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에 이어 두번째로 열린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 작년과 마찬가지로 광주 시내 곳곳에서 벌어지는

축제인지라 첨단쌍암공원, 빛고을 시민문화관, 금남로공원, 그리고 구도청 바로 옆의 쿤스트할레에서

삼일동안의 일정이 꽉 차 있는 거다. 이번 포스팅은 그중에서도 가장 핫한 플레이스로 쿤스트할레, 혹은

아시아문화마루라 불리는 장소에서 벌어진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 현장 스케치.

 




 

폐컨테이너 수백개를 활용해서 만들어진 아시아문화마루, 월드뮤직페스티벌 첫날 저녁에는 이곳에서

세계 각지의 뮤지션들 사이의 네트워킹 파티가 벌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둘째날, 아직은 해가 중천에

떠있는 상황에서 먼저 구경가본 쿤스트할레 건물은 커다란 컨테이너로 만들어진 성과 같은 느낌이다.

밤이 되고 공연이 시작되기 전, 확 바뀌어버린 분위기. 내부에는 맥주 등 간단한 음료를 파는 펍이 있고

공연을 보러 온 외국인들이 제법 많아져서 그런지 낮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다. 공연장 2층에 올라 1층을

내려다보니 아직 공연 전이라 삼삼오오 모여서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고들 있었다.

그리고 시작된 이날 저녁의 첫공연, 컨테이너 박스를 이어붙여 커다란 빅 컨테이너 박스처럼 만들어진

공연장을 꽉 채운 사람들이 적당히 무질서하게 놓인 간이의자에 앉아 무대를 향했다. 열맞춰 늘어서지

않고 되는 대로 편하게 놓인 좌석 배치가 맘에 들었다.

이번에 새로 앨범을 냈다는 가수, '야야'라는 한국가수의 첫무대였다. 다소 마른 체형의 그녀는 의외의

파워풀한 보이스로 분위기를 돋웠고, 음악에 한껏 취한 채 가볍게 폴짝폴짝 뛰며 노래를 하는 모습이

자연스레 관객들을 무대 앞으로 몰려들게 만들었다.


그렇게 사람들은 모두 일어서서는 무대 앞까지 밀려나가 노래에 맞추어 움직이기 시작했다. 쿤스트할레의

커다란 컨테이너 공간이 삐걱거리며 음악에 맞추어 출렁이기 시작하던 순간, 어디선가 들고온 도라에몽

얼굴모양의 커다란 가방이 가면처럼 얼굴 앞에서 춤추고 있었다.


그 와중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관객들도 없진 않았다. 조그만 아이를 데리고 온 부부라거나, 2층 오른켠의

난간 가까이에 선 채 두주먹 불끈 쥐고 아래 무대를 응시하고 있는 교통경찰의 인형. 저 초점없고 생기없는

눈동자가 제복을 입은 채 뜨거운 열기를 풀풀 내뿜는 무대를 내려보고 있다는 이질적인 실감 그 자체가

왠지 무대를 즐기는 사람들의 흥분을 더욱 고조시켰던 거 같다.


그리고, 자칭 '지구음악'을 한다는 다국적 밴드 수리수리 마하수리. 그들의 인상적인 노래와 연주는 모두를

거의 무아지경 상태로 몰아놓고 있었다. 국적 불명의 다양한 악기와 창법, 전혀 생소한 멜로디를 자유로이

구사하는 그들이야말로 월드뮤직페스티벌에 딱 맞는 라인업이 아니었던가 싶다.

이곳 쿤스트할레, 아시아문화마루는 꼭 월드뮤직페스티벌이 아니어도 나름 광주의 문화예술을 위한

요람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는 것 같았다. 9월, 10월, 공연 일정이 꽉 차 있었고, 주류와 비주류를

굳이 가를 것도 없이 다종다기한 스타일의 공연을 위해 열려 있다는 느낌이었다. 하긴 애초 컨테이너를

활용해 이런 공간을 만든 것부터 꽤나 참신하고도 도전적인 마인드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거다.

그런 발랄하고 열려있는 마음가짐이 광주를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로 이끌 주된 동력 아닐까.

밤이 깊어가는데 오히려 관객들은 숫자상으로도, 그들이 내뿜는 열기로도 한껏 고조되어 있었다. 그런 와중에

나타난 디제이 시코(DJ Cyco), 전혀 디제잉에 문외한인 내 막귀에도 그의 믹싱은 뭔가 달랐던 거 같다.

관객들도 그런 마음이었던 걸까. 의자를 버려둔 채 모조리 무대 앞까지 달려나가 음악에 몸을 맡겨버렸다.

그렇게 밤늦도록 이어지던 쿤스트할레의 실내 공연. 월드뮤직페스티벌을 빛내는 각국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공연도 좋았고 아시아의 아이들이 하나된 모습으로 노래하는 모습도 좋았지만, 아무래도

페스티벌을 진정 즐길 수 있으려면 이런 야밤의 뜨거운 공연이 빠질 수는 없는 거다.

 

그리고 쿤스트할레를 거점으로 벌어졌던 아시아 문화주간 행사 중에서 깨알같은 재미를 선사했던

'플리마켓' 이야기를 빼놓을 수도 없다. 인근의 광주 문화예술인들이 전부 모인 듯 직접 만든

예술작품이나 소품들을 갖고 나와 좌판을 벌인 모습도 보였고, 캐리커쳐로 쓱싹 얼굴을 그려주는

아티스트도 있었으며, 국적을 알 수 없는 기묘한 옷가지들을 들고 나와 파는 사람들도 있었다.

꼭 뭔가를 사서가 아니라, 그 옆에서 팔고 있던 케밥을 씹으며 두리번두리번 구경하고 돌아다니는

그 자체로 쏠쏠하게 재미지던 플리마켓.

 

그렇다고 빈손으로 돌아나온 것도 아니다. 직접 그리고 오려붙여 만들었다는 카드를 두 장 사서 마켓 귀퉁이의

빈자리를 찾아 쭈그려 앉았다. 바닥에는 목이 기린만큼 긴 강아지가 꼬불꼬불 그려져 있었고, 그 얼굴 위로

스케이트 보드를 타는 아이들이 묘기를 펼쳐보이고 있었고. 뭐랄까, 쿤스트할레의 분방한 외양 만큼이나

분방한 분위기를 사방으로 퍼뜨려 이런 사람들을 모아들였구나 싶은 느낌.

 


낮에 보았던 아시아문화마루, 쿤스트할레의 텅빈 공연장은 바야흐로 월드뮤직페스티벌의 열기로 후끈

달아올라 있었다. 아시아 문화의 교류, 화합의 장으로 거듭나겠다는 광주의 원대한 포부가 이곳에서부터

응축된 에너지로 아시아 국가들로 뻗어나가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해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