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에서 취직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서면 인터뷰를 했다. 이런 시도는 처음이었어서, 다소

딱딱하고 도식적인 질문들이 나열되는 피피티 자료의 빈 칸들을 채워넣기란 쉽지 않았지만, 오늘 추가로 대면

인터뷰를 하면서 그 거칠고 둔한 질문들에 대한 답들을 좀더 자세하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미 피피티 자료는 근 한 달 전쯤..? 협회와 전혀 상관없이 보이는 질문들에도 꾸역꾸역 답을 하고, 이게 무슨

제대로 된 질문이냐 싶은 것들에도 열심히 동문서답을 하면서 내가 하고 싶던 얘기랍시고 담았었는데, 막상 오늘

대면 인터뷰를 하면서 인터뷰어가 쥐고 있던 자료가 분명 내가 썼던 그것임에도 왜 이렇게 낯설던지. 나로부터

나왔지만 이미 나와는 너무 멀어져 버린 듯한 느낌, 혹은 애초부터 내가 어느정도 가식이랄까 포장을 섞었던

것일까. 추가 질문들에 이리저리 대답을 하면서, 과연 내가 일년간 다녔던 이 협회란 곳은 대체 어떤 곳일까..

내가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공간일까 외려 스스로에게 하고 싶은 질문들만 차곡차곡 쟁여져버렸다.


무지하게 유니크한 공간. 사기업도 아니지만 공기업이라기엔 그보다 훨씬 다이나믹하고 서비스지향적으로
 
굴러가고, 그러면서 조직 수장의 영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좀 느슨하고 안정지향적이기 쉬운 조직. 게다가 어쨌든

자체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조직이 아니라 국가의 무역이라는 '대의' 내지 '공익'을 위해 상당한 규모의 돈을

매년 소비하는 조직..


그 공간에 흔적을 내라면, 지금보다 조금은 더 중소 무역업체들의 이해와 목소리를 섬세하게 반영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는 평가(대외적 생색내기나 핵심정치인들의 눈도장을 받기 위한 이벤트성 행사만을 중시하는 게

아니라), 지금보다 조금은 더 무역업체들의 최대 이익단체로서 수출업체 뿐 아니라 수입업체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이야기(협회의 이름을 보다 협소하게 바꿀 것이 아니라면), 그리고 지금보다 조금은 더

정부로부터 독립적인 민간 차원의 액터로서 협회의 근간인 회원사들을 위한 판단과 결정을 하고 있다는 평가

(정부기관의 건방짐과 막대먹음이 지금 협회의 포지셔닝의 어정쩡함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싶다.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지금보다 조금 더 협회의 지명도를 높이고 네임 밸류를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이야기, 협회의

조직문화가 좀더 합리적이고 상식적으로 성숙하는데 일조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달까. 그리고 무역 자체가

단순히 몇조니 몇천억이니 하는 숫자놀음으로 환원될 것이 아니라, 한국의 발전에 어떠한 질적 기여를 해야 할지..

까지 근본적인 차원에서 고민하는 조직으로 바꾸고 싶다. 그러한 조직원들의 고민 위에서, 협회가 외부적으로도

훨씬 성숙하고 근본적인 철학의 문제까지 던질 수 있는 멋진 조직이었으면 좋겠다.


......


내가 이곳에 몸담으면서 이런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일단 지금의 내게 직장이란 단지 내가 좇는 삶의

물질적인 기반(시간과 자금, 체력)과 정신적 여백(여유)을 남겨주는 하나의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협회가 내게

무엇인지, 어떤 직장인지를 이야기하는 것은 늘 내가 이 직장이 제공하는 것들로 지금 현재 빚고 있는 삶이 어떤

것인지, 무엇인지를 이야기해야 하는 것과 같아져버리고 만다.


지금의 직장에서 늙어죽을 때까지, 아니 늙었다고 짤리기 전까지 다닐지는 모르겠다. 직장의 선배님들이 다니고

있는 걸 보면..난 절대 저 분들처럼 남아있을 거 같진 않은데, 그렇다고 다른 뾰족한 대안이 보이는 건 아니다.

어쨌든 지금 당장은 직장을 제한 나머지 삶의 부분들을 상당히 보장해주고 있으며, 그건 일종의 독묻은 사탕과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한 이년만에 만난 후배 하나는, 마냥 분방하고 날 것의 이미지가 나던 예전의 나에 비해

왠지 지금은 뭔가 포장이 잘 되어 있다거나, 세련된 가면을 쓰고 있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었다.


정말 그렇게 되고 있나, 맘이 덜컹 내려앉았다. 난 그렇게 '교정'되거나 '포장'되고 싶진 않은데. 디즈니 만화에선가

허름한 시골집에 묵게 된 자칭 공주가 진짜인지 알아보기 위해 침대 시트 밑에 콩 한알을 넣어두는 장면을 봤었다.

다음날 아침 그녀는 침대 밑에 무슨 커다란 돌이 있는지 밤새 한숨도 못 잤다고 이야기하고, 주위 사람들이 시트를

몇개씩 더올려 가며 며칠 밤을 시험해보아도 이미 연약하고 민감해져버린 그녀는 작은 콩알 하나가 커다란 돌처럼

등에 배긴다고 불평하는 장면. 이 곳에 들어오고 나서, 난 저런 공주가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공주처럼 자잘한 것들에 무지하게 민감해진 채, 더군다나 큰 그림을 보는 노력조차 제대로 기울이고 있지 않다면,

그렇다면 정말 추해질 거다. 마치 군대에서의 어느 때처럼, 배가 부르면 좋고 졸리면 자고 머리아픈 건 귀찮고.


하루 단위로 살며 콩알 하나를 돌인 양 설레발치는 돼지 하루살이가 되고 있는 걸까. 직장에 들어오고 나서 확실히

많이 해이해진 거 같다. 그리고 많은 걸 타협하고 그러려니 항복해 버리는데 익숙해지고 있는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