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음식이나 맛집 인테리어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여느 '맛집'이라는 데를 들르면 벽면에 빼곡히 적혀있는 유명인들, 연예인들의 사인과

"돈 많이 버세요", "맛있게 먹었습니다" 따위의 관용적인 덕담들을 쉽게 볼 수 있는 게다.


한두개 걸어놓은 집에선 그래도 누가 왔다갔나 유심히 이름도 살펴보게 되지만

아무래도 여러개가 걸려있으면 그냥, 일종의 벽지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고만고만한 내용에 특색없이 질질 갈긴 사인들, 그냥 벽면에 도배된 A4지들 같은 거다.


그 중에서 최근 어느 '맛집'에 갔을 때 발견한 참신한 사인.

글자체도 그렇고, A4지의 네모난 구획에 구애받지 않는 분방한 스타일도 그렇고, 감탄했다.

사인은 어디에도 없지만, 저 정도면 본인이 왠지 직접 썼을 거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는 거다.


조영남, '화개장터' 하나로 평생을 우려먹는 가수에 그다지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지만,

그래도 이 사인 하나만큼은 그저 감탄. 저런 게 좋다.ㅎ


어느 가을날,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 줄기 따라' 화개장터를 둘러보았다.

고작 그 노래 하나로 평생 울궈먹고 사는 사람도 있다지만, 화개장터 근처에 친척댁이

있는지라 그래도 드문드문 들러보는 화개장터는 조금씩조금씩 변하고 있었다. 박경리

소설 '토지'의 최참판댁 근처를 걸을 수 있는 산책길 코스가 정비되었고, 화개장터의

옹기집이니 반찬가게니 좀더 번듯하고 깔끔하게 차곡차곡 들어차 있는 거다.


이전에 화개장터는 그저 유서깊은 재래시장 정도의 느낌이었다면 조금씩 이렇게

초가지붕도 엮어올리고 구석구석 황토의 분위기를 살려넣어 좀더 전통 문화나 정서가

담기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만한 재미다. 바가지머리 모양으로 초가지붕을 올린

남자화장실 건물 역시 그런 의식적인 노력의 일환일 거다. 파랑 작대기인간이 서있는

화장실 사인이 좀 아쉽긴 하지만 그 양쪽 옆구리춤에 쓰인 '남자'란 글자가 정겹다.

여자 화장실도 일관성있다. 빨강 작대기인간 양쪽 허리춤으로 역시 '여자'라고 두글자를

적어넣은 분은 틀림없이 동일인물. 조금만 더 욕심을 부렸다면, 화개장터와 하동, 하면

역시 박경리의 '토지'만한 컨텐츠가 없으니만큼 서희랑 누구더라, 그 남자캐릭터를

남녀 화장실의 표지모델로 썼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다.


* Mother nature is calling me, 직역하면 '자연이 나를 부르고 있어' 정도가 되겠지만 보통

이 문장은 허물없는 사이에서 화장실 다녀오겠다는 의미로 새겨지게 됩니다. 여행을 다니며

결코 빠질 수 없는 '답사지' 중 하나가 그곳의 화장실이란 점에서, 또 그곳의 문화와 분위기를

화장실 표시에까지 녹여내는 곳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국내외의 특징적인 화장실 사진을

이 폴더 'Number one or number two?'에 모아보고자 합니다. 그 표현 역시 우리말로 치자면

'큰 거야 아님 작은 거야?' 정도겠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