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9일 코엑스 메가박스 M2관, '클라우드 아틀라스' 상영이 끝난 후 한 시간 가까이 배두나와의 무비 토크가 이어졌다.

 

우선 영화에 대해 말하자면, 그 이전 워쇼스키 남매(前 형제)의 작품-특히 '매트릭스'-에서 풍기던 철학적인 냄새가 많이

 

희석되고 좀더 호쾌하고 재미있는 즐길거리로 집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형 배우도 줄줄이 나오는.

 

 

물론 기본적인 베이스는 살아 있다. 수백년에 걸쳐 이어지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변하지 않는 약자에 대한 억압,

 

'상식'이라 당연시되는 편견들,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세대 갈등과 나아가 복제 인류(혹은 식용 인류)에 대한 차별까지


뻗어나가는 그럴 듯한 상상력이 그렇고, 생을 거듭하며 나타나는 삶의 궤적이나 연속성이랄까, 그런 불교적 뉘앙스도 그렇다.

 

 

그렇지만 그런 풍부한 은유와 뉘앙스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아틀라스'는 몇 개의 인생이 퍼즐처럼 흩어진 스토리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무겁거나 어렵지 않고, 기본적으로 스펙타클한 장면과 현란한 효과들에 무게를 실은 작품이라는 생각이다.

 

'아바타의 뒤를 잇는다'는 광고 카피라거나, 이날 관객과의 대화에서 배두나씨가 말한 것도 그런 맥락인 듯.

 

 

결론. 아바타 때도 사실 규모만 크고 뻑적지근했지 내용은 별 거 없다 생각했었는데, '클라우드 아틀라스'도 그렇다.

 

다만, 그 스펙타클함 때문에 영화관에서 보면 더 재미있을 영화.

 

 

 

p.s. 다만 이 영화에 나오는 2300여년의 서울을 두고, 드문드문 나오는 한글을 두고, 혹은 영화의 여주 배두나를 두고,

 

'한국부심', 애국심을 느끼는 건 정말 뜬금없지 싶다. 그때는 이미 지금과는 국가의 개념도, 민족과 국경의 개념 역시

 

달라졌다는 전제를 깐 미래의 어느 지역일 뿐. "서울이 배경인데 왜 왜색이 느껴지냐" 따위의 불쾌감을 느끼기 전에

 

그저 아주아주 먼 미래에 어느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다룬 픽션이라고 생각하면 좋겠다.

 

 

 

p.s.2. 그나저나, 가져간 Pentax의 77 limited 렌즈로 D열에 앉아서 찍은 사진들인데 역시나, 거리와 조명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많이 흔들리고 선예도도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두나는 참 이쁘더라는.

 

그녀는, 아니 그녀의 연기는 '고양이를 부탁해'로부터 '공기인형'에 이르기까지 마음에 담아두게 된다.

 

[공기인형] 짤그랑대는 기네스 병맥주, 사람의 마음이 그렇다.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에서 야요이 쿠사마를 만나다.

에 이어, 철길을 따라 걷다가 만난 두마리 고양이, 턱시도 고양이랑 얼룩이 고양이 뒤를 쫓아다니며 찍은 사진들.

 

평상 아래 숨어서 지그시 이쪽을 경계하고 있던 턱시도 고양이 녀석.

 

 

조금 경계심이 풀렸는지 지푸라기 가지고 콧구멍을 후비는 대담한 장면을 연출하기도 하고.

 

 

 

날 좀 봐주소, 놀아주소, 하는 용맹무쌍한 눈빛까지 쏴주시는 녀석.

 

그런가 하면 얼룩이 녀석은 어찌나 새침하던지, 카메라만 들이대면 도망가기 바쁘던.

 

그래도 철길마을의 좁다란 철길 위를 오가며 지나는 사람도 좇아보고, 골목통 양쪽의 세간살이나 쓰레기들을 부벼보며 의기양양.

 

어디선가 수도가 터졌는지 쏟아져나온 물이 꽁꽁 얼어버린 빙판에 고개를 박고는 사이좋게 얼음을 빨기도 하고.

 

못내 아쉬운 채로 바이바이를 하고 돌아서려는 참에도 여전히 경계심을 풀지 못한 이 녀석.

 

턱시도랑 얼룩이 두 녀석 모두 힘든 겨울 잘 지내고 길냥이지만 건강하게 오래 살면 좋겠다.

 

 

 

 

 

 

 

말하는 건축가, 요새 대세인 건축학개론 말고. 고 정기용 건축가에 대한 다큐멘터리다.

 

 

사실 건축이란 거, 여태 관심이 없었던 게 이상할 정도로 일상적이고 인간적인 예술인 거다. 사람을 에워싼

 

공간을 확보하고 형체를 부여하는 것. 그런 건축물들이 이번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을 새로 짓는 공모전에서

 

드러났듯, 그리고 청계광장의 빨갛고 파란 골뱅이탑에서 드러났듯, 인간과 역사에 대한 성찰과 배려없이는

 

쉬이 위압적으로 되어 천박하고 자기완결적으로 폐쇄된 '바벨탑'이 되고 마는 거니까.

 

 

그는 등나무에 기대어 선 운동장과도 같은 무주의 공공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제주도니 어디니 전국 곳곳의

 

기적의 도서관을 만들어내는 등 쉼없이 건축의 윤리성을 묻는다. 건축이 지향해야 할 바, 건축이 가져야 할

 

가치를 묻는 그의 태도는 대단히 완강하고 보수적이랄 수도 있겠지만-그래서 그의 건축은 첨단소재나 기법에

 

큰 관심이 없었던 게 아닐까 짐작해본다-한 가지 질문에 대한 나름의 성실한 답을 내놓는다.

 

 

공간을 실제로 활용할 사람들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 평생 인간을 위한 공간, 형체를 만들기위해 애썼던 그가

 

자신이 지어올린 건물-목욕탕 겸 마을회관-옆에 앉아 볕을 쬐며 노인들과 담소하는 모습이란, 그가 꿈꾸던 인간적이고

 

공적인 건축물의 현현이자 그 질문에 대한 최선의 답을 보여주는 거 같았다. 그 건물을 누가 지었는지 관심조차 없는

 

노인들 옆에서, 다만 쓰잘데기없는 마을회관 대신 꼭 필요했던 목욕탕이 생긴 걸 기뻐하는 그들 옆에서, 가만히 웃는 그의 모습.

 

 

건축가로서 차츰 드러나던 그의 모습을 따라가다 보니 어느 순간 사람이 보였다.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며 건축가로서의

 

시선을 갈무리하고 평생의 성취를 내보이는 회고전을 치루는 모습은, 그렇게 지인들과 인사를 나누고 마무리를

 

단단히 지으려는 모습은, 이미 특정 분야의 그렇고 그런 '전문가'의 모습을 넘어서 있었다. 어쩌면 저렇게 죽음을

 

받아들이고 삶의 마지막을 매듭짓는 모습 자체로 모든 이의 공감과 존경을 받기에 충분한 거 아닐까.

 

 

'고양이를 부탁해'를 찍었던 정재은 감독은 그런 그의 죽음을 두고 괜히 눈물샘을 자극하지도, 턱없는 아량과

 

하릴없는 상찬을 늘어놓지도 않는다. 성대결절로 고생하는 병든 건축가의 갈라진 목소리를 자막도 없이 그대로

 

드러내며, 관객들이 모두 숨죽이고 귀를 쫑긋 세우고 문장 하나, 단어 하나를 꼭꼭 새겨듣도록 한다. 처음에는 목소리가

 

거슬린다 싶더니, 어느 순간 그 목소리가 너무도 뭉클하게 다가왔을 만큼 강력한 영화였다. 영악한 감독 같으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