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사는 조그만 절, 아무리 느그적한 걸음걸이로도 금세 한바퀴를 돌 수 있을 만큼이다. 잠시 절 밖의 풍경을

볼까, 아까 버스로 지나쳤던 녹슨 수문이나 보러갈까 하는 참에 보살님 한분이 강림하사 산위 망경대로 오르면

문수전이 있다고 말씀해 주셨다. 빠른 걸음으로 오르면 십분이면 오른다길래 헥헥대며 뛰어올랐다.

가까워지는 문수전. 조그마한 전각이 산 위에 살포시 올려놓인 느낌이다.

올라가는 길..이라지만 산길이란 게 종종 오르고 내리는 길이기 마련이어서, 가파른 경사길에는 이렇게 벽돌로

계단을 만들어두기도 했다.
 
문수전에 도착, 빠른 걸음으로 십분 내에 도착하긴 했는데 폐가 불타오른다. 카메라쥔 손까지 떨려서 한참

쉬어야 했다. 날이 풀려야 어서 운동을 할 텐데.

여기서 보이는 반야사의 명물 '호랑이' 모양 돌무데기들은 살짝 야윈 듯하다. 호랑이라기보다는 고양이..?

두서없이 움직이던 시선을 멈춘 곳은 저 아래쪽, 호랑이를 바라보시는 듯한 방향으로 염불을 외는 스님들과

다른 파워블로거 일행들.

그들을 조금 거슬러 오르면 인상적인 자취를 남기며 쎄하니 흘러내리는 물살이 있었다.

파노라마를 한번 찍어서 이어만들어볼까 했지만 실패, 대신에 문수전 문짝에 대고 찰칵찰칵. 스님의 센스겠지,

철사를 도롱도롱 이뿌게 말아서 손잡이로 쓰고 계시다니. 저런 거 넘 좋다.

내려다보면 바로 깍아지른 절벽의 느낌, 안전을 담보하는 엉성한 울타리. "튼튼하게"라는 주문 대신 "불심"이

들어간 게다. 저렇게 만자가 연이어지도록 하나하나 자르고 붙이기도, 게다가 색칠까지 꽤나 품이 들었을 텐데
 
말이다.

다시 문수전서 내려가는 길. 올라왔던 길과 다른 길을 택해 내려섰지만 역시나, 전반적으로는 내려가야 하지만

곧잘 다시금 올라서기도 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였다.

정말 여기 때문에라도 반야사는 한번 다시 와봐야겠구나, 싶었던 문수전.

반야사와 문수전을 떠나는 길, 가을길이래도 믿겠다 이건.

길에서 만난 잠수중인 나뭇가지. 초등학생도 다 아는 '물의 굴절현상'으로 가지가 세방향으로 갈라졌다.

애초 문수전을 몰랐으면 여길 와서 이 풍경을 찍고 싶었던 거다. 파랗게 녹슨 수문이 해바라기하는 투실한

고냥이마냥 조용히 하천을 굽어보는 표정.

하아, 지금쯤이면 좀더 연두연두해지고 초록초록해져서 따끈따끈하게 데워졌을 텐데.




절을 찾아가는 길은 꼭 산과 내를 찾아가는 길이 되곤 한다.

다독다독 잘 다져진 흙길을 따라 걷다 보면 그 길 끝쯤, 더이상 들어갈 수 없다 싶은 깊숙한 산허리춤에서

문득 산사가 나타나는 거다.

불끈 진로를 비틀고 내려닫는 나뭇가지가 수면을 희롱하고 있다.

백화산 반야사 들어서는 입구. 커다란 대문이 반긴다.

선명한 단청보다 눈에 들어왔던 건 배불뚝한 기둥에 그려져 있던 네 마리 용.

사천왕상을 대신해서 휘감겨있는 네 마리 용인가보다.

흑백톤으로 바꾸니 또 다른 분위기가 나는 것 같다. 이른 봄 실개천을 가로지른 돌다리.

500년 묵었다는 나무가 굵고 커지지는 않고, 꼬불꼬불 안으로만 무성해졌다. 배롱나무랬던가. 메롱이다.

삼층석탑의 단단한 기단 위에 사면으로 네 명 부처가 앉았다. 그리고 그보다 많이 올라앉아 있는 돌멩이같은

납작한 동전들. 어떻게 보면 부처를 향해 가르침을 청하는 것 같기도 하고.

스님들이 수행하시는 곳, '출입금지'라는 두꺼운 붓글씨가 멋지다. 금지의 '지'자가 살풋 앞으로 구부린 모습이

이런 딱딱한 표현을 쓰게 된 것에 대한 미안함이랄까, 종교인답게 양해를 구하는 것만 같다.

무너져 내릴 듯 살짝 위태로운 산방의 대나무울타리.

백화산 산신령의 호랑이가 출현하는 국내유일의 도량, 백화산 반야사. 절 에 호랑이가 웅크리고 있는 형상이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낙석무더기들이 흘러내린 모양이 호랑이를 닮았다는 건데, 글쎄. 그냥 저건 많이 휘어진 나이키 로고다.

아까 지나친 삼층석탑, 기교와 크기와 가용자원의 차이일 뿐 그것과 같은 정성이 땅에 발딛고 하늘로 뻗었다.

다소간 끈적해 보이는 개울물이 휘여휘여 흘러내리고 있었다. 엉성한 나뭇가지로 까칠한 윤곽을 가리던 산이

너울너울해진 수면 위에 내려앉아 한결 부드러워졌다.

돌탑위에 또 돌을 올리자니 이미 완결되어 버렸다 싶은, 오를 대로 오른 돌탑들 뿐이다. 괜찮다. 위로 오를수록

작고 가파르고 위험해지는 돌탑이 정점에 달했다 싶으면 또 다시 그 옆에 큰 돌 하나부터 차분히 박아넣고

시작하면 되는 거다.  

오밀조밀 사이좋게 쌓여있는 땔나무들이 이쁘다. 그 땔나무가 토해내고 있을 흰연기가 굴뚝을 거쳐 사방으로

뽈뽈뽈 번져 나갔다.



▶◀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기억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