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과 이슬람 모스크를 넘나들며 수차례 건물벽면에 회칠이 새롭게 되고 이전의 흔적이 덮였던
건물다운 건지도 모른다. 유럽과 아시아 한 가운데 버티고 선 이 건물의 이름을 어떻게 발음할지,
이 건물을 성당이라 해야 할 지 이슬람 사원 모스크라 해야 할지, 혼란스러운 게 당연하다.
중후하고 분위기 있는 색감을 만들어냈다 싶다. 저렇게 뻘건 색깔이 생생하게 갓 칠해졌을 땐
대체 어땠을까, 사실 그다지 상상하고 싶지는 않도록 텁텁하고 끈적하고 더운 색감이지 않았을까.
치장이 안된 맨얼굴을 맞이하는 느낌이라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바닥의 돌들은 조금씩 삐뚤거려
발걸음을 엉키게 하고, 벽면과 천장의 벽돌들은 곱고 반듯하게 마감했을 회칠이 전부 벗겨졌는지
조금씩 허물어져 가는 유적을 연상케 했다. 그 벽면에 기댄 그림들은 아야 소피아의 과거를
알려주는 온갖 그림과 정보들.
문양과 색감으로 이미 충분히 화려한 회랑이 다시 나타난다. 조명조차 변변찮던 첫번째 회랑과는
달리 수십개의 전구가 밝게 켜진 샹들리에가 드높은 천장에서부터 길게 내리뜨려졌다.
궁금해서 금방 지나치기 십상이지만, 그래도 조금만 인내심을 갖고 회랑을 살피면 이곳도 꽤나
공들여 다듬어진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대리석을 잘라 그 무늬가 좌우대칭이 되도록 하여 붙힌
벽면의 붉고 푸르고 하얀 대리석들도 그렇고, 천장의 노란 배경색과 문양들이 그렇다.
금빛 찬란한 성화 한 폭. 성화도 성화지만 그림 가장자리를 두르고 있는 레이스같이 가느다랗고
새하얀 장식들이 섬세하다.
그림은 코란의 한 구절들이라고 한다. 도무지 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모스크의 중앙돔엔
'알라가 유일신'임을 고백하는 아랍어가 씌여있다고 하니 그 비슷한 문구들이 아닐까.
빼곡히 가려진 채 복원작업이 진행중이었다. 아무래도 세계의 주요한 유적들은 쉼없이 복원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른 거다. 캄보디아의 앙코르왓도 그렇고, 서유럽의 온갖 유적지도
그렇고, 여기 이스탄불의 아야 소피아도 그렇고. 일상 생활에 들어와 활용되다가 시간이 지나면
무너지기도 하고 스러지기도 하던 공간에서 과거를 고착시키고 기억하기 위한 공간으로 바뀌면서
억지스레 잡아놓으려니 그런 거 같다.
비밀을 숨긴 듯한 엄숙하고 단호한 느낌이란, 수없이 쏟아져 들어오고 나가는 여행자들이 내뿜는
웅성거림과 방황하는 분위기가 더해지니 완전히 멍하니 무장해제되고 말았다. 사방으로 종횡하는
시선을 따라 사방으로 눌려지는 셔터.
돔형으로 지어진 천장을 따라 둥글둥글 내려선 벽면들, 그 벽면들에서 다시 뭉글뭉글 뻗어나간
공간들과 입체적으로 뚫린 창문들, 실제 공간이 얼마나 넓은지 가늠하기 힘들도록 입체적으로
확장되어지는 공간, 그 공간감을 더욱 왜곡시키는 건 사방으로 늘어뜨려진 샹젤리제와 동그란
판들과 기둥들과 회랑과 창문들.
노란 빛을 뿜어내는 수백 수천개의 전구들, 그만큼의 빛을 이 공간에 던져놓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반만 둥근 창문들. 대체 이런 너를 뭐라면 좋을까.
찍어대도 이 아름답고 위엄있는 건물에 누를 끼치기만 하는 느낌이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urkey-04,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의 지층을 헤집고 보존하는 공간, 아야 소피아. (4) | 2010.11.19 |
---|---|
아야 소피아에서 훔쳐보는 블루모스크. (0) | 2010.11.16 |
한국에도 트램이 다니면 좋겠다는. (2) | 2010.11.14 |
나도 이런 지붕 아래 살아보고 싶다는. (2) | 2010.11.11 |
그랜드바자르, 지름신엔 국적이 없다. (0) | 201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