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 그 근방에 있는 가리왕산 자연휴양림. 조그마한 동네인 정선에 슬쩍 그 산자락 하나를

얹어놓은 것만 같은데, 실은 강원도란 데가 온통 산자락이 구불렁구불렁한 곳인지라 어디서부터 어디가

무슨 산인지 딱 끊어 이야기하기도 어려운 거다. 여하간 그 이름모를 산자락 앞에 바싹 머리를 디민

커다란 해바라기 하나. 파란 하늘도 좋고 샛노란 해바라기 꽃잎도 좋고.

정선의 메인로드라고 해봐야 이삼층을 못 넘는 야트막한 건물들이 채 백여미터나 될까 싶은 왕복 4차선

찻길을 호위하고 있던 그 호젓하던 길, 길가에 무성하게 자라난 야생국화꽃이 지나는 사람들과 눈높이를

맞춰보겠다고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정선역까지 기차를 타고 왔던 게..아마도 2001년쯤, 군대 가기 전이었던가. 그때 역사가 어떻게 생겼었는지

주변 풍경이 어땠는지에 대해서라면 아무 기억도 없다. 그저 그 때 강원 카지노랜드와 민둥산을 들러서

눈밭에서 잔뜩 뒹굴고는 정상에 올라 꽁꽁 언 캔맥주를 마셨었던 기억 뿐.

가리왕산 자연휴양림, 하늘. 새파랗고 새하얗고. 정말 너무나 좋은 9월의 하늘.

땅. 손을 아무리 뻗어도 닿지도 않는 하늘과는 달리, 땅에는 약한 것들 투성이다. 뽑고, 꺽고, 밟고,

심지어 만지는 손길에도 치명적일 수 있는 여린 생명들.

이렇게 여린 빛깔을 여지껏 품고 있는 거다. 빛을 받아 문득 투명해진 연두빛의 잎사귀들, 저런 여리고

약한 생명 앞에선 손끝에서 가위라도 절그럭대는 것처럼 조심조심 몸가짐을 여미는 게 인지상정.

휴양림 내에서 크고 작은 동그라미를 그리는 산책로 옆에 뒤집어져 있는 쓰레기통, 그 첫 글자인

'쓰'의 쌍시옷이 왠지 방긋 웃고 있는 이모티콘을 연상시킨다.

본격, 9월의 가리왕산 자연휴양림 위에 펼쳐진 하늘. 그냥 아무 말없이 흘러가는 구름만 바라보고 있어도

하나도 지루하거나 심심하지 않은 날이 있는데, 딱 그런 날의 하늘이었다.

그래서 정말, 휴양림 어디쯤엔가 철푸덕 자리 깔고 앉아서는 하늘만 보다가 돌아나왔다. 숲속을 떠나도

하늘은 따라와서, 정선의 고즈넉한 길가 위에나 허름한 슬레이트 지붕 위에도 파랗고 하얗고. 문득

스머프가 생각나기도 하지만 우야튼,


저렇게 동글동글 수제비처럼 떼어내진 구름떼가 바람에 밀려가고, 그 훨씬 위에 칠해진 투명한 파랑색 하늘이

어느순간 일렁인다 싶은 환상에 빠질 즈음이면, 누군가 기분좋게 머릿카락을 쓸어주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리고 정선 시내를 산책하다가 만난 풍경들 몇 개. 바리케이드로 쓰이는 노랗고 까만 철제구조물에 비닐을

씌워서는 고추를 말리는, 아아 나른하다 나른해, 라고 고추들이 비틀리며 중얼거리는 거 같다.

쌍꺼풀이 엄청나게 짙던 강아지 한마리. 쌍꺼풀도 길고 속눈썹도 길어서 왠지 눈매가 낙타를 연상시킨다. 


'자전거포'라고 어렸을 때 불렀던 거 같은데 요새야 엔간하면 전부 무슨무슨 샵, 으로 바뀌었다지만. 아마

그 나이를 따지자면, 바이크샵<자전거포<자전차 정도 되지 않을까.

벌써 어디인가는 연탄불을 지피고 있는 건가, 근처에 연탄불 고기집 같은 곳이 안 보이는 주택가였으니

아무래도 난방용으로 쓴 건가 싶다. 아니면 무슨 온실같은 곳에서 공기를 덥혀주느라 태웠다거나.

어느 골목길, 아이들이 길가에서 공을 차며 자기들 눈에만 보이는 골대를 향해 내달리고 있었다.

색색의 플라스틱 우유상자를 화분삼아. 구멍이 숭숭 난게 공기 통하기도 좋겠고, 사방으로 나 있는

손잡이 덕에 옮기기도 편하겠고, 여러 개 저렇게 배열해놔도 깔끔하게 아귀가 딱 맞아떨어지고.

전깃줄 위에 앉아서 쫑긋쫑긋 머리를 사방으로 돌려대는 새 한마리. 저렇게 새들이 머리를 마구 돌려대며

사방을 경계하는 걸 보면, 꼬깃꼬깃 돌려대다가 뚝 하고 끊어져버리는 건 아닐까 걱정이 슬몃 들기도 한다.

여하간, 또다시 가슴을 둥둥둥 울려대는 9월의 하늘. 여행가고 싶다..





절 옆에서 물이 솟아난다 하여 절물이라던가, 제주도의 절물자연휴양림 들어서는 입구다.

역시 탐라국답게도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 입구에서부터 우리를 반겼다.

"오십디강 잘 쉬었당 갑써양", 제주 말이 잉잉거린다 싶은 건 바닷바람에 날린 탓이라고.

현충일을 앞둔 황금연휴의 시작, 토요일 오전이었는데 생각보다 사람이 적었다. 일기가 궂어서

사람들이 제주도로 많이 못 내려왔나 싶기도 했지만 속속 도착하는 대형버스들이 사람을

뱉어내기 시작했다. 그래도 조금 일찍 출발한 덕분에 새소리 가득한 호젓한 숲길을 고즈넉히

걸어볼 수 있었다.

쭉쭉 곧게 뻗은 나무들이 빼곡하게 버티컬 커튼처럼 내리쳐져서는, 땅바닥의 갈빛과 천장의

녹색빛깔 사이에서 조금씩 그라데이션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앞서 걷는 사람 하나 찾아보기

쉽지 않은 그런 숲길, 어디선가 은은한 꽃향기와 나무향이 흘러넘쳤고 나무 사이를 휘감는

바람은 정말 머릿속 두통까지 털어내는 듯 했다.

나뭇가지를 지팡이처럼 꺽어쥐고 걷던 꼬맹이가 뭐에 심통이 났는지 빽 소리지르며

울기 시작했나보다. 당황한 부모가 일단 나뭇가지부터 던져버리고 아이를 달래기 시작,

나무 등걸을 타고 덩굴이 올라가듯 아이의 울음소리가 하늘로 번져 오르는 느낌이었지만

그래도 사람많고 아스팔트로 꽉 찬 도시의 울음과는 그 괴로움의 정도가 훨씬 덜했다.

그나저나 나무 참 미끈하게 쭉쭉 잘도 뻗었다. 지면이 평평하던 기울었던 상관없이 나무는

하늘을 향해 알아서 방향을 잡아가다니, 무던하게 1미리씩 오차를 수정해가며 하루하루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꺾어나갔을 거다. 지구 중심부로부터 바로 뻗어나온 그런 각도아닐까,

왜 둥근 태양에서 햇살처럼 번져나는 느낌으로 지구에서 뻗어나간 나무들.

중간중간 놓여있던 너른 평상, 잘 관리되는 푸른 잔디밭 위에 잘 생긴 나무들이 우쭉우쭉

자라나 초록 그늘을 드리워 바람이 머문다 싶은 곳엔 여지없이 평상이 놓여있었다. 시간만

많다면 그냥 저기 벌러덩 누워서 바람쐬고 먹고 자고 하면 딱 좋겠다 싶었는데, 부러운

맘에 선택받은 사람들의 그 평온하고 편안한 분위기만 슬쩍 취했다.

덩굴식물을 보고 있으면, 특히나 녀석들의 조그맣고 반질거리며 단단한 이파리를 보고 있으면

이 아이들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게 아니라 실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건 아닐까 싶어질

때가 있다. 위에서부터 크리스마스 트리에 전구나 리본을 둘둘 감듯이 나무둥치에 휘휘

감아놓은 듯한 분위기여서 그런 걸까,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신기하다.


얼핏 초록빛 일색으로 보이던 숲이 알고 보면 무수하게 다양한 빛깔을 품고 있었다. 뭐랄까,

상이색이나 에메랄드색 크레파스같은 빛깔이 풍기는 숲그늘이 너무 신기해서 한참 둘러보다가,

나무를 눈여겨보고야 그 이유를 알았다. 나무껍질에 온통 옅은 녹색의 이끼가 잔뜩 끼어있어서,

전체적인 색감이 그렇게 오묘하게 나왔던 거다.

드디어 '절물'이란 이름의 연원에 도착, 절은 없어졌고 조그마한 암자가 남아있다지만

절 옆에서 흘러나온다던 물은 그대로였던 거다. 층층이 이끼가 시루떡처럼 얹혀있는 샘물,

나무대롱을 타고 흘러내리는 수량이 적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급살맞게 콸콸 흘러내리는

지경은 아닌데다가 주변이 온통 파릇파릇하고 폭신한 분위기인 게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어느 한 장면 같다. 토토로라도 뛰어나올 분위기.


코스가 여러곳으로 뻗어나가 있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산책했던 코스도 있고 하여

이리저리 헤집고 다니는 맛이 있을 거 같다. 절물오름까지도 이어지는 트레킹 코스도

있다고 하니 할애할 시간도 짧게는 한시간 내외에서부터 길게는 몇시간까지 즐길 수

있을 거 같고. 제주시에서 멀지도 않으니 꼭 한번 들러볼 만한 곳인 듯.

"왕방강 잘고라줍서", 와서 보고 가서 잘 이야기해달라는 그 당부 아니어도 이야기를 신나서

잘 할 수 밖에 없던 곳. 절물자연휴양림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