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서도 8,9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복고풍 영화가 유행인 걸까. '점프 아쉰'은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만영화다.

 

그렇다고 대놓고 그 시절을 추억하려거나 이쁘게 분칠하려는 투는 아니다. 그 시절 태어나서 자라나 방황하고

 

사랑하고 턱없이 진지하다가 이내 웃음이 빵 터지는 그런 청춘이 있었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 감독의 친형이 살았던

 

삶을 재구성한 실화라고 하니까 더욱 단단하고 거품없는 현실감이 느껴지는 거다.

 

 

영화는 제법 길다. 러닝타임이 두시간이 넘어가니 꽤나 긴 셈이다. 내용이 뭔지도 모르고 그저 '체조'를 소재로 한

 

영화라고만 알고 시사회를 갔는데, 영화 속에 체조도 있고 빗나간 청춘도 있고 남자들의 우정도 있었으며 부모와의

 

화해라거나 살짝 시큰한 사랑 이야기까지, 말하자면 일종의 갈라쇼 같은 영화이기도 했던 거다. '빌리 엘리어트'와

 

'비트'와 '친구' 같은 영화들이 각각 하나에 담았던 이야기가 노련하게 하나의 인물에, 하나의 이야기에 꿰여든다.

 

 

그런 영화는 허를 찌르는 반전이나 감동을 극대화하기 위한 영광의 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만 8,90년대의

 

풍경이나 정서가 살짝 오글거릴지언정 줄곧 따뜻한 시선으로 아쉰의 일거수일투족을 따라가며 다음번 그의 스텝은

 

어디로 얼마나 '점프'하는 게 될지 바라보게 되는 거다. 예측했던 곳에 예측했던 멋진 동작으로 착지할 걸 기대하고,

 

실제로 그가 다소간의 우회나 방황을 거쳐 예측했던 곳으로 무사히, 멋지게 귀환하는 걸 보면 충분하니까.

 

 

자칫 산만하거나 늘어질 수도 있었을 곡절많은 스토리를 탄탄하게 한 호흡으로 꿰어낼 수 있었던 건, 영리하게도

 

감독이 남자의 감정을 적절한 선에서 끊어준 덕이 크지 않을까 싶다. 어머니와의 화해라거나 호출 교환원 그녀와의

 

애틋한 사랑, 비장미와 남성미가 물씬했던 불량 청소년들의 싸움과 비극, 심지어 그가 세계대회에서 멋지게 뜀틀을

 

딛고 몸을 휘돌아 날아가는 마지막 장면에서조차 영화는 먼저 눈물을 보이거나 유도하지 않는다.

 

 

그건, 표현의 진부함을 감수하고라도 그렇게 말할 수 밖에 없는 영화, '재미와 감동'을 모두 갖춘 이 영화가 남긴

 

명대사 하나로 충분히 수렴될 것 같다. "만약 울고 싶다면 물구나무서기를 해. 그럼 더이상 눈물이 흐르지 않을 거야."

 

그 대사를 발판으로 아쉰은 하늘로 날아오를 듯 멋진 도약을 성공시켰고, 감독은 이 영화를 여느 숱한 청춘영화와는

 

다른 차원으로 차별화하는데 성공한 거 아닐까.

 

 

 

 

 

 

 


영화가 시작되고 나서 수분간, 온갖 세상의 소음들이 삐집고 나오는 그 틈바구니에서 꽃처럼 만발하던 수화들,

처음엔 아무 대사 없이도 이렇게 흡인력있게 당겨낼 수 있다는 데에 마냥 놀랬고, 다음엔 말로 뱉는 대사들 대신

수화만으로도 참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다는 사실에 감탄했다.


사실 수화, '손으로 하는 말'이라 이해하는 건 조금 어폐가 있는지도 모른다. 수화를 할 때 둘은 서로의 손모양만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표정, 입모양에 몸짓까지 모두 섬세하고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거다. 그들의 눈빛,

입모양, 살짝 스쳐가는 빛과 그늘, 그런 뉘앙스들을 모두 잡아낼 기세로, 수화는 단지 손짓을 이용한 대화가

아니라 거의 완전소통을 지향하는 무엇과도 같다. 더듬이 두개를 완전히 포갠 채 서로의 의식 전체를 온전히

공유하는 개미의 그것과 같은 무엇 말이다.


쉽게쉽게 뱉어지고 그 누구의 귀에도 가닿지 못하는 말들이 얼마나 많은지. 눈을 마주치지 않고도, 상대를

등진 채로도 던질 수 있는 말이란 건 얼마나 허랑한지. "그럼 여태 너희는 만나면서 무슨 이야기를 한 거야?"

그의 아버지가 어이없어 하며 물었고, 그래서 그녀와 그는 말한다. "그동안 우리는 말이 아니라 손으로 했어요."

손으로, 온몸으로, 그들은 이야기를 나누고 사랑한다.


그러고 보면 영화 내내 한 번도 서로에게 전하지 못했던 말, '사랑해'. 자그맣고 귀여운 반전이 지나고 난 후에도

그들은 말할 뿐이다. "워 시환 니". 난 니가 좋아. 그 말로도 충분한 거다. 굳이 뭉게구름같은 수사와 여름철

소낙비같은 고백 말고, 이미 그들은 손으로, 눈으로, 입모양으로, 온몸으로 서로를 사랑한다고 말하고 있으니까.



p.s1. 이런 달콤하고 아름다운 영화를 만나면, 잠시나마 심술궂은 시니컬함이 잠잠해지고 만다. 자주는 아니라도

가끔씩은 갱장갱장히 이런 영화가 땡기는 이유.


p.s2. 영화에 대해 아쉬운 점은 딱 하나, '聽說'이란 (아마도) 대만 타이틀을 그대로 써버린 무성의한 제목, '청설'.

차라리 영어제목을 쓰는 게 어땠을까. hear me. 내 목소리를 들으라는 것도, 내 말만 들으라는 것도 아니에요.

내 모든 것을, 내 모든 뉘앙스를 가능한 남김없이 들어주길. 그런 느낌의 영어 타이틀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