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e #1.

―이번 사태 때 가장 어려웠던 순간은?
"바로 이 자리에서 네 번째 학생이 자살했다는 보고를 받았을 때다. 세 번째 자살 학생이 있고서 9일 만이었다."
―이게 내 책임이라는 생각이 들었나?
"책임이고 뭐고…, 머릿속이 하얘졌다. 솔직히 젊은 학생들이 그런다는 게 이해가 안 갔다."

[최보식이 만난 사람] '카이스트 사태 그 뒤' 서남표 총장 (조선일보, 2011. 4. 25)



대학의 총장이다. 더구나 세명, 네명의 아이들이 며칠 사이에 죽어간 대학의 총장이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죽어간지 며칠 지나지도 않은 시점이다. 그런데 그 '젊은 학생들'의 죽음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말을 하고 있다. 죽은 사람들 앞에서 최소한의 예의와 최소한의 도덕적 책임은

고사하고, 왜 죽었는지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



Scene #2.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4대강 사업 현장에서 노동자가 20명이나 사망한 것과 관련해 “본인 실수로 사망한 것”이라고 말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 장관은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노철래 미래희망연대 의원이 “공사 진행과정에서 인명피해가 생긴 것은 살인적인 공사 진척 때문”이라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정 장관은 질문에 대해 “사고다운 사고는 몇 건 없고 대부분 본인 실수에 의한 교통사고나 익사사고 등”이라고 말했다. 또 정 장관은 “현장 사고가 많이 난 것은 송구스럽지만 (공사를) 서두르기 때문에 일어난 것은 아니다”라며 “야간작업을 해서 사고가 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국토부 장관 “4대강 사망사고는 본인 실수 탓” 파문 (경향, 2011. 4. 21)



장관이다.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면, 그런 정부의 얼굴 중 하나가 

장관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거다. 사대강 사업을 관장하는 주무부서의 장관이, 그 공사로 인해

죽어간 사람들에 대한 질문 앞에서 저런 말을 했다. '본인 실수다'. 장관이 할 말은 아니다.

수십명이 죽고 있는데도 그저, 개인의 실수로만 몰아간다는 건 사람이 할 말도 아니다. 


Scene #3.

"언론에서 지난 1월 20날 그 사고를 용산 참사라고 합니다. 뭐 때문에 참사라고 합니까? 많은 사람이 죽었기 때문에 참사라고 합니다. 누가 뭣때문에 죽었습니까? 우리 경찰에서 화염병을 던지고 신나와 시너를 끼얹고 거기에 불을 질러서 사람이 죽었습니까? 

2010. 1월 조현오 경찰총장 연설 중.



용산참사로 철거민 다섯사람과 전경 한사람, 총 여섯명이 죽었다. 죽은 이들에 대한 모독과 증오의

단어들은 계속된다. 테러범이라느니, 죽을 짓을 해서 죽었다느니. 전후 사정을 차치한다고 하더라도

경찰이 보호해야 할 국민의 생명을 결과적으로 앗아갔다는 점에서 고개를 조금이라도 숙여야 하지

않았을까. 그러기는 커녕 계속해서 그들의 죽음을 물고 뜯는 건 잔인하다.


Scene #4.

서른두 살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씨가 홀로 빈곤과 병마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났다. 이웃집 문에 붙여놓은 마지막 메시지는 ‘창피하지만 남은 밥과 김치가 있으면 저희 집 문 좀 두들겨주세요’였다. 많은 이들이 가난한 예술가의 비극에 놀라고 슬퍼했다. 그녀의 동료들은 이 죽음을 사회적 타살로 규정했다. 영화 스태프들의 열악한 처우에 대한 이야기가 다시금 이슈가 되었다. 복지 체계의 미비함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게 다 MB 때문”이라는, 지하철 안내방송만큼 감흥 없는 이야기도 반복되었다.

그런데 정작 내 주의를 끈 것은 최씨의 부고 기사 아래에 붙은 인터넷 댓글들이었다. 명복을 비는 댓글 사이사이로, 고인을 질책하고 훈계하는 댓글이 끝없이 매달렸다. 몸이 그 지경이 될 동안 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집에서 글만 쓰고 있었는가, 재능이 없다 싶으면 포기해야지 왜 맨땅에 헤딩을 하는가, 이웃에 밥 달라는 쪽지 쓸 힘이 있으면 어디 가서 아르바이트라도 했어야지….


'잠수함의 토끼' 최고은씨(시사IN, 2011. 2. 23)



윗분들께서만 죽은 자를 모독하고 멸시하는 건 아니다. 죽음 앞에서 취해야 할 최소한의 예의나

존중 따위는 없이, 그저 자신의 입장이나 이해에 따라 폄하하고 재단하기에 바쁜 건 어느 시나리오

작가의 죽음 앞에서 우리 사회의 일반인들 역시 윗분들 못지 않았다. 말이 없는 사람 앞에서

자기 맘대로 짛고 까불며 훈계하는 댓글들, 언제부터 죽음 앞에 이렇게 무감각해졌을까.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간 일본 대지진 직후 일부 언론은 국내 경제에 미칠 득실, 돈계산하기에

바쁜 기사를 써내곤 했다. 당장 눈앞에 죽어가는 사람이 보이지 않고, 워낙 많은 사람들이 한번에

죽었으니 감이 떨어졌다고 치자. 그렇지만 이렇게 한건 한건, 한사람 한사람 죽어가는 사건들에

대해서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이 고작(!) 이 정도라는 건, 특히나 그 죽음에 가깝거나 먼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들이 저렇게 반응한다는 건. 끔찍한 일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