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태국에서 언젠가 먹었던 맥주. 싱하. 태국 도처에 널린 사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수호상-아마도

해태?-의 심볼이 새겨진 담담한 색감의 맥주캔이 책상 위에 놓였다.


#1. 파나마에 간 G는 운하 앞에 서서 "한국에 돌아오면 열심히 하겠다"고 소회를 밝혔다고 한다.

자칫하면 내가 따라갈 뻔했던 출장. 아무리 파나마의 수도 파나마의 가로수가 온통 망고나무인데다가

잘 익은 망고가 뚝뚝 떨어져 아찔하고 강렬한 향을 피워올린다고 해도, 그 꼴 안 봐서 다행. (이랬다가

또 사찰당해서 회사 쫓겨나고 법정투쟁 옥중투쟁해야 하는 건 아닌지. 어제 피디수첩에서 다룬 '민간인

사찰'이야기를 보신 분으로부터 진보신당 당비 이제 그만 내는 게 어떠냐는 이야기를 들었던 거다.)


#2. 세르비아 총리, 방글라데시 총리 등이 많이 왔다갔다 하면서, 나름의 '경제외교'를 펼친다. 외교의

많은 부분이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해 온통 기울여지고 있는 추세상 새삼스레 '경제외교'랄 것도 없겠지만.

문제는 그런 제3세계랄까, 개도국의 경제성장을 위해 유입되어야 할 외국의 자본과 상품들은 선택적으로

'시장'을 택한다는 것. 그들은 국가가 아니라 (국가가 조성해놓은) 시장을 본다. 시장 규모, 더한다면 구매력.


정치인들의 연설과 판촉의 꼬드김을 들으며 경제인들은 속삭인다. 저긴 시장이 넘 작아서 먹을 게 없어.

이래서야 개도국이 발전하고 절대빈곤의 수준에서 탈출할 가능성은


일국 차원에서의 인민 대 인민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민주주의가 이러니저러니 해도 많은 부분 상식이 되었고

그 상식에 기대어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외치며 진보를 지향한다면, 지구적 차원에서는 영 아니다. 국가 대

국가간의 관계, 혹은 시장 대 시장간의 관계에서는 민주주의 따위 통하지 않는다. 적자 생존, 규모의 경제,

형식적이나마 국가 내를 규율하는 1인1표 따위의 평등한 원리 대신 1원1표의 원리로 선택되고 결정되는

국가, 그 안의 국민들의 미래. 그나마 국제연맹이니 국제연합이니 칸트의 이상이 살아있던 때가 있었지만,

더이상 국제 관계는 정치가 아닌 경제가 규율하고 있는 거다. 외교와 민주주의는 더욱 멀어졌고.


#3. 그 와중에 누구는 전시작전권을 소고기와 팔아먹는다. 이 기묘한 셈법은, 상품을 내어주며 돈을 주는 것과

같다. 그리고 전작권 환수연기에 동의해주어서 감사하다니. 소고기 문제를 어떻게 풀어 나갈지, 실제 계산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뻔하다는 생각이 진하게 든다.


#4. 뭐랄까, 물리적 거세를 해봐야 그런 놈은 넘쳐나는 성욕을 주체하지 못해 허벅지라도 대고 부비댈 놈이다.

이상, 술꼬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