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3회에 걸친 독자위원회 활동을 마쳤다. 시사인의 독자층을 반영하는 듯 6명의 독자위원이 모두 20대였고 그 중

직장인은 내가 유일했다. 빠른 생일 덕에 20대에 꼈으니, 그냥 세대 다양화를 위해 30대로 치고 좀더 다양한 목소리를

들려주겠노라 다짐했는데 막상 돌이켜 보니 '직장인으로서', '30대로서', 꺼냈던 지적이나 요청은 딱히 없었던 것 같다.


아마 내가 '직장인' 혹은 '30대(준)'라는 자각이 없는 탓이다. 게다가 직장인의 정체성, 30대의 정체성을 내걸고 짚을 수
 
있는 부분이란 건...뭘까. 재테크 관련 정보를 달라고? 결혼준비를 위한 정보? 직장상사와의 관계 노하우? 진지하게라면

직장에서 제공하는 삶의 질 문제라거나 안정성, 그와 이어지는 비정규직 법안이나 노조탄압 문제..파업이나 투쟁에 대한

적대적인 언론 프레임에 대한 문제제기..근데 이미 그런 것들은 시사인이 민감하게 다루고 있는 편이니, 딱히 더

할말이 없었던 거 같기도 하다.


Dynamic Korea. 워낙 껀수가 많은 나라인 탓에, 게다가 위정자가 귀머거리인 탓에, 해결은 커녕 최소한의 봉합조차

이뤄지지 않고 시간에 쓸려가는 사건들이 부지기수다. 용산에서 피어오른 화마가 잡아먹은 사람이 6명. 언론들이

만들어놓은 '냄비근성'의 사람들은 새로운 자극과 더 강한 충격을 좇아 달리는 중이고, 이제 전대통령의 죽음조차

겪은 사람들이 대체 무엇에 충격받고 분노할 수 있게 될지 모르겠다. 


사실 끊임없이 New를 찾아 달려야 하는 언론에게 새로 밝혀야 될 것이 아니라 이제 그걸 토대로 추궁하고 책임을
 
물어야 하는 책임까지 지우는 건 과하다. 이른바 '기자정신'이 얼마나 비장하고 끈덕진지는 몰라도, 그건 'New'를

찾아내기 위한 거지, 그 뉴스로 촉발될 수 있는 후폭풍까지 끌어내기 위함은 아닐 거다. 그래서 더 답답한지도.

용산참사의 경우 합법/비법/불법을 동원해 면죄부를 쥐어주긴 했지만 '죄'가 어느 쪽에 있는지는 더이상 New가

아닐만큼 판단이 섰다고 보는데. 노 전대통령의 경우도 누가 사과를 해야하는진 더이상 New가 아니며, 사람들이

그걸 받아내지 못하는데 언론에서 계속 '사과해라사과해라'할 수도 없는 거고. 계속 뉴스를 발굴하는 건 별개지만.


* 용산참사 직후에 썼던 난쏘공 리뷰.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촌스러운' 용산참사와의 부끄러운 데자뷰

진보신당이 왜 민노당 뒤에 타고 있는지에 대한 농섞인 질문을 하게 만들었던 표지. 사실 원내 의석수나 지지율 등으로

따지면 당연한 걸 텐데..뭐 그랬다. 그리고 '초식남'에 대한 여성 패널들의 빈정거림만 가득했던 기사에 대한 불만을 잔뜩

털어놨던 자리. 초식남에 대한 빈정거림은 마초와 남성 일반으로 번져갔고, '자아'가 최대 수출품목이라는 네팔에 다녀온

남자는 우스워지고 까페에 앉아 책을 본다거나 와인을 즐기는 남자는 자뻑 나르시즘에 쩔어버린 속물로 취급당했다.

여러번 뜨끔뜨끔, 했던 탓도 있지만 그건 아니다. 더구나 '된장녀'니 '신상녀'니 여성들에 대한 그런 식의 딱지붙임이

불쾌해서 네넘들도 한번 당해봐라, 이런 맘으로 기획된 거라면 더욱 아니다.

그 이전까지는 개성공단을 살리자는 측과 죽이자는 측으로 단순했던 것 같다. 북한에서 개성공단 내 임금과 임대비용등을
 
몇 배로 올려달라, 중국을 다소 상회하는 수준으로 달라고 했더니 바로 살리자는 측이 쪼개졌다. 한국경제를 살리려고

개성공단을 이용하자는 건데 이럴거면 죽이자, 라는 것과 임금을 올려주는 것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라며 살리자는

입장으로 대별되지 않을까 싶다.


개성공단의 가격경쟁력이 천년만년 갈 것도 아니고, 언제까지 저임금만을 경쟁력으로 삼아 버틸 생각이었나. 통일되고

나서도 북한의 저임금을 발려먹을 생각이었을 거다. 기업들이 앞장선 남북간 민간교류란 게 그렇게 흘러간다.


*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속내.  '개성공단 춤사건'을 기억하시는지. - 봉동관, 그리고 입경.(4/4)

5월말의 뜨거웠던 알제리, 얼핏 싱싱해 보이는 녹색의 푸르름은 6월말만 되면 누렇게 타들어갈 운명이었고

이미 저렇게 시도때도 없이 뿌려제끼는 스프링쿨러의 도움에 의지해 연명하고 있었다.

해변가에 붙어있던 경고문. No Lifeguard on Duty. 어쩌라고. 니 목숨은 니가 알아서 챙기라는 식인가. 게다가

No Diving. 머리깨지는 건 그래도 걱정해주는 '친절한' 안내문.

해변가를 따라 이어지는 산책로. 햇볕이 좋았다. 몸 구석구석을 파고드는 듯한 열감과 그 광선. 그런 느낌이었다.

깜깜한 곳에서 강력한 손전등을 손가락끝에 푹 눌러두면 피부가 뻘겋게 투명해지는 거. 피가 비쳐보이는 거라고도

하던데, 그런 강력한 광선 아래서 온몸을 살균소독하는 것 같달까.


바다 바로 옆을 걷는데도 습기가 없어서 더 기분이 좋았다. 이런 맛에 일광욕을 하는구나.

그치만 역시 녹색식물들이 버티기엔 열악한 환경이지 싶다. 산책로를 따라 함께 늘어진 관목들을 보자니, 잎사귀가

완전 탱탱하니 두껍고 짧막하다. 최대한 수분 증발을 막고 버텨보려는 대응 방식이겠지만, 잎새 모냥새가 좀

보기 흉하다 싶을 정도로 기능에 치중한 녀석들.

그 사이에도 스프링쿨러는 잘도 도네 돌아가네~ 360도 뱅뱅 돌며 물을 뿌려대는 통에 방심하다가 좀 젖었지만,

금세 뽀송뽀송 말라버렸다. 어찌 잘 찍으면 순간적으로 나타나곤 하던 무지개를 잡을 수 있을까 했지만 끝내 실패.

힘차게 뻗어올라선, 방울방울 흩뿌려져선 온통 사방에 바람따라 날린다.

순간 해상도낮은 그림처럼 dot, dot, dot, 점묘화로 표현되는 세상.

물줄기의 세례에서 다소 소외된 것들은 벌써부터 '타는 목마름'이다. 갈색으로 누렇게 말라붙어가고 있다.

보송보송하고 여리게 돋아난, 땅딸한 무골호인같은 잔디와는 달리, 이녀석은 억세고 튼실한 척추 위에

성긴 잎새가 얹혔다. 구름이 파닥대며 지나가고, 잎사귀도 파닥대며 훌쩍 꺽였지만. 이녀석은 꿋꿋하다.

뭐라더라, 자신의 신체 일부, 혹은 어딘가에 반사된 모습을 찍는 남성이 '초식남'이라던가. 감성과잉의 초식남?ㅋ

뭐 이번 포스팅에 풀떼기 얘기가 많이 나오긴 하지만, 초식남은 아닌 거 같은데. 까페 좋아하고 브런치 좋아한다고,

이뿐 거 좋아하고 수다떨기 좋아한다고 덥썩, '넌 초식남' 혹은 '암컷에 잘보이려 진화한 형태'따위로 분석하는

건 기분 나쁘다.


여성을 두고 '된장녀'니 뭐니 딱지 붙이는 게 번번이 그녀들의 어느 한 단면에만 날아가 붙듯, 초식남이니 마초니

하는 딱지도 그들-우리들의 작은 부분밖에 커버하지 못한다. 굳이 말하자면, 초식남과 마초 사이의 '잡식남'정도

어떨지. (이런 식으로 reflection photography에 대한 변명, & 지난 시사IN 기사에 대한 뒤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