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계란, 고기 들 위에 대파가 하나 통째로 올려져 있었다는 사실. 썰지도 않은 대파의 하얀 뿌리까지 그대로
피자 위에 얹어놓았다는 게 꽤나 충격적이었지만, 피자와 함께 썰어서 맛을 보고 더 놀랐다.
어라, 맛있잖아. 피자의 느끼함이나 고기냄새 따위를 깔끔하게 잡아주면서 상큼하게 입맛을 돋궈주는 느낌.
대파를 여기저기 음식에 많이 넣어서 먹는 한국에서도 한번 시도해봄직한 색다른 토핑 아닐지.
부드럽고 고소한 양고기의 기름이 빵에 스며서 굉장히 잘 어울렸었다. 구운 토마토 같은 더운 야채와 함께
먹으니 그렇게 기름지지도 않고.
하는 걱정이 살짝 들 정도, 그리고 조금은 저것들 인공색소는 아니겠지 할 정도로.
꼬치로 구워서 빵이랑 야채랑 같이 먹는 건데, 내가 먹었던 곳에서는 마치 인도의 '난'같이 담백하고 쫄깃한
갓 구운 빵을 고기 바닥에 깔고 고기 위에 덮어서 보온 효과도 살짝 노린 듯 하다. 보료를 깔고 이불을 덮어서
자장자장, 샤슬릭은 물론 맛있었고, 특히나 양고기 샤슬릭은 최고.
'임파스'가 가장 큰 곳이라고 했다. 그곳의 1층에서 대충 간식거리 사고 2층에 올라가 밥을 먹던 중이었다.
사탕처럼 봉지에 포장되어 있는 설탕이 귀여워서 한 장.
색다르진 않은 거 같지만, 그냥 빵 자체가 맛있었던 거다. 쫄깃하고 담백하고, 게다가 이 빵 같은 경우엔 아낌없이
뿌려진 깨 덕분에 굉장히 고소했고.
좀 먹어서 비타민을 공급하려는 건데, 무작정 아무거나 찍어서 시킨 샐러드엔 온통 고기 뿐이었다. 혓바닥을
저민 듯한 햄도 있고, 간도 있고, 그리고 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첨보는 햄들도.
붉은 무도 들어가고, 저렇게 하얀 크림같은 덩어리도 넣어서 잘 섞어 먹기도 하고. 자작한 국물이 얼큰하기도
하고 건더기도 보슬보슬 맛있었다.
불 주변에 모여앉아 꼬치를 구워먹는 게 제대로라고 하던데, 출장 중에 그런 호사를 부릴 여유야 도저히 나지
않는 거고. 그래도 이 샤슬릭을 먹었던 집은 뭔가 제대로여서, 고기에서 모닥불의 향기가 은은히 배어났다.
양고기는 정말 그러고 보니 원없이 먹었구나.
조금 모자란 게 중닭이나 병아리를 잡은 게 아닐까 싶었다. 아무리 '맛도 좋고 소화도 잘 되는' 고기를 좋아하는
나라고 하지만, 이 녀석은 왠지 넘 적나라하다 싶어 조금 애도의 마음을 갖고 고기에 임했었다.
일단 에피타이저처럼 저들을 엔간히 해치우고 나면, 그 다음부터 메인 디쉬가 차례차례-한 세네번 나왔던 듯-
나오는 순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테이블 한가운데 장식처럼 놓여있던 과일들을 가져가서 깍아내오는 식.
인접한 카자흐스탄이나 다른 '-스탄' 국가로부터 수입해 온다고 한다. 밑에는 치즈를 감아돌린 가지 샐러드,
그리고 닭고기를 찢어서 버섯과 옥수수와 무친 샐러드.
다른 나라들은 몰라도 투르크메니스탄은 누구든 물갈이를 한번쯤 하고 오는 나라라고 들었는데 웬걸,
'밥만 잘 먹더라'.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urkmenistan-20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칙한' 발치카 맥주를 아시나요. (2) | 2010.10.23 |
---|---|
투르크메니스탄의 야경이 대체 어떻길래. (5) | 2010.10.23 |
[초대장(9장 완료)] 상상력 발휘하기 퀴즈에 답해주신 9분께 드립니다. (40) | 2010.10.22 |
낡은 아파트를 눌러앉힐 듯 빼곡한 '접시'들. (0) | 2010.10.21 |
투르크메니스탄, 아쉬하바드의 낮과 밤의 동영상. (0) | 201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