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뒤샹의 '샘'에 대한 오마주라기는 그렇지만,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더러운 것은 딱히

칼처럼 갈라지는 건 아닌 거 같다. 이쁘거나 더럽거나, 라기보다는 오히려 이쁘고도 더럽단 게

대부분의 경우에 맞아떨어지는 건 아닐까.




IU에 지친 남자: 심형래'감독'의 영화를 영화관에서 돈주고 본다는 건, 그것보다 진중권에 이빨을 드러내는 건 얼마나 천박하고 상스러운 짓인지. 불량품보고 불량품이라는데, 자기는 보고 싶지 않아 안 보겠다는데 뭘 잘못했지?



A: '불량품 논란에도 130만 돌파'라. 문화의 과잉소비이거나, 방학인데 애들볼 영화가 딱히 없고 해리포터 시리즈가 덜 재밌어졌다 해도 납득불가능한 수치. 근데 내가 왜 창피할까요.



A: 진중권이 대체
A: 뭐라했길래 난린가 볼라고 트윗 찾아보는데
A: 넘 많아

IU에 지친 남자: ㅋㅋㅋ
IU에 지친 남자: 별거 없어
IU에 지친 남자: 한번 불량품 판 곳 다시 안 간다고
IU에 지친 남자: 안 볼거라고
IU에 지친 남자: ㅋ

A: 그 한마디에
A: 그난리였어?
A: 이슈메이커로서는 대한민국 최고네
A: ㅋㅋ

IU에 지친 남자: 그니까
IU에 지친 남자: 근데
IU에 지친 남자: 그 영화를 보고 싶어 너는?
IU에 지친 남자: 영화관에서?

A: 아니
A: 디워도 안봤어
A: 그냥
A: 무관심

IU에 지친 남자: 좀 이해가 안 돼

A: 진중권이 돈받은거야.

IU에 지친 남자: ㅋㅋㅋㅋ
IU에 지친 남자: 노이즈마케팅?

A: 심형래가 제발 한마디만 해달라고

IU에 지친 남자: 하지만 이미 그 전에
IU에 지친 남자: 100만이 넘었다구

A: 헐

IU에 지친 남자: 그 싸구려 B급 영화에
IU에 지친 남자: ㅋ

A: 문화과잉소비.
A: 방학이고
A: 애들볼영화가 없었나...
A: 해리포터가 재미없어서?
A: ㅋㅋㅋ

IU에 지친 남자: ㅋㅋㅋㅋ
IU에 지친 남자: 기껏 진중권 까는 게
IU에 지친 남자: 니가 영화를 만들어봤냐
IU에 지친 남자: 영화만든 심형래의 고충을 아냐
IU에 지친 남자: ;

A: 영화평론가도 아닌게 왜그러냐며.ㅋㅋ

IU에 지친 남자: 아 정말? 그럼 자기들은 왜 떠드나..
IU에 지친 남자: 근데 진중권 미학자자나..;;;; 영화의 미학을 이야기한 거 아냐?ㅋ

A: 애국심에 불을 질렀다기에도, 헐리우드만 가고 해외 수출만 노린다면 전부 먹어주나.

IU에 지친 남자: 심형래 나온 영화에 대한 향수로 해석해야 할까.
IU에 지친 남자: 뭐, 디워를 빼고 생각하면
IU에 지친 남자: 그의 계보는 분명히 있지
IU에 지친 남자: 우뢰매 영구와 땡칠이 따위

A: 그치만 그런 향수를 수백만이 자극받는다고?

IU에 지친 남자: 그것도 아무래도 아닌 거 같지? 이건 미친 거야
IU에 지친 남자: 그냥
IU에 지친 남자: ㅋ

A: 우리나라는 미친나라자나
A: 지금 130만이 넘었대
A: 후덜덜이다.

IU에 지친 남자: 응
IU에 지친 남자: 진짜. 쪽팔리다

A: 영화는 안봤지만
A: 안봐도 뻔하긴 하니.ㅋ


IU에 지친 남자: 천박하고 상스럽고
IU에 지친 남자: 보는 거 자체까지 뭐라 할 수야 없지만, 결과적으로 그게 백만이 훌쩍 넘는단 거
IU에 지친 남자: 게다가 진중권 한 마디에 미친 듯이 달겨들어 입닥치라고 비난하는 거




* 약간의 재구성을 거친, 배부른 오후의 객쩍은 한담.

속이 메슥거릴 정도로 선혈이 낭자했다. 실감나게 토막나버린 팔다리는 말할 것도 없이, 동강난 머리통과

허리째 베여나가 무슨 햄덩어리같은 인체의 신비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나중에는 그냥, 영화배우 '레인'이

칼을 휘두를 때마다 썰려나가는 적들의 몸뚱이를 보면서 정육점의 전동회전칼이 생각났다. 윙~ 소리나는

그것에 큼직한 고기를 갖다대면 살이고 뼈고 거침없이 썰려나가는. 아, 물론 약간의 김칫국물이 사방으로

흩뿌려지는 효과와 외마디 비명소리 정도는 추가되어야겠지만.


액션 영화의 스토리란 거야 뭐, 뻔하니까 딱히 기대하는 것도 없었지만 영화 내내 머리를 떠나지 않았던 건

딴 생각이었다. 이 영화에 비, 혹은 레인이 나오지 않았다면 이 영화에 대한 호기심이나 욕구가 생겼을까.

그러니까 이 영화가 관객들, 최소한 국내 관객들에게 '소구'하는 요소는 레인이 주연으로 나온다는 점

이외에 뭐가 있었을까 싶었다. 적어도 난 그랬다. 딱히 액션을 다른 장르에 비해 즐기지도 않고, 새빨갛고

끈적한 느낌의 핏방울이 사방으로 튀기는 비쥬얼이기만 하면 족한 것도 아니었으니. 무슨 흡혈귀도 아니고.
 

영화만 놓고 보자면 그냥 그랬다. 그다지 여운이 크지 않았던 그야말로 살짝 얹힌 드라마, 뻔하고 간결한

스토리, 만화같은 액션, 과도하다 싶을만큼 잔인하게 선정적으로 묘사된 죽고 죽이는 장면들. 결국 그 비쥬얼에

집중해서 그걸로 승부를 보려한 영화였던 것 같지만, 킬빌에서 보였던 핏빛잔혹한, 그렇지만 우아하고 세련된

느낌마저 들었던 영상미보다는 많이 모자라 보였다. 훨씬 잔인하고 리얼하게 많이 죽어나갔지만 뭐랄까,

아무리 대량의 피가 사방에 흩뿌려져도 부담감과 속의 메슥거림 이상의 감정을 느끼기 힘들었다.


아름답지 않았다. 불편하기만 했다. 그래서일 거다. 숱한 고비를 넘기고 그야말로 혈겁의 전투를 계속해온

레인의 몸에 남은 상흔들이 처절해보이고 그래서 아름답고, 그런 종류의 미감을 끄집어내기보다는 그저

너덜너덜해진 '걸레'처럼 보였던 건. '핏빛 아름다움', 뭐 그런 류의 미감을 인정할 수 있다면, 그가 적들과 주고

받는 합들 사이로 번져나가는 붉은 피에서는 그다지 그런 미감이 건드려지지 않았다. 영화가 끝날 즈음 성한곳

하나없이 신체의 전면과 후면 모두 커다란 칼에 뜯긴 자국이 몇개씩 생겨난 레인이 우뚝 선 모습은 징그럽기만

했다.


레인의 연기가 문제였을지도 모르겠지만, 애초에 액션 영화에 액션 이외 연기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애초 영화가 추구했던 '미감'의 문제 아닐까 싶다. 어쩌면 영화 자체가 그런 '핏빛 미학'을 추구한 게

아니었던 거다. 그저 난도질하고 죽이고 피가 사방에 적나라하게 튀는 그런 영화를 만들고 싶었는지도. 뭐,

그렇다면 기존 헐리우드 영화가 '동양적 소재'에 기대어 그려내려 했던 '핏빛 아름다움'의 정형과는 상당히

다른, 새로운 시도가 되는 셈인지도 모르겠지만, 사실은 그냥 좀 생각없이 만든 삐급영화였던 게지 하고 속으로

생각하고 있다.


 
저번에 전지현이 일본식 교복입고 칼휘두르던 '블러드'를 보면서도 느꼈던 거지만, 배우 한 두명이 헐리우드

작품에 나간다고 해서 그들이 '한국' 배우로서의 대표성을 갖는 건지, 헐리우드에서 그들이 '한국' 배우로서

인정받는 건지는 대단히 회의적이다. 그들은 이를테면 '배우 올림픽'에 한국이라는 나라 국가대표로 나간 게

아니라, 그냥 헐리우드에서 필요한 동양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일개 배우인 거다. 괜히 한국 배우의

헐리우드 진출, 이렇게 대서특필하고 주목하고 자랑스러워할 게 아닌 거 같은데. 오히려 헐리우드에서 계속

이런 식으로 소비하고 왜곡해 나가는 '동양', 혹은 '한국'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만 쓰이는 소모품이 되는 건

아닐까. (배우 본인들은 헐리우드 진출의 후광을 업고 돈도 벌고 명예도 얻겠지만.)


이 영화만 해도 오리엔탈리즘에 경도된 동양의 이미지들이 덕지덕지 포장된 거다. 그건 영화가 어색한 이유 중

다른 하나일 수도 있겠다. 한국인 관객들에 익숙한 '동양'의 이미지와 컨텐츠가 왠지 익숙한 듯 낯선 모습으로

헐리우드에서 재구성되고 있으니, 도무지 몰입이 안 되는 거다. ('동양'에 대한 백지 이미지를 가진 미국이나

서구에서야 그냥 그런가부다 하고 흡수되는 이미지겠지만 말이다.) 주로 일본에서 연원하는 국적 불명의

동양적 이미지들, 상당히 강조되어 노출되는 레인의 '동양적 생김새', 가족을 중시한다 여겨지는 '동양적

가치관', 게다가 영화를 보면서 이건 일본관객들이 불쾌해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던 '동양적 복수'의

방식, 묶어놓은 사람에 복수를 한다고 칼질을 하는 것까지. 이제는 클리셰가 되어버린 세탁소의 한국인 주인은

차치하고라도, 마이크를 쥔 힘센 '서양' 헐리우드가 동네방네 '동양'은 이런 곳이야 떠벌리는 꼴이다.


물론 한 술밥에 배부르랴, 는 지적이 나오리란 거야 빤히 예상되는 바이지만, 요는 그거다. 한국배우 한두명의

진출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정말 한국의 국격이니 위상이 중요하다 생각한다면) 헐리우드에서 한국을, 동양을

다루고 소비하는 방식의 단무지스러움을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식으로 한국배우들의 헐리우드 진출이

늘어난다고 해서, 그리고 그게 이슈가 되어 해당 영화가 쉽게 홍보된다고 해서 이득보는 사람이 누굴까.

결국 레인이 나온다는 사실만 빼고나면 전혀 잘 만들었단 생각이 안 들었던, 딱히 인상적인 것도 없고 울림이

남는 장면도 없던 별볼일 없는 영화였다고 고백하는 셈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