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그림 속에 글씨가 들어갔다. 벤치 위에 마음이 또아리틀었다. 잘 익은 똥처럼. 돌돌돌.

I'm riding on the BOM.




'향수', 鄕愁. 아련한 느낌,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과 가슴먹먹한 상실감이 뒤범벅된 느낌의 단어다.

다소 멍한 눈빛으로 흐르는 물을 부질없이 갈퀴질하는 듯한 그런 이미지랄까.

정지용의 번듯한 생가가 마치 민속촌의 그것처럼 초현실적으로 시골 한복판에 박혀있는 그 곳, 곱게 입혀진

이엉지붕 아래로 낡고 헤진 슬레이트 지붕이 보였다.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남지 않아 깨끗하고 주름지지 않은 채

박제된 '유물'과 수십년동안 사람손타고 때묻은 채 헐벗은 60년대식 슬레이트 건물.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간다는 그 실개천 옆으로는 허름한 시멘트담벼락,

그리고 드문드문 녹이 슬은 다홍빛 철문이 회색빛 슬레이트 지붕에 연해있다.

이렇게 이쁜 간판들을 찾아 사방으로 선불맞은 멧돼지마냥 뛰어다니다가도,

어느새 이런 건물 앞에 서게 된다. 어쩌면 어떤 세대들에겐 이런 건물들이 이상화된 단정한 초가지붕보다 더욱

생생한 '향수'를 자극하는 모티브가 될지 모르겠다. 정지용이 살던 시기에도 저렇게 깔끔하고 아름답도록 잘

꾸며진 초가지붕을 얹고 있었을까 싶은 의구심도 한 몫 했는지 자꾸 이런 슬레이트 지붕들에 눈이 간다.

나중에 저런 슬레이트 지붕을 얹은 집들도 깨끗하게 잘 정돈된 채 '박물화'되어 있을까.

그나마 아슬하게 서있는 전면과는 달리 완전히 무너져 내린 건물의 뒷면.

그리고 80년대 향토예비군 훈련공고 내용을 적어두었을 양철판 하나가 잔뜩 녹슨 채 내걸려 있었다. 어쩌면

여긴 이미 '추억의 그 시절' 쯤 될 만한 운치를 구비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어렸을 때 본 것도 같고.

하얗게 식은 연탄재가 담벼락에 기대어 있는 곳, 살짝만 걷어차도 떨어져나갈 듯한 문짝이 바람결에 철컹이는 곳.

이렇게 연탄을 잔뜩 쟁여두고 겨울을 보내던 풍경은 사실 내 어릴적만 해도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향수'랄 것 떠올릴 만큼 나이를 먹지도, 상실감을 느낄 만한 풍경을 갖고 있지도 않지만, 그래도 초가지붕보단

저 연탄무데기에서 '향수'에 가까운 걸 느끼고 말았다.

구멍 퐁퐁 뚫린 벽돌담 위의 도둑고양이. 보통 어렸을 적엔 저런 벽돌담 위에 시멘트를 얹어선 깨진 유리병조각을

촘촘히 박아두곤 했었더랬는데.

허름한 창고, 곰표 밀가루도 취급하고 설탕도 취급한다는 곳의 시꺼먼 내부는 뭔가가 숨어있는 듯. 어렸을 적엔

학교 지하실 창고니, 저런 버려진 건물이니 어둑어둑한 곳들에 손전등 들고 친구들이랑 많이 싸돌아다녔었다.

녹슨 철문 뒤, 할머니댁같기도 하고 그냥,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그런 문과 그런 오톨도톨 시멘트 장식의 기둥.

괜시리 신발주머니를 질질질 벽에 대고 문대고 다니던 그 시절.

그러고 보니 정지용 생가에서 마주쳤던 부엌의 분위기는 얼마전 '신식 슬레이트' 지붕 얹힌 양옥으로 바뀌기

전까지 넓고 시원한 툇마루를 지키던 작은 할아버지 댁과 꼭 닮았다. 물론 좀더 퀘퀘하고, 닦이지도 않는

그을음이 온통 끼어있었지만.

정지용의 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빼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의 그 곳은, 사실 여느 머릿속 이상향들처럼 현실에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곳이다. 그리고 그 머릿속 그림을 아무리 재현하려 노력해봐야 백인백색, 저마다 다른

그림을 그려내지 않을까. '향수'가 homesick이라기보다 nostalgia에 가까운 이유다.




'향수'의 시인, 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시작하는 첫머리만 알았지 가사도 다 모르던 그 시를 지은 사람이

살던 곳이다. 충북 옥천의 정지용 생가. 사실 여행을 가도 엔간함 피하게 되는 곳이 누구누구 생가, 이런 곳인데

이 곳 역시 그냥, 새로 지은 듯한 깔끔한-사람 온기없는-집 하나 덜렁 있고 옆에 박물관이 있었다.

깔끔하고 이쁘니까 좋긴 하지만, 여기서 정지용이 살았단 걸 그려낼 수 없는 건 내 비루한 상상력 때문일까.

조금은 더 리얼한 모습을 남겨주면 좋지 않았을지 생각해 봤다.

그의 '생가' 옆에 있던 지용문학관, 시인이 조탁해낸 언어들과 시세계를 비쥬얼로 보여주려는 노력이 엿보였다.

무엇보다 그곳에서 일하던 문화해설사(맞나..)분의 질문이 계속 와닿았던 인연이었다. '향수'라는 (노래)제목은

다들 알지만, 정작 그 제목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향수란, 어떤 뉘앙스와 정조를 품고 있는 단어일까요.

"멋진 신세계"는 향수의 시인이자 최초의 모더니스트, 고도의 감각적 시어를 구사했던 정지용의 고장 옥천의

'시문학아트벨트'를 지칭한다고 했다. 정지용의 생가와 지용문학관에서, 옥천의 '향수30리길'을 따라 이어지는

그 공간에서 시인의 정취를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게 해보자는 공감각적 프로젝트라고.

생가 주변에서 만났던 풍경들은 놀라웠다. 이런 간판들이 있다니. 이런 아이디어를 실제로 실현하다니.

물결은 유리판처럼 부서지며 끓어오른다.

모초롬만에 날려온 소식에 반가운 마음이 울렁거리여
가여운 글자마다 먼 황해가 님설거리나니....

나의 가슴은 조그만 갈릴레아 바다.
때없이 설레는 파도.

헐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항상 머언 이,
나는 사랑을 모르노라.

곡식알이 거꾸로 떨어져도 싹은 반듯이 우로! (이곳은 탈곡기가 쉼없이 돌아가는 실제, 그런 곳이었다..!)

얼골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감을 밖에.

감탄할 밖에. 간판들에 눈을 못 떼고 정신없이 싯구절들을 탐하다가, 문득 삐딱한 맘이 고개를 들었다.

이 비용은 누가 다 감당했을까. 강제적으로 시행된 건 아닐까.

가까운 가게에 들어가 물을 사며 슬쩍 물었더니, 군청에서 비용을 전부 부담했다고 한다. 원하는 사람만 간판을

바꾸도록 한 거였고, 내키지 않는 사람은 안 바꿨다고. 하나 더 물었다. 간판 제목과 싯구절은 누가 정했는지.

뭐, 본인이 딱히 원하는 게 있으면 그걸 요청했다 하지만, 대개 '간판 만드는 전문쟁이'들이 알아서 만들어

왔다고 했다. 대체로, 다행한 대답이고 따뜻한 사업이지 싶다.

다른 가게들을 구경하면서 훨씬 맘이 후련해졌다. 멋지다, 고 맘껏 감탄할 수 있어서였을 거다.

↓ 맘놓고 감상하기.



향수의 2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난 여지껏 지랄..뭐라고? 이렇게 듣곤 했었다는, 쓰잘데기없는 사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