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쩍. 터키와 이집트로 향했었다. 왜 하필 그 나라들을 가겠다고 맘먹었었는지는 이제 기억도 나지 않지만,
덕분에 제대하곤 군대에서 공찬 이야기밖에 할 게 없는 '복학생' 껍데기 따위는 한번도 뒤집어쓰지 않아
다행이었다. 그만큼 강렬하고 그만큼 행복했던 터키의 기억, 이번엔 디지털 카메라를 들고 디지털 모드로
6년만에 다시.
이곳은 일주일 째 비가 주룩주룩 내리고 있었다는 거다. 일반적으로 10월경이 터키를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던데 아마 세계적 기상이변의 영향 아닐까, 창밖으로 빗발이 계속 빗금을 긋고 있었다.
우산도 팔고 우의도 팔고. 저렇게 파란색 우의를 단체로 입고 돌아다니는 사람들은 대개 크루즈를 타고
놀러온 유럽인들이라 했다. 갈라타항구에 커다란 크루즈선이 정박하면 며칠동안 이스탄불 곳곳에 저들이
출몰하며 혼잡함을 더한다고.
설명을 하려고 애쓰고 있었지만 제각기 다른 곳을 보느라 정신없는 아이들의 분방함은 어디나 똑같다.
다 싱그러워지는 듯 했다. 더구나 비까지 촉촉하게 내려주는 이스탄불의 아침이다.
읽어야 하는 건지 여전히 감도 안 잡힌다.
하얗고 소박한 벽면. 게다가 활짝 열린 창문간에 놓인 조그마한 꽃화분까지. 왠지 조그마한 공주님이라도
살고 있을 거 같은 귀여운 방이 창문 너머에 있을 거 같다.
200캐럿이던가 굉장히 큰 다이아몬드를 위시해서 투르크 왕조가 비장하고 있던 보석류와 호화로운 장신구,
황금칼 같은 것들이 잔뜩 전시되어 있다.
달콤한 커피크림 같기도 하고.
해안가에는 오래전 세워진 성곽이 무너지거나 유실되지 않고 여전히 굳건하게 남아있는 걸 볼 수 있다.
있도록 만들어졌다는데, 저렇게 딱딱한 의자에 바로 앉히진 않았겠지 설마. 십분만 앉아있어도 엉덩이가
시리고 욱신거릴 거 같다는.
그때의 미감은 지금과는 조금 달랐던 것일까. 딱히 좌우가 대칭되어야 한다거나 똑같은 문양이 연속되어야
한다는 강박이 없었던 거 같다. 그런 대칭미나 연속미 없이도 충분히 아름다울 수 있음을 보여주는 톱카프
궁전의 모자이크.
아니겠지만, 그래도 궁전 안을 배회하다 지친 다리를 쉬기에는 안성맞춤. 이미 자리잡고서 느긋이
쉬고 계신 어느 풍채좋은 유러피안 할아버지.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urkey-04,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스포러스 해협을 따라 이스탄불의 어둠을 훔치다. (4) | 2010.10.30 |
---|---|
이스탄불에서 화장실 찾는 법. (4) | 2010.10.29 |
보스포러스 해협에 번진 이스탄불의 야경 (2) | 2010.10.29 |
터키의 맥주 '에페스 다크'를 마시며 '에페스'를 회상하다. (6) | 2010.10.21 |
[터키 #10(完)] 블루모스크가 이고 있던 고아한, 부드러운 파스텔톤의 '하늘'. (0) | 200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