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데팡스같이 앞뒤 분간키도 힘든 네모난 구조물에도 인간적인 편견을 투영시켜, 시내 중심을 향한 뻥 뚫린

사각 공간이 정면이라 친다면 그 반대편은 자연 뒷통수라 치부할 수 있을 게다. 그 뒷통수, 라데팡스 신개선문의

뒷켠으로 한 바퀴 돌아보다가 다소 기이하다 싶을 정도의 묘한 길이 한 줄기 뻗어있는 걸 발견했다. 너무 강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쉽게 뿌리칠 수 없을 만큼의, 간질간질한 호기심.


저 길은 뭔데 마치 다리처럼, 주변 지역보다 높은 위치에서 쭉 뻗어있는 걸까. 어디까지 뻗어있을까, 그리고 그

끝은 어디로 닿아 있으며, 내게 어떤 풍경을 보여줄까. 마침 적당하게 길..이랄까 다리랄까..의 좌우를 감싸고 도는

녹색 커튼이 모종의 관음증적 욕구까지 불러일으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는 길 좌우켠에는 온통 십자가의 물결로 일렁이고 있었다. 외국은, 아마도 여기서 내가 의식하는 '외국'이란

대개 서양 문화권, 혹은 기독교 문화권에 속한 국가들이겠지만, 공동묘지가 참 잘 꾸며져 있고, 꽃들이나 조경이

화사해서 마음이 편안해지는 느낌을 자아낸다. 워싱턴 국립묘지를 찾았을 때도, 그 좌우로 각잡힌 채 딱 정렬된

하얗게 빛나는 비석의 행렬과, 싱그런 녹색으로 가득한 그 공간에서 풍기는 신성하고도 고요한 느낌이 인상깊었다.


여긴 그런 통일된 모습을 보이는 건 아니지만, 저 분방하고 자유스런, 그치만 동시에 각자 비슷한 공간만을

확보한 채 다른 이의 휴식공간을 밀쳐내거나 위압하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왠지 유쾌하다. 돌판 한장을 이불

둘러쓰듯 얹고서는, 쟤들은 죽고 나서 기억되는 모습도 똘레랑스의 프랑스답구나..싶었다. 용하기로 소문났다는

지관이 대통령 후보들, 한 명도 아닌 여러 명에게 이 곳의 음택을 쓰면 대권을 쥘 것이라 했다고 자랑삼아 떠드는

동네인 데다가, 음택의 규모, 호화로움 자체가 살아있는 자들의 호통소리에 비례하는 곳에 비하면 말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프랑스의 한 공동묘지일 뿐..며칠 후에 가본 나폴레옹의 무덤은 가히 그리스 신전과 같았고,

여기라고 그런 부정적인 이미지나 사실들이 발에 채이지 않으리라고 기대하는 것도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득 뒤돌아서 바라본 라데팡스 신개선문, 굳이 '뒤'에서 바라본다 해도 별반 '앞'과 구별될 만한 지표가 없다.

그리고 아까부터 은근히 내 뒤를 따르는 저 까무잡잡한 아저씨, 앞에도 뒤에도 사람은 하나 안 보이고 난 자꾸

관광객들이 멈춰선 채 정체된 신개선문에서 멀어지는데 왠지 위협적으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내가 사람 하나 없는

이 쭉 뻗은 다리..같은 길 위에 있다는 현실인식이 먼저였을까, 혹은 저 아저씨의 피부색 혹은 '아저씨'라는 연령과

성별에서 기인한 편견이 먼저였을까. 나는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길이 끝났다. 마치 신개선문에서 쭉 뻗어나와 어딘가로 날 이어줄 듯 하던, 끝이 안 보이던 다리같던 곧은

길이 갑작스레 끊기면서 잠시 황망해졌다. 대체 이 길의 효용이 뭘까, 내가 여기까지 걸어온 게 고작 이 끝에서

멈추기 위해서였단 걸까, 어쩌면 그다지 큰 실패없이 항상 어딘가로 나를 이어주고 데려가던 길들에 대한 순진한

믿음, 그리고 나 자신이 살아온 지금까지의 날들이 끊겨버린 길을 쉽게 용납하지 못하는 건지도 모른다. 감히

누구 앞이라고 길 따위가 끊기냔 말이다..라는 식으로.


여긴 대충 파리시의 끝이겠구나. 멈춰있는 타워 크레인과, 왠지 인적이 끊긴 채 나지막한 건물이 드문드문한 변두리.

무덤만 가득한 게 왠지 정체되어 버린 느낌이다. 마치 서울에서 복작대며 살다가 조금만 서울 외곽으로 나가도

전혀 다른 '촌스럽고 정체된 듯한' 풍광이 펼쳐짐에 놀라듯, 그렇게 살짝 놀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까 '평등'이란 가치가 구현된 파리의 공동묘지..란 얘기는 역시 넘 성급한 것이었는지도. 그새 높아져버린 내

안목으로 보기에는, 아까의 관목 울타리 속의 조그만 공간 속에 우르르 박혀 있는듯한 무덤보다는 이렇게 좀더

트인 공간이 훨씬 좋을 거 같다. 왠지 이쪽이 꽃다발도 더 크고 화려해 보인다. 역시, 상대적인 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뜬금없지만, 그 옆에 있는 아파트는 무슨 재향군인회가 관리하는 관사일까 싶었다. 풀색과 갈색으로 얼룩무늬를

그려놓은 왼쪽은 육군 출신을 위한, 하늘색과 갈색으로 얼룩진 오른쪽은 공군 출신을 위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데팡스 주변에도 그랬지만, 어딜 가도 공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그리하여 미술(문화)에 대한 익숙함과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이건 타키스의 금속과 물을 소재로 한 설치 미술..이란 게 가이드북의 설명이지만, 그걸

몰라도 자연스레 시선을 끌고 무언가 그게 없었다면 허전했겠다, 라는 느낌을 촉발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광화문 흥국생명 건물 앞에서 망치질하고 있는 모빌 같은 것, 최근에 그걸 보다 잘 보이도록 도로 쪽으로 한 발짝,

30센티 정도 되려나? 그만큼 나오도록 재설치하는데 드는 돈이 몇 억이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어쩌면 이제

한국에서도 몇 억원의 돈보다 공공 영역의 미술이 갖는 가치가 커지고 있다는 신호일지도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길의 막다른 끝에 도달해서 잠시 내가 머뭇거리는 사이, 그 흑인 아저씨는 손톱만하던 얼굴이 주먹만하게, 그리고

내 얼굴만하게 커져 보일 만큼 가깝게 다가왔다. 난 우선 손에 들고 있던 지도와 다이어리를 가방에 쑤셔넣고,

한 손에 쥔 카메라의 줄을 바싹 틀어쥐었지만, 슬쩍슬쩍 바라본 그의 표정에서는 나에 대한 별다른 관심이나 욕구를

느낄 수 없었다. 그리고 그 아저씨의 허리춤에서 달랑이는 무전기.


아마 신개선문 주변을 순찰하는 관리원 아저씨였던 게다. 내가 인적이 드문 곳에 굳이 꾸역꾸역 들어가니까 나름

신경이 쓰이셨던 건지, 아님 단순히 순찰 중이셨고 마침 나와 경로가 같았던 건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쭈욱 걷는

동안 잠재적인 범죄자 혹은 위협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미안해졌다. 굳이 핑계를 대자면, 뉴욕의

출근시간대 만원지하철에서는 치한을 만났고, 이집트 카이로의 나일강 유역에서는 '바나나' 아저씨를 만나 꾀임에

들었던 바 있다는..예전의 기억들.


다시 돌아온 라데팡스 신개선문 아래에서 바라본 사람많고 복닥이는 개선문쪽의 파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리 시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여기저기서 회전 목마가 보인다. 에펠탑 아래에서도, 생 제르망 거리에서도, 그리고

라데팡스 이곳에서도. 아이들이 그렇게 좋아한다는데, 내 유학생 친구는 이곳의 문화 자체가 (상대적으로) 저자극

이란 사실에서 회전목마가 융성하는 이유를 찾았다. 설득력 있는 거 같다. 느긋한 호흡의 참 담백하고 낭만적인

놀이기구 아닌가. 그말은 곧 속도감없고 금방 싫증나며 단순한 데다가 심심한, 재미없는 놀이기구라고 번역되고

말겠지만..뭐, 나도 회전목마는 타는 것보다 타는 걸 보는 게 더 재밌는 사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건 세자르의 조각, 엄지손가락만 툭 던져 놨길래, 나도 내 신체 중 엄지손가락만 분절시켜서 사진 속에 남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