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의 영면을 지키는 청룡, 왕이 뉘어진 동쪽벽에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 백제를 중흥시킨 몇몇의 왕중에서도 손꼽히는 왕인 무령왕이 묻힌 곳이다. 그가 실제로 어떻게

생겼었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저 유추해보건대 저렇게 생겼으리라는 게 박물관측의 조심스런 추측.

백제 무령왕릉의 특징은 중국 남조로부터 전래되었다던가, 일정한 사이즈의 벽돌을 촘촘이 쌓아올린 과학적이고

탄탄한 벽돌무덤이었다고 얼핏 국사 시간에 배웠던 거 같다. 무덤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은 언제나 살짝

으스스하다, 그게 실제 무덤이건 모형이건 간에.

그리 넓지 않은 벽돌무덤 공간의 사방에 서서 나머지 삼면을 찍어보겠다고 기를 쓰고 벽 틈새로 몸을

부비적댔지만 쉽지 않다. 서늘하고 교교한 램프의 불빛이 벽돌 틈새로 걸쭉하게 흘러내리는 거 같았다.

제각기 독특한 문양이 새겨진 벽돌이 정교한 가로세로 비례에 따라 아귀를 맞춰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두 장의 벽돌을 합쳐서 저렇게 연꽃무늬가 떠오르는 식의 벽돌이란 건, 실제로 어떻게 쓰일지

어느 방향으로 배치될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준비가 있었단 얘기 아닐까. 우아하고 세련된 느낌에

더해서 섬세하고 정교하기까지.

고분들이 그려내는 저 안온하고도 푸근한 선은 볼때마다 감탄하게 된다. 인공적으로 쌓아올린 흙둔덕이면서도

저렇게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유려한 곡선이라니. 그런 고분 옆구리에 저렇게 잔뜩 녹슨 청동문짝이 숨어서

백제의 옛 왕들로 향하는 길을 내고 있단 걸 생각하면, 저 곡선은 신비롭기까지 하다.

무령왕의 무덤에서 발굴된 그의 왕관. 실제로 쓰였던 건지 아니면 무덤 부장품으로 만들어진 건지는

불명확하다고 하나, 수천년을 지나고서도 저렇게 모양이 건사되어 있는 황금관의 온전함에도 감탄, 또

그 형태를 토대로 반짝반짝하게 만들어낸 재연품의 화려함에도 감탄.

무령왕의 무덤자리를 땅의 신으로부터 샀다는 것을 증명하는 매지권에 새겨졌다는 문구. 토지는 모두

지신으로부터 빌린 거라는 관념은, 얼핏 원시적이고 야만스러워보이지만, 어쩌면 그 땅 위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을 지탱해주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와 같았을지 모른다. 모두가 왕의 땅, 이라거나 돈있는

사람의 땅, 이라는 식으로 권력과 금력을 좇아 땅의 소유가 이전되었다면, 그 결과는 사실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이 대변하고 있지 않은가.

그의 무덤 앞을 지키고 있었다는 상서로운 석물. 등짝에는 호랑이처럼 굵은 줄무늬가 가로로 죽죽 그어져있고,

네 다리에는 불꽃이 일렁이는 것 같다. 게다가 그 다부지고 단단해 보이는 위압감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뿜어내는 포스가 대단하다.

무령왕릉에서 발굴되었다는 귀중한 유산 중에서도 가장 맘을 끌었던 것, 은으로 만들어진 찻잔과 잔받침.

뚜껑 손잡이는 연꽃모양으로 정교하게 세공된 채 금으로 꽃받침장식을 만들어 손잡이와 뚜껑을 이었다.

게다가 찻잔의 실루엣에서 느껴지는 저 완만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선미란.




백제 문화가 만개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건 '무령왕릉'의 발굴 이후였다고 한다. 우리가 갖고

있던 백제에 대한 이미지는 굉장히 막연하고 불분명해서, 예컨대 금동용봉대향로같은 굉장히

화려하고 세련된 유물을 발굴하고 나서도 이것이 백제의 것일지 아니면 중국의 것을 수입한

것일지 논란이 있었다고 할 정도였으니.

"儉而不褸,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음)"라는 백제의 미감을 한껏 표현한 무령왕릉유적의 화장실엔 그래도 조금은 신경쓴, 백제의

미감엔 한참 못 미치고 복식 역시 조선의 그것을 연상시키지만, 아무튼 조금은 신경쓴 듯한

화장실표시가 있었다.

이왕 화장실 표시를 범용의 파란색 남자, 빨간색 여자 표시에서 벗어난 개성있고 문화가 담긴

뭔가로 바꾸고 싶었다면 조금만 더 신경을 썼더라면 어땠을까. 약간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지만

그래도 이 곳까지 생각이 미쳤다는 것 자체로도 분명 진일보한 건 사실일 터다.



어쩌다 보니 올해 여름은 짧막한 휴가를 두 번이나 가게 되고 말았다.

7월에 다녀온 타이완, 그리고 내일부터 다녀올 일본 도쿄.

회사 일정상 살짝 무리한 감이 없진 않지만, 여름휴가철 문닫는 셈치고 미친 척 휴가.

며칠 전부터 내 네톤 아뒤는 '토꾜로 토끼기 D-xx'.


공주박물관에서 둘러봤던 문화유산 중에 눈에 띄던 것 하나,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무령왕의 왕관.

그야말로 'before & after'를 내걸고 선전하기 딱 좋을 만큼의 드라마틱한 차이를 보이는 오리지널과 카피.


인간은 왕관이랑 달라서 지금 내 상태가 후줄근한 왼쪽인지, 그래서 오른쪽의 살짝 얼띠지만 번쩍번쩍한

모습으로 옮겨가려는 건지. 아님 오른쪽으로부터 다소 후줄근하고 꼬질꼬질해졌지만 시간의 향취가 묻어나는

왼쪽으로 옮겨가려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둘 중 하나는 before,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after가

되겠지 뭐. 아님 말고.ㅋㅋㅋ


해서, 9/1~5 출타합니다~*


< 생존 일본어 어휘대백과사전?!?!? >

곤니찌와, 야빠리, 기모찌, 가와이, 요로시꾸네, 오이시, 아레, 아리가또, 니뽕, 이예, 하이, 센세, 스미마센, 고멘고멘, 삥, 마끄도나르도, 다찌마와리, 오겡끼데스까, 와따시와 오겡끼데스, 사요나라, 곰방와, 도죠, 사께, 아사히 비루, 오꼬노미야끼, 오네가이시마쓰, 기무치, 다꽝, 덴뿌라, 큐슈난지, 헨타이, 히키코모리, 오타쿠, 망가, 미야자키 하야오, 잇힝, 아사다 마오...;;;;







공주박물관에 있는 무령왕, 백제 문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백제인이지만 그가 어떻게 생겼었는지를 알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백제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되어버린 불꽃무늬 왕관은 오늘에도 그대로 남아 분명한

형체를 남기지만, 그 왕관 아래 얼굴과 분위기는 대부분 상상의 영역에 남겨진 것. 그저 문헌상 '온유하다'거나

'따뜻한 성품'이라거나 따위 몇 개 키워드로 상상해낸 분위기를 어슴푸레 더듬을 뿐이다.

그렇지만 방법이 없진 않다. 공주박물관에서 발견한 백제인의 생생한 얼굴, 그리고 전신의 형체. 어느 정도

중국풍이 가미된 걸 감안하더라도 꽤나 귀티나게 그려놓았다. 자신만만한 눈매, 당당한 태도의 잘 갖춰진

의관까지 세련되고 우아한 분위기가 풀풀.


기원후 500여년쯤 중국 남조 양나라 때 그려진 두루마리 그림 '양직공도'에 남아있던 그림으로, 중국 황제에게

사신으로 방문한 외국 사람들이 그려진 것을 감안하면 양나라(혹은 중국)과의 우호도나 관계에 따라 어느 정도

이미지가 변형되고 왜곡될 수 있었겠다고는 생각되지만, 아무리 중국인 입맛대로 그렸다고 해도 이건 꽤나

긍정적인 이미지.

또 다른 버전의 백제사신을 봐도 그렇다. 똘망똘망하고 귀티나게 생겼다. 의복 역시 허투루 대충

걸치고 다니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고 세련되고 당당한 느낌.

고구려 사신의 모습도 있었다. 나름 화려한 복색과 깃털관의 모양이 특징적이지만 무엇보다 털이 복슬복슬,

뭐랄까, 짐승남의 매력이 풀풀.

신라, 조금 다른 나라에 비해 앳된 듯한 동안의 사신이다. 백제 사신도 그랬지만 다른 주변국에 비해 뽀얀 피부,

붉은 입술, 그리고 길게 늘어뜨린 머리까지. 묘한 매력이 느껴지는. 살짝 퇴폐적인 눈매까지.

왜국의 사신, 뭔가 헐겁게 걸친 옷가지들, 그리고 새까만 피부색, 그리고 바로 옆 고구려 사신과는 다른 느낌으로

북실거리는 털들. 그렇지만 색감이나 감각은 훌륭하다. 나름의 의관과 맞춘 의복에 팔다리귀에 꿴 고리들까지.

다른 버전으로는, 조금은 피부가 하얗게 나온다. 그리고 다른 나라들 사신에 비해 약간 키가 작게 나오는 게

'왜(倭)'라는 글자의 연원을 떠올리게 한다. 왜소하다, 작다, 라는 의미를 품고 있다는 한자 倭.


조금 자극적으로 말하자면 '당대의 루저'였던 왜나라 왜국인들이였달까. 뭐 그떄가 요새처럼 키높이를 가지고

결정적인 평가를 내렸을지는 모르겠지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