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시장이나 남대문시장같이 커다란 시장이 선 곳인 셈. 그냥 노상에 선 시장이 아니라 아치형의
통로를 따라 들어가 쭉 이어지는 실내 공간에 선 시장, 말하자면 강남역 지하상가같은 게 한 대여섯개
쭉 이어진 채 지상에서 사방팔방 이어지는 걸 상상하면 되려나.
입구부터 넘실넘실 파도치는 인파 속에서 관광객과 터키 현지인을 구분하기는 생각보다 어려웠다.
터키인이랑 유럽인은 다른 거 같으면서도 비슷한 면이 많아서, 그저 내 눈엔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그리고 유럽인 정도가 식별되는 듯. 굳이 더한다면 미국인과 유럽인도 조금은 구별되는게
옷차림이나 스타일이 영 다른 거 같다.
사람들이 그득그득하다. 내부 공간을 채우다 못해 밖으로까지 삐져나온 상점들이 지나는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는 탓이겠지만, 정말 한번 둘러보면 재미있는 것들, 이쁜 것들이 꽤나 눈에 밟혔다.
형태가 표현되어 있어서 그저 어느 나라에서나 볼 수 있는 시장과는 좀더 다르다. 터키의 느낌이 좀
진하게 배어나오는 공간이랄까.
여기가 동대문인지 이스탄불인지 알 수가 없어지기도 한다. 지름신엔 국적이 없다. 특히나
저 독특한 고양이 도자기인형들. 톱카프궁전에서 한참을 뒹굴다 온듯 온몸에 모자이크
무늬가 지푸라기처럼 붙어있는 녀석들의 나른한 포즈와 장난스런 눈빛을 보니 불끈불끈.
어디로 빠져나오던 심심치 않은 풍경들이 나타난다. 오래 전 만들어진 대리석 구조물과 그 앞을
몇 겹씩 가리려 들고 있는 카펫들, 카펫이 아니어도 직물이라거나 악세서리라거나 온갖 것들이
나와 있는 곳. 다리가 아프도록 돌아다니다 보면 워낙 여기저기 물건값이 다른 데다가 흥정하는
재미 역시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내가 겪었던 제일 황당하고도 재미있던 경험, 어디선가 "한국말 참 잘하네, 어디서 배웠어요?"
너무나도 능숙하고 구수하게 이런 한국말이 들리길래 당연히 한국인 손님이 터키인 점원에게
하는 말인가 했다. 알고 보니 그 반대. 터키인 점원이 한국인 손님들에게 호객하면서 그토록
능숙하고 유들유들한 한국어를 구사하더라는.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urkey-04,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에도 트램이 다니면 좋겠다는. (2) | 2010.11.14 |
---|---|
나도 이런 지붕 아래 살아보고 싶다는. (2) | 2010.11.11 |
하얗고 파란 얼룩이 눈앞에서 어른거리던 톱카프 궁전의 무한모자이크. (2) | 2010.11.09 |
서울의 젊은이에겐 남산N타워, 이스탄불 젊은이에겐 갈라타타워 (0) | 2010.11.04 |
갈라타타워에서 내려다본 이스탄불 전경. (2) | 201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