던 기차를 덥썩 잡아탔다.

3등칸이었다. 2이집션파운드(400원 가량?)만 내고 에드푸까지 갈 수 있었는데, 덜컹이며 무심히..요샛말로 '시크하게'

달리는 허름한 기차는 이제 우리는 없애버린 경춘선 열차랑 비슷한 분위기를 풍겼다. 아, 난 애초 내가 탔던 칸에서

쫓겨나는 수모 아닌 수모를 겪긴 했다. 외간남자와 함께 앉아있을 수 없다며 거세게 손사래를 치는 검은 차도르

차림의 아주머니들이 옆칸으로 밀어냈던 것. 유일한 외국인이었던 나는 머..그저 느낌으로 그렇게 이해했을 뿐이지만,

사실 알고 보면 남자인 것에 상관없이 내 생김새가 맘에 안 들었다거나 그런 건..아니길 바랄 뿐.


오히려 다행이었다. 옆 칸에 가서도 역시 유일한 외국인으로 만인의 시선을 한몸에 받았지만, 친절한 이집션 부부와

아이들을 만날 수 있었다. 빵에 치즈를 발라서 주기도 하고, 기차칸서 간식으로 팔고 다니는 볶은 콩..아마도 소금물에

푹 절였다가 볶은 듯 엄청나게 짰던..그런 것도 사서 듬뿍듬뿍 나눠주고 그랬다. 아마 적도에 인접할만큼 뜨거운 동네니만치

땀을 많이 흘리는 것에 대항해 염분을 보충하려는 건가, 그렇지만 이건 너무 심하잖아, 왕소금을 씹는거 같은 느낌이라구

운운 혼자 머릿속으로 툴툴거리면서도 그들의 부드럽고 편안한 분위기에 절로 웃음이 났다.  

3등객석은 생각보다 괜찮은 편이었는데, 마치 우리나라 옛날 기차처럼 닭 같은 것도 들고 타고, 짐보따리도 잔뜩 

이고 타고, 그런 류의 푸근함이 느껴졌다. 나일강을 끼고 덜컹이며 유유히 움직이던 그 열차칸의 진동과, 흔히 외국인의

암내라 부르는 것과는 또 다른그 짙은 이질적인 내음, 닭털이 날리고 사람들의 와글와글함 사이에서 동그마니 던져져

있던 날 이어준 건 그 사람들의 따스한 정이었다.


나른하고 유유자적한 기차의 율동감에 나도 몰래 졸고 있다가, 아까 그 가족들이 깨워줘서 에드푸에 내려서 제일 먼저

만난 사람은 경찰이었다. 자기들끼리 잔뜩 뭐라뭐라하더니 택시 타라면서 차 한대를 잡아준다. 십오 내랬다가 십 내랬다가.

나름대로 깎는다고 오파운드 불러놓고는 배짱 튕겼더니 뭐, 일단 타기로 했다. 근데 이게 알고 보니 이게 택시가 아니라

일종의 마을버스 같은 거였던 거다. 차 뒤 짐칸이 개조된 곳에 사람들이 잔뜩 서서 타고 내리는 걸 함께 부대끼면서

이게 절대 오 파운드일리가 없다 싶었다. 내릴 즈음 다른 사람들처럼 오십 피아스타만 내고 내려버렸다. 

신전엔 거의 아무도 없었다. 있어도 이집트인 관광객 하나둘. 고즈넉한 분위기와 어디선가 시작된 아잔의 메아리소리가

신전벽면을 가득 채운 그림들을 우르릉 흔드는 느낌이었다. 걍 앉아서 하염없이 그림보고 히에로글리프 보고 하다가,

이제 됐다 싶어져서 다시 기차타러 출발. 많이 더워져서 망고주스를 애타게 찾다가 큰 컵에 1.5EP라는 곳을 발견,

연이어 두잔을 들이키고 한잔을 사서 물병에 옮겨담았다. 이건 거의 중독이다. 여기에 마약탄 게 아닐까 싶을 정도.


다시 기차역, 3등차를 타고 룩소르에 입성했다. 꾸준히 나일강을 끼고서, 나일강물의 빛깔은 뭐랄까, 심오해보인다.

투명하게 맑지도 않고, 그렇다고 더럽다거나 거부감이 들지도 않는...적당한 의뭉스러움과 요요함을 숨긴 듯한.

룩소르 피씨방에서 칼리드라는 이집션을 만났다. 피씨방에서 미니홈피를 확인하다가 알바생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그 알바생이 자신의 친구를 소개해주고 싶다는 거다. 다짜고짜 넘겨준 전화통을 붙잡고 사실 적잖이

당황했고 이걸 어째야 하나 싶었는데, 짧고 성긴 대화가 오간 잠시 뒤에 그는 피씨방으로 직접 찾아왔다.

콧수염, 턱수염도 그럴듯하고 풍채도 딱 벌어진 게 아저씨스럽다 싶었는데, 알고 보니 고작(!) 스물하나. 아직

대학생이고 투어가이드가 되는 게 꿈이라고 했다. 내친 김에 룩소르 신전의 야경을 보러 같이 가지 않겠느냐는

제안에 혹해서 또 따라나섰지만 혹시나 몰라 경계심은 살짝 유지하기로 했었다.


룩소르 신전 입구서 한 '코리언'을 만났다. 칼리드가 먼저 알아보고 내게 저기 '코리언'이 있다고 말해줬다.

외국에서 한국인을 꺼리는 병이 도져 잠시 쭈뼛거리는데, 그에게 몇몇 이집션 애들이 다가와서 돈달라고 손내밀고

그러는 거다. 그러자 바로 한국말로 터져나온 욕의 향연. 마치 여긴 내가 하는 말 아무도 못 알아들을 테니 걱정없이

상스러워질 수 있다는 듯이. 질려버려서 걍 멀어져버렸다. 단지 과거의 돌덩이들만 보러 여행온 건 아닐텐데..

거기서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건지. 상대적으로 칼리프에 부쩍 호감을 갖게 되어, 그의 그럴듯하게

자세가 잡힌 설명을 들으면서 룩소르 신전의 아름다운 야경을 잔뜩 구경하고, 뭔가 스토리가 잔뜩 웅숭그리고 있던

그곳의 정취에 함뿍 젖을 수 있었다. 빛이 모자라 잔뜩 흔들리고 깜깜한 사진들과 함께. (그래서 사진이 없다..ㅡㅡ;)


북아프리카의 강렬한 태양 아래, 반짝반짝 파랗게 빛나는 수평선이 창문틀 위로 쑤욱 올라서있다.

빳빳하게 긴장한 태양은 시커먼 먹지같은 카펫에다 창문틀 모양의 빨간 도장을 쿡 찍어버렸고.


어쩌다 창문 너머로 수평선이 올라서 있는 그림을 보게 되면 뭔가 되게 어색하다고 느꼈었던 것 같다.

눈의 착각이거나 시점의 높이로 충분히 가능한 일일 텐데, 이렇게 직접 사진으로 구현된 그런 모습을

보니까 이제서야 납득이 간다. 여전히 살짝 어색해 보이는 완고한 느낌은 어쩔 수 없지만.

알제리의 환율은 2009년 5월 현재 US$1 = AD72.3289. 400,000 알제리 디나르였던가..그다지 크지 않은 돈을 갖고도

저렇게 푸짐한 돈뭉치와 똥글박이들을 (잠시나마) 쥐고 있을 수 있다는 건, 꽤나 기분좋은 일이었다.

김정은이 그토록 외쳐댔던, "여러분~ 부자되세요~" 전 부자됐어요~* 라고 답해주고 싶었다는.


P.S.

저녁시간이 되어 문득 생각나는 그때의 만찬..배고프다..T^T

알제리는 회색빛 뽀얗고 희멀건한 색감 만큼이나 무색무취해 보이는 동네였지만, 사실 알고 보면 사람사는 곳에 다

노는 곳도 있는 건 인지상정. 시내에 위치한 호텔 지하나 인접한 곳에는 술집도 있고, 다소 진하게 놀 수 있는 나이트도

있다고 한다. 사실 묵었던 호텔 지하에 있는 나이트가 정말 물이 좋다느니 그런 이야기는 들었는데, 못 가봤다.


대신 우리가 현지에서 채용했던 Amir의 소개로 도착한 곳은, 그의 페이버릿, 그래도 알제리 수도 알제에서 가장

핫(!)한 공간 중의 하나라고 했다. 입구에서부터 벌써 번쩍번쩍한 장식품들이 쫙 늘어서 있고, 떡대가 딱 벌어진

아저씨가 우리를 맞았다.


카메라는 안 된댄다. 안에서 촬영도 금지되어 있고, 혹시 찍다가 걸리면 쫓겨난다고 엄포를 잔뜩 주는 떡대아저씨.

안 찍을 테니 카메라는 들고 가겠다, 협상을 시작했다. 만의 하나 한장이라도 건지려는 마음도 있었고, 맡아둔단

말이 도무지 신뢰가 안 가는 바람에 배터리를 몽창 빼들고 손위에 올려놓아 보여주었다. 


카메라는 들고 들어가라는 허락이 겨우 떨어졌다. 그러면서도 사진은 안된다고 몇번이나 당부하는 걸 잊지 않았다.

대체 왜? 아미르에게 물었더니 아마 알제리 같은 외견상 이슬람 국가에서 이렇게 자유롭게 술을 마시고 공연을

감상하는 술집이 있다는 걸 외부에 보여주고 싶지 않기 때문일 거라 했다. 유튜브니 블로그니 워낙 정보통신이

발달한 탓에, 이른바 '국가 이미지'가 손상되는 걸 바라지 않을 거고, 가게 입장에서는 또 국가로부터 어떤

피해를 입을지 두려울 테니까. 그제서야 좀 납득이 갔다.

그래도 기어코 찍어버린 한 장. 사막에 세워두고 생활했던 천막같은 내부 인테리어도 특이했고, 앞쪽에서 수피 댄스니

마그레브 지역 전통음악이니 하는 공연을 하는 가운데 술과 푸짐하고도 맛있는 안주를 즐길 수 있다는 게 정말 좋았다.

맥주, 위스키, 보드카, 럼, 꼬냑에 와인까지 없는 주종이 없었고 양갈비 같은 알제리 전통음식을 먹어본 중 가장

맛있게 나왔으며, 밤이 깊어질수록 손님들이 그득그득 들이찼다. 금발로 염색한 알제리 아가씨하며, 귀걸이를 하고

피어싱까지 한 알제리 청년들. 그리고 드문드문 섞여앉은 외국인들까지.


다소 음침한 느낌의 조명아래 뿌연 담배연기가 흘러다니고 있었다. 킁킁, 냄새를 맡으니 사과향 물담배다.

시샤, 라고도 불리는 물담배는 터키, 이집트에 여행다닐 때 맛을 들여서 이후 여행의 추억을 떠올릴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던 아이템이었는데, 국내에선 사실 너무 비싸서 엄두도 못 내고 말았던 터다. 이집트에선 한 대에 천원도

채 안들이고 했는데 국내에선 거의 만원가까이 줘야 가능하니.


한번도 시샤를 태워본 적 없으시다는 전무님의 마음을 움직여, 사이좋게 사과향 시샤 한대를 나눠 빨았다.

부드러우면서도 뭔가 짙은 느낌의 시샤 연기. 게다가 촉촉하고 달콤한 사과 향기가 싱싱했다.

나오는 길에 발견한 거대한 물담배 기구. 뱀처럼 돌돌 말린 저 파이프를 통해 물담배 연기를 빨았으면 뭔가 더욱

연기가 순하고 맛깔나지 않았을까. 다시한번 고심...물담배 기구를 세트로 사가야 해 말아야 해?

다음에 알제리 갈 일있으면 잊지 않기 위해, 그리고 혹 다른 분들 알제에 가시면 한번 추천해 드리려고 스캔해서 올렸다.

(전혀 그 쪽과의 커넥션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리는 바임다.ㅎㅎ)


어제, 그러니까 6월 10일. 하얏트호텔에서 하루종일 행사가 있었다. 뷰가 좋다는 2층 룸이 행사장이었지만

저번에 왔을 때와는 달리 하늘이 온통 시커멓고 꿉꿉하다. 스모그인지, 안개인지, 먹구름인지.


저번엔 서울 시내가 멀리까지 내다보였던 화창하고 반짝이는 날이었는데, 정작 카메라가 없었다.

배너나 마이크장비, 통역 부스나 테이블 스탠드 같은 것들 확인하고 발표자들 피피티 자료를 리허설해 본다.

며칠씩 속썩였던 자료집, 올컬러에 양국 정상 축사가 들어가는 바람에 꽤나 신경써야 했다. 언제나 그렇듯

헤드테이블에 앉으려는 자칭 V.I.P., very important person은 차고 넘치기 마련이다.

시간이 조금 지나면서 빗방울에 흐렸던 하늘이 개기 시작했고, 시야도 조금씩 넓어지기 시작했다.

이건 흡사 스타크래프트의 치트키, "Black sheep the wall" 아닌가.

그러고 보니 눈에 들어오는 이태원 고갯마루 위의 모스크 첨탑. 하얏트 호텔이랑 이태원이 가깝단 걸

잊고 있었다. 참...모스크의 미나렛치고는 참...안 이뿌다. 여기뿐 아니라, 조금씩 건물들의 스카이라인이

식별되고는 있다고 해도, 별로 눈에 딱 띄게 이뿌다거나 인상을 던질 만한 구석이 안 보인다.

줌으로 땡겨보니 저멀리 아스라히 트레이드타워, 그리고 타워와 마주한 한전 건물이 보이긴 하는데, 그 역시 그닥.

앞으로 용산이니 어디니 100층 이상 초고층 건물들이 우후죽순처럼 늘어서면 조금 스카이라인이 이뻐질까. 이뿌단

게 뭘 말하려는 건지 나 역시도 잘 모르겠지만, 단순히 삐쭉삐쭉 세워댄다고 이쁠 거 같진 않다.

오찬장 사전점검. 'Taste of New Zealand'라는 타이틀이었던가. 예컨대 그런 식이었다. 뉴질랜드산 등심스테이크,

뉴질랜드산 와인, 그리고 뉴질랜드식 디저트. 거기에 약간씩 한식이 퓨전처럼 한발 걸쳤다. 스테이크 옆엔 잡채와

물김치, 김치류가 서브로 나오는 식이고, 음식에도 불고기 양념이 쓰인 정도.

뽀얀 창밖의 기운을 머금은 말간 글래스들이 이뿌다. 쨍쨍 소리를 내며 경쾌하게 테이블 위에 앉아 노닥거리는 듯.

한국 측 등록데스크. AEROK. 애록.

오후로 접어들며 날씨가 많이 개었고, 나는 전날 작가들이 시국선언을 했다는 기사를 우연찮게 읽었다.

안개/먹구름/스모그가 차근차근 벗겨지는 거대한 서울. 온통 아파트다. 스카이 라인이 이쁘기가 어려운 이유.

멀리 보이는 저 뾰족탑은 뭘까. 주위에 다닥다닥해 보이는 집들이 온통 저 뾰족탑 주변으로 몰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마치 집 한채 한채가 사람인 양, 불빛을 향한 날파리처럼 신을 향한다.

이쪽은..역삼이다. 역삼동 GS타워와 강남파이낸셜센타가 돌출해있다. GS타워는 배 모양을 차용해서 만들었다던가.

저대로 스르르 한강으로 미끄러져내려도 좋겠지만, 우선 앞길을 가로막는 아파트 군락들이 너무 많은 데다가, 운하

따위 만들어봐야 필요도 없다.

나름 은근하게 버티고 선 무역센터. 어렸을 적에 물색 모를 때는 저 건물을 보고는 63빌딩이다~하며 말똥말똥

눈알을 굴렸던 적이 있었다.
호텔 엘레베이터에서 만났던 고혹적인 벨리 댄서의 눈빛과 감각적인 손짓. 대체 이 나라는 어떤 정도로

유흥문화가 발달해 있을까 궁금하던 차였다. 물론 호텔에서 알제리의 평균적인 정서나 수위를 가늠하긴 어렵겠지만.

요런 밴드도 호텔에서 공연을 한다 하고. 호텔 내를 돌아다니다 보니 지하 1층엔 '물좋은' 나이트도 있다고 한다.

나이트를 가보고 싶었으나...함께 출장간 분들과 함께 2층의 바를 갔다.

나름 신선한 방식으로 세팅해 놓은 테이블 위 수건과 와인잔. 어둑어둑한 조명이 일단 맘이 놓인다.(대체 왜애..?)

조율만 한 십분 하는가 싶다. 쿠바에서 온 듯한 연주자들이 퍼쿠션도 두들기고, 건반도 치고, 드럼도 두들기고.

공연이 시작된 중간에도 뒷 커튼을 제치고 스탭들이 무대 위를 정돈하고 다니는, 그런 수준의 무대였지만 그대로

알제리까지 와서 이런 곳을 다 와보고. 좋았다.

조금 일찍 온 우리 일행들을 따라 조금씩 채워져가는 테이블들. 대부분 휴양을 즐기러 온 쌍쌍인 듯. 우리처럼

일에 쩔어서 잔뜩 피곤한 채 소파에 구겨진 사람들은 안 보였다.

뜨어. 그런데 가만 보니 무대 좌우측에 세팅된 티비에서 나오는 그림이 뭔가 이상하다. 아까부터 뭔가 살색이

푸짐하다 했는데, 조금 눈여겨 보니 저런 거였다.

그리고 누군가의 손길이 누군가의 몸에 닿는 이런 화면들이 왔다갔다 하고. 헉..이슬람국가라지만 알제리는

많이 개방적인 건가, 라고 생각하며 잠시 밴드의 음악은 BGM으로 깔아주고 안력을 집중해 바라보고 있자니

다음 장면, 호텔 마사지 서비스 광고전화번호. 광고였다.

다시 시선을 돌려, 그냥 잠자코 공연이나 즐기기로 했다. 한참 연주는 무르익었고, 관객들의 호응도 조금씩

열이 오르기 시작했다.

급기야, 여성 댄서가 나와 보컬과 춤을 추기 시작하자 관객들의 호응은 더욱 뜨거워졌다. 차차차~* 차차차~* 같은 리듬도

들리고, 춤을 추는 남자와 여자의 댄스가 딱딱 합이 맞아떨어져가는 것도 보이고.



 
5월말의 뜨거웠던 알제리, 얼핏 싱싱해 보이는 녹색의 푸르름은 6월말만 되면 누렇게 타들어갈 운명이었고

이미 저렇게 시도때도 없이 뿌려제끼는 스프링쿨러의 도움에 의지해 연명하고 있었다.

해변가에 붙어있던 경고문. No Lifeguard on Duty. 어쩌라고. 니 목숨은 니가 알아서 챙기라는 식인가. 게다가

No Diving. 머리깨지는 건 그래도 걱정해주는 '친절한' 안내문.

해변가를 따라 이어지는 산책로. 햇볕이 좋았다. 몸 구석구석을 파고드는 듯한 열감과 그 광선. 그런 느낌이었다.

깜깜한 곳에서 강력한 손전등을 손가락끝에 푹 눌러두면 피부가 뻘겋게 투명해지는 거. 피가 비쳐보이는 거라고도

하던데, 그런 강력한 광선 아래서 온몸을 살균소독하는 것 같달까.


바다 바로 옆을 걷는데도 습기가 없어서 더 기분이 좋았다. 이런 맛에 일광욕을 하는구나.

그치만 역시 녹색식물들이 버티기엔 열악한 환경이지 싶다. 산책로를 따라 함께 늘어진 관목들을 보자니, 잎사귀가

완전 탱탱하니 두껍고 짧막하다. 최대한 수분 증발을 막고 버텨보려는 대응 방식이겠지만, 잎새 모냥새가 좀

보기 흉하다 싶을 정도로 기능에 치중한 녀석들.

그 사이에도 스프링쿨러는 잘도 도네 돌아가네~ 360도 뱅뱅 돌며 물을 뿌려대는 통에 방심하다가 좀 젖었지만,

금세 뽀송뽀송 말라버렸다. 어찌 잘 찍으면 순간적으로 나타나곤 하던 무지개를 잡을 수 있을까 했지만 끝내 실패.

힘차게 뻗어올라선, 방울방울 흩뿌려져선 온통 사방에 바람따라 날린다.

순간 해상도낮은 그림처럼 dot, dot, dot, 점묘화로 표현되는 세상.

물줄기의 세례에서 다소 소외된 것들은 벌써부터 '타는 목마름'이다. 갈색으로 누렇게 말라붙어가고 있다.

보송보송하고 여리게 돋아난, 땅딸한 무골호인같은 잔디와는 달리, 이녀석은 억세고 튼실한 척추 위에

성긴 잎새가 얹혔다. 구름이 파닥대며 지나가고, 잎사귀도 파닥대며 훌쩍 꺽였지만. 이녀석은 꿋꿋하다.

뭐라더라, 자신의 신체 일부, 혹은 어딘가에 반사된 모습을 찍는 남성이 '초식남'이라던가. 감성과잉의 초식남?ㅋ

뭐 이번 포스팅에 풀떼기 얘기가 많이 나오긴 하지만, 초식남은 아닌 거 같은데. 까페 좋아하고 브런치 좋아한다고,

이뿐 거 좋아하고 수다떨기 좋아한다고 덥썩, '넌 초식남' 혹은 '암컷에 잘보이려 진화한 형태'따위로 분석하는

건 기분 나쁘다.


여성을 두고 '된장녀'니 뭐니 딱지 붙이는 게 번번이 그녀들의 어느 한 단면에만 날아가 붙듯, 초식남이니 마초니

하는 딱지도 그들-우리들의 작은 부분밖에 커버하지 못한다. 굳이 말하자면, 초식남과 마초 사이의 '잡식남'정도

어떨지. (이런 식으로 reflection photography에 대한 변명, & 지난 시사IN 기사에 대한 뒤끝.)



지중해와 알제리 사이에는 누렇고도 길다란 모래변이 있다. 지중해를 바로 굽어보는 호텔에서 나와 지중해로.

어제는 모랫바람이 불어온 건지 해변가 모래들이 바람에 휩쓸린 건지 온통 누런 바람이 불었는데, 다행히

오늘은 날씨가 그야말로 쾌청이다. 뭔가 황량하고 황폐한 느낌의 도로와 길가 녹지를 밟고 건너 바다로.

쉐라톤 호텔이 차지하고 있는 이 해변엔 주인없는 긴 의자들이 네개씩 다섯개씩 열맞춰 가지런했다, 위풍당당한

포신처럼 말린 파라솔을 하늘향해 쳐들고는 꼿꼿이 자세 유지 중. 발이 푹푹 빠지는 고운 모래사장이라 이미

내 구두 속은 씨름판이 된지 오래였는데, 이런 곳에서 저렇게 가지런히 긴의자를 세팅해두다니. 턱없는 감탄.


저 멀리 보이는 곶은 알제리 해방전쟁 때 프랑스군이 가장 최초로 침투했던 곳이라고 했다.

바람이 거셌다. 바람 따라 파도도 거셌다. 하얀 포말이 모래사장에 욱씬, 하며 부서져내렸다.

바닷가에 오면 늘 파도를 헤아려 보게 되는 건, 어렸을 적 무슨 동화에선가 아홉번째 파도가 그 중 크다는

이야기를 읽었기 때문이다. 그 동화에선 눈이 바다색인 바다고양이가 나왔었다.

아무 긴의자에나 털썩 주저앉았다. 의자 위 얇게, 그렇지만 빈틈없이 코팅된 모래가 정장바지와 사각거렸지만
 
뭐, 알제리의 지중해를 맞이하는 데 적절한 옷차림을 하고 나올 만한 짬은 애시당초 포기했단 말이다.

역시, 알제리의 건물들은 대부분 베이지색이랄까, 회색조랄까. 바닷가 포말의 색깔같기도 하다. 색채 부족.

뒤를 돌아보면 조막만한 그림자만을 겨우 숨긴 긴의자들이 태양 아래 희뿌옇다.

"그것은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르던 그날과 똑같은 태양이었다. 그날과 똑같이 머리가 아팠고, 이마의 모든 핏대가

한꺼번에 다 피부 밑에서 지끈거렸다...다만 이마 위에 울리는 태양의 심벌즈 소리와, 단도로부터 여전히 내 앞으로

뻗어나오는 눈부신 빛의 칼날을 느낄 수 있을 뿐이었다...모든 것이 기우뚱한 것은 그때였다. 바다는 무겁고 뜨거운

바람을 실어왔다. 하늘은 활짝 열리며 불을 비오듯 쏟아놓는 것만 같았다." (이방인, 까뮈)


아마 뫼르소 그는 바다를 등지고 있었을 거다. 바다의 요란스런 소리를 듣되 그 율동감넘치는 움직임을 못 봤기에

더위를 못 참은 게다. 

엉성하게 만들어진 해변가 한 귀퉁이의 계단. 힘주어 밟기도 겁날 정도의 바닥, 하물며 설핏 손대기조차

미안해지는 앙상한 난간.

아마도 쉐라톤 소유의 해변과 이외의 해변을 가로막아 놓은 거겠지. 모래사장과 하나도 다를 것 없는 누런 빛깔의

홑껍데기 성벽이 쉐라톤의 영지를 수호하고 있다.

그러고 보니 해변가 저편에는 깃발도 펄럭인다. 줌으로 땡겨보니 이런, 이 영지를 소유한 가문의 문장, 커다란 에스.

뭔가 깃발이 저렇게 혼자 맹렬하게 바람에 나부끼는 걸 보자니 피가 끓는다. 왜지..?ㅡㅡ;

바닷가, 그러니까 모래사장과 땅의 경계란 건 늘 모호하기 마련이어서, 표현하기도, 인식하기도 쉽지 않다.

대개 이런 식으로 돌멩이 마구 모아놓고 대충 야트막한 녹색식물 삐쭉삐쭉 꼽아놓으면 거기가 경계려니 한다.

자연스럽게 눙치고 들어가는 모래사장과 맨땅, 둘의 자연스러운 화해가 이뤄진다.

베티블루라는 영화에서 이런 비슷한 신이 있었던 거 같다. 주인공 남자가 베티와 함께 해변가의 허름한

집을 얻어 신나게 꾸미던 장면이었던가. 왠지 그런 느낌이 들어서, 다시 영화를 확인해볼만큼 열의가

뻗치진 않았으니 그냥 그랬나보다..그랬던 영화같다..정도로 넘어간다.

지단도 이렇게 해변가에서 동네친구들과 축구를 했을까? 호텔 안에는 온통 정신없고 뭔가 중요한 '척' 하는 일들이

가득한데 여긴 참 유유하다. 적당히 경쾌한 템포의 파도소리 덕분에 너무 늘어지는 느낌도 없고.

여전히 바람은 미친듯이 세게 불었다. 골대 앞 존을 그리는 사람은 몇번이고 흰색가루통에 손을 넣었다 뺐다.

손에서 흘러내린 가루들이 모래사장에 선을 그린 채 얌전히 버텨줘야 하는데, 미처 바닥에 안착하기도 전에

거개가 바람과 함께 사라진다.

붉은 황소도 뿔났다. 깃발처럼 펄럭거리던 황소가 어느 순간 똑바로 알루미늄 봉을 향해 돌진하는 자세를

취했고, 나는 몇 번의 실패 끝에 저 녀석의 각진 몸뚱이와 붉은 투혼을 기울지 않고 그럭저럭 담았다.

알제리는 불어, 아랍어, 베르베르어를 쓴다. 알제리의 수도 알제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나눠줬던 입국신고서는

그야말로 까만 건 글씨, 하얀 건 종이. 함께 갔던 불어 통역사분이 용지 한장에 무슨 내용을 적어야 할지 도움을 주셨다.

혹시 알제리에 들어가실 분들, 이 내용이 참고가 될까 싶어 올려둔다.
앞면. 한국주소는 전부 다 쓸 필요는 없는 것 같고, 도시 정도까지 써도 별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맨 마지막의 주소

(adresse) 역시 원칙적으로는 주소를 전부 쓰라고 되어 있지만 묵을 곳이 호텔이라면 단순히 호텔명만 적어도 되는

듯 하다. (어쨌거나 난 문제없이 입국심사대를 통과했으니.)

뒷면. 동반자녀가 있는 경우에나 해당되는 듯 하다. 그리고 다른 부분은 입국심사대의 아저씨가 알아서 잘 채워넣었다.

원래 그가 해야 하는 부분인지, 아님 우리 일행들이 놓친 부분을 수고로이 채워준 건지는 모르겠지만.



들고 갔던 로밍폰 한 대. 현지 대사관에서 구매해 두었던 현지 로컬폰 두 대. 5일동안 주머니에서 무겁게 절룩거리던

것들이다. 현지폰은 현지에서의 연락을, 로밍폰은 혹시 한국과의 연락이나 다른 단원들의 로밍폰과의 연락을 담당.


알제리의 핸드폰은 미리 SIM카드를 사서 사전에 금액을 충전해 두는 방식이라고 한다. 충전해 두었던 일정액이 모두
 
소진되는 순간부터 폰은 오로지 받는 것만 가능하고 전화를 걸 수 없게 되는 식. 갠적으론 맨 오른쪽의 바 형태의

현지폰은 한국에까지 들고 와서 쓰고 싶었다.

늘 내가 들고 다니며 체크했던 차량 이동 일정, 그리고 행사 전체 일정과 장소가 적힌 체크 리스트. 끊임없이

변경되는 스케줄로 막판까지 골머리를 썩었지만, 뭐 그래도 무난하게 마쳤으니 다행이다.

알제리에서 쓰이는 로컬폰의 초기화면. 삼성폰이 가장 많이 쓰인다고 했는데, 그래서인지 현지에서 사용한 열한대의

로컬폰이 모두 삼성폰이었다. 음...이제 이건희의 삼성이 아니라 이재용의 삼성이 되겠지만, 어쨌든, 삼성폰. 흠흠.

메뉴 버튼을 누르면 디폴트값으로 '5 Messages'라는 폴더로 넘어간다. 볼때마다 어라, 언제 메시지가 다섯개나

왔지, 하고 날 낚았던 화면. 화면보고 놀라고 확인하곤 부끄러워하던 패턴을 네번쯤 똑같이 반복하고 나서 찍은 사진.

알제리 정부 측에서 준비한 자료집. 내용은 별 거 없는데 표지가 꽤나 거창하다. 자그마치 불어, 아랍어, 영어,

그리고 한국어로 표기된 데다가 한가운데 떡하니 버티고 선 알제리 국가 지도라니.


뭐랄까, 아랫쪽을 향한 날개달린 커다란 화살표가 땅바닥에 쿵,하고 떨어져 찌글찌글해진 모습이다.

출장 준비하면서 싸가는데 완전 웃겼던 범용 아답터. '거의' 전세계에서 사용가능하단다. 솔직하다고 해야 할지,

아니면 장난하냐고 물어야 할지, 더구나 다른 글씨들과는 달리 조금 작은 글씨로 살짝 얹힌 듯한 저 "거의"라는 말.

장미꽃과 교신 중. 서로 면대면. 페이스 투 페이스. 근데 이녀석은 뭔가 훈계하려는 듯 머리를 살짝 갸우뚱하며

내려다보려 안간힘쓰고 있다. 님하, 우야라구.


이 친구가 아미르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아들 켄지는 두살 반이며, 행사 내내 영-불-아랍 통역을 담당한

재자(才子). 그는 알제리 내의 기득권층이 자신들의 이해에 얽매여 국가의 대사를 그르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었다.

그런 부패나 무기력증 때문에 이런 외국과의 경제협력도 그다지 큰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말하자면

알제리의 '꼰대'들이 틀려먹었다는 건데..이미 알제리엔 그런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간의 갈등이 심각하댔다.

음..어느 나라랑 비슷하고만. 난 우리나라의 88만원 세대를 이야기해주었다.

그는 비록 머리를 길게 기르고 꼬불꼬불 파마를 해서 질끈 묶고 다니는 쾌남가이였지만, 엄연한 무슬림이다. 그의

나라 알제리에서는 남자가 머리를 기르는 게 크게 눈길을 끌거나 말을 부르는 일이 아니라고 했다. 그가 내게 이

화살표를 보여주며 이게 뭔지 알겠냐고 묻길래, 아는 척할 절호의 찬스다 싶어 넙쭉 대답을.


메카를 향한 무슬림들의 나침반이다. 하루에도 몇번씩 아련히 들려오는 아잔 소리에 맞추어 기도를 하기 위해,

메카를 향해 무릎꿇고 절을 하기 위해 방향을 알려주는 무슬림들의 나침반.

이렇게 콘솔 서랍 속에 붙어있었다. 무슨 숨은 그림찾기도 아니고, 좀 눈에 잘 띄는 데다가 붙여놓지 왜 이리

소심하게 붙여놓은 건지. 뭐..그런 주의깊달까 조심스런 태도는 무척이나 맘에 들지만.

알제리에 한두차례 다녀온 사람들에게 몇 번씩 들었던 알제리 최고의 음료, '하무드'. 그리고 '셀렉토'.

하무드는 일종의 알제리 상표 사이다라고 하면 될 듯 하다. 레몬 맛이 나며 탄산이 많지 않아 부담스럽지도 않다.

그리고 알제리 콜라,라고 누군가 설명했던 '셀렉토'는 하무드 시리즈 중의 하나다. 하무드에 약간의 색소와

과일향을 첨가해 만든 콜라빛깔의 음료지만 콜라맛은 아니고. 여튼 이 것도 꽤나 맛있었다.

나머지 하무드 시리즈 두개는 오렌지와 레몬, 뭔가..레몬맛이 하나는 투명하고 하는 연두빛이라니 정체가 다소

의심스럽지만, 아미르에게 부탁해 하무드 시리즈 네 종류를 이렇게 모아놓고 조금씩 시음하듯 마시는 재미가

쏠쏠했다. 알제리의 하무드. 셀렉토. 단순히 사이다와 콜라라고 표현하는 건 영 적절치도 않고, 나름 현지화되어

특화된 맛에 대한 예의도 아니지 싶다.




알제리 쉐라톤 호텔은 호텔 투숙객을 위한 전용 비치를 갖고 있다. 초록색 잔디 정원이 넓게 펼쳐진 뒤로 보이는

남푸른 지중해 바다. 3박을 묵으면서 늘 창밖으로 바라보기만 하는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틈만 나면 창가에 붙어

바다를 바라봤다.

어디를 가던 외국 단체 방문단에겐 경찰 호위가 붙어야 하는 나라지만, 의외로 호텔에 들어오는 절차는 간단했다.

물론 따로 우리 방문단을 챙기는 시큐리티팀이 가동되었다고는 해도, 저 금속탐지기와 엑스레이검색대, 그리고

검색하겠다는 의지의 수위가 다른 아랍국가에 비하자면 매우 낮은 편이었달까. 최대한 우리 측의 편의를 봐준 탓도

있겠지만, 이거 너무 허술한 거 아닌가 하는 희미한 불안감이 들 정도였다.

호텔 로비를 딱 들어서면 보이는 계단. 이틀동안 회의다 오찬이다 빨빨거리고 돌아다니면서도 막상 저 계단을

밟아본 건 삼일째쯤 되는 날이었다.

금연 표시는 어디에나 붙어있었다. 화장실, 엘레베이터, 복도..그렇지만 그건 거꾸로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담배연기가

피워올려짐을 의미했다. 심지어는 회의장 내부, 호텔 복도..모든 곳에서.

내가 있던 곳은 주로 호텔 로비에 있는 푹신한 긴의자. Amir를 만나 아랍어나 불어 통역을 부탁할 때, 혹은 환전을

부탁할 때, 그리고 Farid에게 급작스레 변경된 배차계획을 알려주고 차량 이동을 부탁할 때. 금연공간이라지만

아랍인들이 모두들 장소불문 담배를 피워올렸고, 금세 한국인들도 장소불문 담배를 꼬나물었다.

담배연기로 자욱한 그 로비 귀퉁이 긴의자에서 바라보는 화려한 계단. 저 정도의 계단이면 뭔가 무도회를 열기에도

안성맞춤이겠는걸. 하얀 미소가 아름다운 그녀가 하얗고 나풀거리는 드레스를 살짝살짝 발등으로 쳐내리며 계단을

우아하게 내려오는 모습을 상상했다.

지중해 비치를 소유하고 있는데다가, 이런 벨리댄스 쇼까지 호텔에서 볼 수 있는 이곳은 휴양지로 정말

더할나위없이 좋은 곳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지만 국제행사를 하기에는 영...

일단 불어의 문제. 화장실도 이렇게 '옴므'와 '팜므'로 표시되어 있을 정도. 영어는 기본적으로 이들 알제리인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언어인 게다.

화장실 앞에서 만난 신기한 기계. 뭐냐면, 무료로 구두를 닦을 수 있는 구두닦이 기계였다. 왼쪽에서부터 구두약을

찍찍 눌러서 구두위에 짜내고, 두번째 부드러운 솔로 한번 구두약을 문질러 주며, 부드러운 세번째, 거친 네번째 솔
 
중 취향에 맞는 것으로 광내기작업 마무리. 새벽부터 저녁까지 벗지도 못하고 발발댄 탓에 막 물기짜낸 걸레처럼

찐득거리는 구두에 호사 좀 부려볼랬더니, 구두약부터 안 나온다. 걍 솔질 몇번 하며 킬킬대주고 치웠다.

오찬 행사장을 미리 점검하러 들어갔더니 의자들에 하얀 시트를 씌우고 있었다. 무질서하게 배열된 그 의자들이

마치 자체의 의지를 가지고 창밖을 내다보거나, 혹은 자신들끼리 담소를 나누는 것처럼 보였다. 누군가를 그 위에

앉히고야 소명을 다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만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다는 몸짓일까.

창밖으로 보이는 푸른 바다, 초록빛 잔디. 나처럼 의자들도 저런 풍경에 매혹되고 말았나보다.

한편에는 풀장도 있다. 이 풀장 이야기를 듣고 혹시나 수영복을 가져갔는데, 고이 접어 가져간 그대로 고이 접힌 채

집까지 들고 왔다. 수영은 무슨.

종종 보기에는 이쁜데 실제 가서 앉고 싶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 의자가 있다. 사람도 그렇다. 매력적이고, 딱히

나쁜 점을 꼽아낼 수 없으며 외려 내게 과분할 수도 있는 사람인데, 뭔가 주저하게 된다. 내게 그런 의자들은

왠지 호텔에서 자주 마주치게 된다.



올해로 6차를 맞는 한-알제리 경제협력 T/F 합동회의. 원래 한 해에 두 번, 알제와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다가

작년부터 한 해에 한 번씩만 개최되고 있다. 태스크포스라는 게 원래 어느정도 모멘텀을 키우고 초반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시한부적인 시스템인 거니까, 이제 어느정도 양국관계가 궤도에 올라섰다는 징조다.


그간 돌아봤던 다른 아랍국가와는 달리, 백이십여년 동안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이곳은 불어와 아랍어가 혼용된다.

영어를 할 줄 아는 직원은 호텔-심지어는 쉐라톤같은 오성급 호텔에서조차-에서도 그다지 흔치 않은 상황이어서,

영-불-아랍 통역을 위한 현지인을 따로 고용해야 했다. 파리에 열흘 있었다곤 해도 아는 거라곤 '오브와', '봉쥬',

요딴 거 밖에 없었기에 종종 연출되었던 와구와구 손짓발짓.

행사 전 조금씩 자리를 차지하고 앉은 한국과 알제리의 고위 관료 혹은 재계 인사들. 이맘 때 꼭 생각나는 노래는,

김현철의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실제로 행사를 파하고 텅빈 테이블이나 행사장을 바라볼 때보다, 이렇게 행사 전

한번 행사장을 돌아보거나 준비할 때 외려 그 노래가 귓전을 맴도는 건 왠지 모르겠다.


뒤엔 한-불 동시통역사 두분이 부스안에, 오키, 무대 윗자리엔 물병과 잔 세팅, 오키, 양국 국기 세팅, 오키, 리시버

나눠줄 인원 체크, 오키, 발표자료는 컴터에 다 심어놨는지, 오키, 프로젝터는 이상없는지, 오키..뭐 그런 식.

오디토리움에서도 만난 부테플리카 대통령, 그는 재선을 거쳐, 개헌을 거쳐 삼선에 최근 성공한 대통령이다. 여러모로

박정희랑 비교할 만 하지 않을까. 자기가 알제리의 화신인양 국기를 꼭 저렇게 곁에 두고 있다는 게 눈에 띄인다.

'우리의 박통'은 자기 얼굴만 큼지막하게 클로즈업했었다구. 촌스럽긴 쯔쯔.

불어, 아랍어, 영어, 한국어로 쓰여진 이번 합동회의 현수막. 세상엔, 영어만으론 뜻이 닿지 않는 구석이 알고보면

무지 많은 게다. 그러고 보면 영어에 몰입할 일도 아닌데..어차피 컨텐츠가 중요하지 그걸 옮기는 수단이 중요한 건

아니지 않나. (이런 식으로 짧은 영어실력을 도닥거리고 있다.)

알제리 역시 무슬림이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회교국이지만, 이 곳의 여성들은 히잡도 두르지 않고 자유스럽게

사회생활도 하고 있다. 등돌리고 계신 여성분은 한국에도 몇번씩 왔다갔다한다는 한국통, 휴대폰줄도 한국의 전통

수공예품으로 걸어뒀다.

합동회의 전 접견실에서 있었던 지경부 차관과 알제리 산업투자부 장관과의 면담.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앞전의

쇼파에 넓찍하게 자리한 두사람을 향했다. 역시, 시선을 따라가면 권력관계를 알 수 있군. 하고 내 카메라도 그 쪽을

향했는데, 알고 보니 이 모든 걸 내려다보고 있는 부테플리카 대통령. 아...이 맛이겠구나. 싶더라는.

알제리에서 정시에 행사를 시작하기란 애초 불가능에 가깝다고 했다. 어차피 장차관과의 면담 일정도, 회의 주제도,

행사 장소도, 모든 것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알제리에 도착하고야 만 터였다. 그래도 어쨌거나 행사는 시작됐다.

"It will pass away like others."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번에 계속해서 맘속에 새겼던 말 중 하나.

합동회의가 시작되고, 통역 부스 뒤 창문으로 바라본 행사장. 저렇게 생긴 국제회의 통역실을 처음 구경했던 건

2001년이던가, 뉴욕에 있는 UN 본회의장을 견학했을 때였다. 일단 행사가 시작되면 별로 할 일이 없어지지만,

다시 오찬 준비를 위해 자리를 떠야 했다.

오찬은 해산물. 뭐가 뭔지 모를 꼬부랑 프랑스어로 된 메뉴판이었지만, 두번째 코스로 나온 건 얼핏 추측할 수 있었다.

스프 드 포이즌? 독이 든 스프?

새우와 야채 샐러드. 지중해가 바로 코앞이니 해산물이 풍부하다고 했다. 그냥 뭐 맛은..그럭저럭.

좀더 있어 보이게 말하자면, 이런 식으로 말할 수는 있다. "새우는 너무 데쳐져서 특유의 단맛이 떨어지고

탱글한 식감이 많이 손실되었으나, 빨간 자두와 노란 오렌지, 녹색 오이를 함께 배치한 센스는 평가할 만하다.

전반적으로 식전의 미각을 돋우고 위를 자극하여 더욱 맛난 식사를 가능케 하는 훌륭한 전채였다." 정도?

뭐. 환언컨대 별로였단 얘기.

애꿎은 기둥 한번 찍어주고. 대체 내가 이 사진에서 어딜 기준으로 잡았던 거지, 궁금해하고 있다.

독이 든 스프가 아니라 해산물 스프였다. 게살 냄새도 나고, 약간 생선 냄새도 나는 게 독특했다. 알제리식 스프 중

하나라고 얼핏 들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고 맛은 머...일단 다 먹었다.

다시금 좀더 있어보이게 말하자면, "첫눈으로 보기에 다소 밋밋해보이고 식욕을 떨어뜨릴 수도 있는 외양이지만,

그 카레빛깔 스프에는 오묘한 바다의 맛이 담겨 있다. 한 숟갈 입에 넣으면 혀끝에선 킹크랩이 커다란 집게를 짤깍이고

목구멍을 타고 넘어갈 땐 칼칼한 생선 가시의 근성이 느껴진다. 심지어 접시를 싹 비우고 난 후 가슴과 뱃속에서

느껴지는 뜨끈한 온기라니, 이는 흡사 수백만년전부터 지중해 해저를 따라 흐른다는 열수의 기억을 더듬는 느낌이다."

이 사진은 어디를 찍은 걸까. 뭔가 관음증적이고 애매한 느낌의 부위이긴 하다.

라운드테이블에서 늘어뜨려진 하얀 식탁보와 내 무릎 위 다소곳하게 얹힌 하얀 수건, 그 사이. 아무 이유없는 사진.

정식은 새우와 생선, 오징어와 구운 토마토.

은근히 재미나서 한번 더 있어보이게 말하자면, "고개를 뒤틀고 누운 새우 두마리는 레몬 소스의 축성을 받아

영면을 취했고, 불과 몇 시간전만 해도 지중해를 노닐었으리라 짐작할만큼 신선한 생선은 몸의 일부를 저며진 채

하얀 접시 위에 누웠다. 새우가 다소 고혹적인 자태로 나를 먹어주세요, 라고 애처롭게 바라보는 것을 뒤로 하고

먼저 맛본 생선구이는 담백하면서도 고소한 생선 본연의 맛을 잘 이끌어 내는데 치중하였음을 실감케 했다. 반면

새우의 크리미하면서도 상큼한 속살은 생선의 신선하고도 정직한 맛에 다소 둔감해진 혀를 다시금 짜릿하게

일깨우기에 충분했다. 십자무늬 칼집이 들어간 오징어 두 조각은 그야말로 적당한 수준의 불에서 최적의 시간만큼

익혀져 자칫 딱딱하거나 흐물거리기 쉬운 오징어의 미묘한 쫀득거림을 잘 표현하는데 성공했다. 이 모든 것은

레몬즙의 세례를 받아 더욱 풍부하고 깊은 흥취를 풍기게 되었으며, 구운 토마토를 곁들이면 이곳 회교국 알제리에서

와인없이 먹는 정찬의 아쉬움을 99%까지 덜어낼 수 있다."

대사관 관저에 들어섰다. 중간에 좀 문제가 생겨 알제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헌화하는 기회는 사라졌다.

마음이나마, 그의 인간적인 면모와 문제의식..들에 흰 국화를 바친다.

유실수가 있는 대사관저 앞마당에서 벌어진 조촐한 만찬이었다. 날씨는 선선했고, 지중해를 접한 터라 다소 끈적하지

않을까 했던 예상은 빗나갔다. 뽀송뽀송하고 시원한 바람. 사계절이 뚜렷하다는 한국의 날씨가 사실 그렇게 좋은 건

아니지, 여름철의 끈적하고 짜증나는 더위라니. 그치만 이곳의 푸르름도 5,6월 한때라고 했다. 그 이후엔 누렇게

말라붙어 죽어버린댔다.

조그마한 양 한마리가 통째로 구워져 나왔고, 현지음식과 한식, 그리고 과일까지 준비되어 있었다. 열여섯시간에

걸친 비행, 게다가 에어프랑스의 구리구리한 기내식에 질렸던 후라 다들 지쳤고 굶주려 있었던 듯.

옆의 어떤 상무님한테 물었더니 제라늄이라던데, 맞나 모르겠다.

하얀 대사관저 창가에 놓여선, 격자무늬 방범망 사이로 삐죽삐죽 꽃대궁을 내밀은 빨간 꽃무더기들.

대사관저 입구를 지키고 섰는 경비, 그 너머로 보이는 다른 고만고만한 건물들.

콧수염이 그럴듯한 관저 경비 아저씨는 마치 어렸을 적 '아람단'을 연상케 하는 하늘색 반팔셔츠에 곤색바지를
 
입고 있었다. 오른가슴팍에 붙은 태극기까지.

파리드랑 내일 배차계획에 대해 이야기하러 관저 밖으로 나갔다가 발견한 초소. 초소에 거대하게 그려져있는 저

태극무늬라니. 이왕 그릴 거면 사방 귀퉁이에 궤도 함께 그려넣던가.

어느새 하늘도 어둑어둑해지고, 베이지색 관저 건물은 역시 군청빛을 금세 머금고는 사위어간다. 아마 아까

황금빛 석양이 내리쬘 때 역시 제일 먼저 반짝거렸을 거다.

초록빛 잔디가 폭신한 마당에 조명이 밝혀졌고, 알제리 와인을 홀짝거렸다. 부쩍 서늘해진 기운이 그나마 남았던

한줌의 더위조차 사그라뜨리고 있었다.

그림같이 꾸며진 관저 입구. 온통 하얀색으로 칠해진 벽면, 방범망, 현관, 하얀색 셔츠를 입은 웨이터..그 풍경에

내려뜨려지는 하얀빛 조명.

벽 한쪽에 걸린 주먹만한 놋쇠종이 미풍을 타고 땡그랑거렸다. 이제 내일부터 2일동안 조찬, 합동회의, 오찬,

분과별 회의, 만찬, 장차관 면담, 현장 방문...국제행사 종합세트. 각오를 단단히.




출장이건 여행이건, 큼지막한 여행 가방을 꾸려 집을 며칠씩 나서는 순간의 마음은 흡사 그런 것이다. 살풀이?

며칠 일상을 비우고 나면 나도, 내가 놓인 자리도 모두 명료하게 정리되겠지..하는. 잔뜩 분탕질쳐놓은 흙탕물이

차분히 가라앉아 맑아지길 바라는 심정으로. 새벽에 나서는데 주홍빛 해가 곱다.

올림픽대로를 달리는데 평소의 승용차보다 눈높이가 일미터쯤 높아진 공항리무진버스에서 바라본 풍경은 또 다르다.

그렇게 훌쩍 올라선 눈높이만큼 여행, 혹은 출장의 기분이 돋구어졌달까.

한강대교 중 가장 이뿌다는 평가를 받는 방화대교, 이사 전에 살던 집이 근방이었어서 워낙 자주 봤댔지만

이렇게 사진을 찍기는 처음이다. 여행자의 눈에야 비로소 발견된 유려한 생김의 다리.

열네시간여 비행끝에 파리, 그리고 두시간 반쯤 다시 비행한 후에야 도착한 알제리. 공항에 도착해서 삼엄한 탐색대를

거쳐서 올라탄 버스는 한참동안이나 출발할 수 없었다. 현지 경찰의 호위(convoy)가 있어야 출발할 수 있다나.

몇 차례의 테러나 외국인 상대의 불상사가 있었던 나라인지라 외국 대표단들이 단체로 움직일 때는 꼭 경찰 호위를

앞뒤로 붙이고야 출발한다고 했다.

앞에 경찰 오토바이 두대, 뒤에 경찰 오토바이 두대가 붙었다. 그리고 앞 차는 현지에서 이번 행사의 차량을 모두

담당했던 마이 후렌드 Farid의 멋진 차. 많은 나라를 다녀본 건 아니지만 경찰 호위가 붙은 적은 처음이었다. 아, 4월에

인도와 파키스탄에 갔더라면 역시 경찰 호위가 좀더 삼엄하게 붙었을 텐데, 역시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취소되었다.

알제리가 북아프리카에 위치했다는 점, 알제리의 수도인 알제, 그리고 우리가 묵을 쉐라톤 호텔이 지중해를 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순간. 차창 밖으로 펼쳐진 남빛 지중해.

신기하게도 해가 뜰 때 서울에서 출발해서는 해가 질 때 알제에 들어섰다. 문득 혼란스러워지는 시간감각.

온통 황금빛으로 물들어가는 창밖이 아름다웠지만, 주알제리 한국대사관에 차려진 빈소에서 분향할 시간을

갖겠다는 이야기에 다시 울적해졌다. 노무현, 그가 알제리와 한국간의 경제협력 T/F라는 판을 벌였댔다.

황금빛으로 건물들이 쉽게, 곱게 물드는 이유가 있었다. 대부분의 건물이 이런 베이지색. 집집마다 내걸린 알록달록한

빨래가 뚜렷하게 형체를 드러낼만큼 건물 외벽은 순순히 한발 물러선 느낌.

알제 도심에서 발견한 부테팔리카 대통령의 거대한 초상. 그가 한국에 인상깊었던 것이 '새마을운동'이라고 했었다.

오랜 건물들, 이런 식의 유서깊은 건물들 그 어느 틈새에 알베르 카뮈가 살며 이방인의 한장면을 구상했겠고,

축구선수 지단이 어렸을 적 공을 차고 놀았을 거다. 아, 카뮈는 알제리 사람들이 싫어한다고 했다. 독립전쟁시에

파리로 도망갔다던가. 그리고 친프랑스적인 행보를 계속 보였다고도.

서울로 치자면 외교 공관들이 모여있는 한남동쯤 된다는 알제 도심으로 들어섰다. 도심이라지만 길은 여전히 좁고

거리는 한적하며, 뭔가 어정쩡한 그림이다. 그렇지만 출퇴근시간에는 어마어마한 교통체증이 있다고 했다.

중간중간 게이트를 설치하고 차량을 통제하는 경찰. 알제 시내 그리고 알제 시내로 들어서는 모든 도시에 설치된

체크포인트들은, 테러의 위험이나 위협요소들을 미연에 방지하려는 의도도 있지만 실은 시내의 교통 흐름을

의도적으로 통제하고 원활히 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한다.


뭔가..이 동네 꽤나 위험한 것 같다는 느낌이 확 땡겼던 첫 인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