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야멘타 하인학교 - 10점
로베르트 발저 지음, 홍길표 옮김/문학동네

하인, 누군가를 위해 순종하고 헌신하는 사람. 보다 정확한 사전적 의미로는 "남의 집에 매여 일을 하는 사람".

한자로는 더욱 웃긴다. 그야말로 하인이라도 알 수 있을 법한 쉬운 한자들, 下人. 아랫사람.


학교가 있다. 그런 하인이 되라며, 누구보다 하인다운 하인을 키워낸다는 하인양성학교가 있다.

의외로 그런 학교에도 학생들이 있었다. 그리고 새롭게 또 한명이 입학하겠다고 학교 문안에 들어선다.


시대는 19세기 후반. 앙시앙레짐의 귀족들이 무너지고 신흥 부르주아들이 기계 문명과 함께 떠오르는 시기,

예술과 소비의 주체가 특정의 '고귀한 핏줄'만이 아닌 '대중'으로 확장되었다 믿어지기 시작한 시기.


아마도 그는 몰락귀족의 핏줄로부터 도망치고자 했다. 동시에 오만해진 대중과 배나온 부르주아들 틈바구니에서

부대끼고 발버둥치기를 거부하고자 했다. 귀족의 오랜 피는 이미 잔뜩 안정되고 녹슬었음을 알아챘고, 또한

부르주아와 대중의 치기어린 범속함을 알아채버렸다. 그리고 그는 그 '고귀해지기 위한 경쟁'의 링 위에

올라서기를 거부해 버렸다.


쳇바퀴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일지도 모른다. 남들이 모두 올라서길 열망하며 위를 바라볼 때, 그는 차라리

충직한 하인이 되어 주인님의 반짝이는 구두와 지팡이를 맡아 놓기 위한 예의바르고 순종적인 태도와 더불어,

의심하지 않는 마음, 한결같은 복종과 주인에 대한 애정으로 충만한 마음을 갈고 닦으려 한다. 시니컬하고

독립적이며 재기발랄한 그로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 '하강'의 끝에는 뭐가 있을까. 모르겠다. 혼란스러운 그의 사유가 자동기술식으로 기록된 궤적을 가만

따라가다보면, 어느 순간 Vertigo에 빠지고 만다. 어디가 위인지 어디가 아래인지, (당위적으로) 뭐가

옳고 발전적인 방향인지 무엇을 피해야 하는 건지. 그렇게 스스로를 혼란 속에 던져놓고 스물스물 삐져나오려

버둥대어 보는 것도, 재미라면 재미다.


그리고 실은, 그들의 하인학교는 지금의 세상과 뭐가 크게 다른지 곰곰 따져보는 것도 의미심장해 보인다.

단순하게만 뒤집어보아도 하인이 되기를 자처한 그가 빠져드는 모순과 욕망의 좌절들은 외려 세상에

적응해가며 겪는 그것들과 과히 다르지 않은 것 같아서다.





*  vertigo (영어).  물리적 감각이 두뇌에 상충하는 신호를 보내 발생하는 공간 방향 감각 상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