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가득, 그리고 카메라 가득 담아서는 호텔에서 체크아웃을 했다. 아사히맥주공장에서 공장견학과 함께 맥주
시음도 맘껏 하고, 다자이후에 가서 텐만구, 큐슈박물관, 고묘젠지, 그리고 엉성하게 한글 광고가 써져있던
가게들도 구경했다. 이수영 뮤직비디오에 나왔다는 유센테이코헨, 한때 큐슈번주의 별장이었다는 그곳에 가서
한적한 정원을 거닐기도 했고, 라멘과 음식들은 매번 어김없이 성공적이었으며, 아크로스 후쿠오카에서 바라본
후쿠오카의 전경은 굳이 올라가보길 잘했다 싶었다. 캐널 시티나 어딘지 딱히 짚을 수 없는 후쿠오카 시내에서
헤매듯이 쇼핑도 했었다. 구시다신사에서 짝짝 박수치며 흉내를 내보았던 건 역시 잘했다 싶고, 순박해 보이는
아저씨가 한국인이라며 반겨주던 텐진 시내 포장마차(야타이)는 꼭 한번 더 가보고 싶었더랬다.
못한 선물같은 풍경들을 마주했지만, 때로는 다리도 아프고 배도 고파 그저 쉬고 싶은 맘뿐이기도 했다. 같이 배를
타고 왔던 그 많던 한국인 여행자, 혹은 관광객들은 전부 어디로 가 버렸는지 아사히맥주공장에서 한 무리의
한국인 단체관광객들과 맞닥뜨린 때 빼고는 아무 눈치 안 보고 활개치며 다녔었다.
미루기로 하고 살짝 섭섭하면서도 뿌듯한 마음으로 하카다항 국제터미널로 향했다. 사실 '행복의 언덕'
후쿠오카에서는 서울과 부산이 도쿄보다 가깝다고 한다. 그만큼 가까운 곳이니 언제든 맘만 울컥하면 달려올
수 있지 않을까..환율만 좀 미쳐돌아가지 않는다면. 이번에 나설 때도 고작 사흘만에 백엔당 원화환율이
백원 이상 올라 천오백원을 넘나드는 바람에 식겁했었다.
차이가 없었던 것 같은데 터미널 이용료는 약간 더 비싼 것 같다. 대인 500엔. 부산항이 2,500원이었던가. 그러고
보면 실제로 여행에서 쓰는 경비 중에 참 많은 부분이 교통비로 들어간다.
프레임을 넘어서는 곳에는 벽들이 버티고 있는, 그런 조그마한 여객 터미널이다.
저렇게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도록 구분되어 있는 쓰레기통이 대세라긴 하지만, 하나씩 별도로 세워져 있는 것도
드문데다가 왠지 저렇게 깔끔하게 운영되는 건 못 본 거 같다. 뭐 여기라고 별 수 있겠냐 싶고 알고 보면 어제 밤에
새로 사서 들여놓은 쓰레기통인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최소한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봤던 것들은 지방
중소도시의 시외버스터미널 대합실에 있는 것처럼 퀘퀘하고 지저분했었다.
없게 꽁꽁 싸매진 상자박스같은 느낌이긴 했지만, 그래도 우등버스 정도는 되는 좌석과 안락함이 느껴져서 그닥
답답하지는 않았다. 아마 갑판으로 나가서 바람을 쐴 수 있게 열린 구조라면 벌써 몇 사람은 시속 80킬로미터의
속도를 못이기고 날아가버리지 않았을까.
쭉쭉 늘어지는 빗방울들이 하나둘 그어지더니, 유리창을 가득 덮어버렸다. 海雨.
보니 그렇게 흔들림도 없고 왠만큼 거칠어진 파도에도 크게 영향받지 않나보다. 바다 위로 비가 솔찮이 내리고
있었지만 그다지 배의 진로에 장애가 되는 것 같지는 않았다.
누군가는 질려서 식욕조차 잃는다는 한평생만큼 이어지는 여행의 베이스캠프로 돌아왔다. 후쿠오카 여행기 끝.
"삶에 대해 곰팡내를 풍기는 낡아빠진 시시한 말들을 지혜로 여기는 자는 식탁에 앉을 때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으며, 심지어는 맛있게 먹기 위한 식욕조차도 가지고 오지 않는다." F. Nietzsche.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Japan-08,09,10,11,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주를 맛있게 마셨다는 증거, 인증샷. (0) | 2010.09.09 |
---|---|
바람개비를 들고 도쿄를 달리다. (0) | 2010.09.08 |
[후쿠오카] 명성황후를 시해한 칼은 대체 어디에? 구시다신사에. (4) | 2009.01.13 |
[후쿠오카] 여기가 한국이야 일본이야? (12) | 2009.01.11 |
[후쿠오카] 예기치않게 발견하는 여행의 재미들. 숨은그림찾기. (0) | 200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