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인디포럼 월례비행 작품은 박준석 감독의 '낯선 물체'.

 

극도로 절제된 대사와 카메라 무빙, 그리고 내러티브보다는 메타포가 갖는 의미를 전개해나가는데 집중한 작품이었다.

 

전체 비용이 백만원 들었다나, 밥값 오십 포함해서. 물론 배우들의 개런티같은 비용은 제대로 챙기지도 못했을 거다.

 

그야말로 핸드헬드 8미리 카메라 하나 달랑 메고 영화를 찍는 '시네마 키드'의 날것 같은 모습으로 찍은 영화랄까.

 

 

그렇지만 영화의 참신함이라거나 아이디어, 그런 독립/예술 영화 특유의 강점은 말할 것도 없고 감독이 조탁해낸

 

화면의 아름다움 역시 여느 대작영화나 상업영화-그런 식의 구분이 유의미한지는 차치하고라도-에 뒤지지 않았다.

 

한시간에 이르는 시간 동안 사방에서 야금야금 짚어내는 학교 건물의 구석구석 장면, 그리고 그 공간들을 다시

 

치밀한 프레이밍을 통해 사방에서 조망하여 선과 면과 반복적인 패턴의 스틸샷으로 잡아내는 공력이라니.

 

 

빛이 사라진 눈길의 남자가 있다. 그는 기계적인 동작으로 텅빈 듯한 건물 안을 청소하고 있다. 세피아톤의 가라앉은

 

화면, 숨죽인 듯 절제된 카메라 무빙, 그리고 엉성하게 휘두르는 대걸레의 쓱싹이는 소리만 가득한 공간 안으로,

 

문득 '낯선 물체', 커다란 공 하나가 통통 튀며 굴러들어오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는 가만히 공을 굽어보다가 가만히

 

두 팔 가득 공을 품에 안고는 건물 안의 통로와 방들을 살핀다..굳이 말하자면 이런 식의 내러티브가 가능하려나.

 

 

이 영화에 대한 소개글에는 확연히 갈리는 듯한 전반부와 후반부의 이야기 중 전반부를 영화 속 영화라고 소개하고

 

있는데, 그렇게 보지 않고도 읽어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감독의 예술적 자아가 어떤 경로로 성장했는지, 마치

 

개인의 삶과 그 와중의 인간관계를 선과 면과 반복적인 패턴으로 가득한 건물 안에서 응축해보여주는 듯한 압축된 회상신이랄까.

 

그리고 그런 포부와 기대를 배반하는 현재의 열악한 환경과 무딘 재능 따위로 얼마나 답답한 상황인지에 대한 가감없는 고백.

 

 

낯선 물체. 그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일상에 다가온 하나의 소소한 계기라거나 고민 한줌이라고 읽을 수 있을 거 같다.

 

문득 세상이 낯설게 보이고 당연하던 것들에 새삼 의문이 제기되는 계기. 영화에서 가장 맘에 들었던 건, 처음에 주인공을

 

깨어나게 했던 그 '낯선 물체' 공 하나가, 영화 마지막엔 두개로 늘어나는 것. (감독 말로는 돈만 더 있었으면 화면 가득

 

'낯선 물체'를 채워넣고 싶었다고 했다.) 그렇게 늘어난 고민, 혹은 의식된 무게감만큼 감독은 성장하고 있는지 모른다.

 

 

한시간여의 상영 이후 감독이랑 이송희일 평론가, 김곡 감독과 대담하는 시간이 또 그만큼의 시간동안 있었는데

 

그 덕분에 더욱 재미있었던 것 같다. 다양한 결과 갈래로 뻗어나갈 수 있는 영화의 해석을 하나씩 짚어보고, 다른

 

사람들의 시각과 이야기를 더불어 버무리며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