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오프닝은 늘 그렇듯 상콤한 분위기 띄우기 용의 멘트와 선물공세.

느닷없이 이 연극의 장르를 묻는 진행자의 공세적 삿대질 앞에 쫄아버린 사람들은 주섬주섬, 멜로니

블랙코미디니 주워섬겼지만 정답은 그리 쉽지 않았다. "본격휴머니즘느와르액션블랙코미디".


연극에 대해서는 왠지, 시덥잖은 킬링타임용 영화를 볼 때보다 더욱 엄격하게 보게 된다. 아무래도 눈앞에서

직접 배우들의 연극을 보고 느끼기 때문인지도 모르고, 또 아무래도 영화보다 연극이 대개 비싸고 접근하기

쉽지 않아서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맘에 딱 드는 연극은 만나기가 쉽지 않다.


어쨌든, 킬러가 왔다는 연극은 킬러 대신 사기꾼과 취업준비생과 캥거루처럼 아이를 안고 키우는 부모와

느닷없이 진지한 체대생들만 나왔다. 몇몇 반짝이는 대사와 은유들, 그리고 꽤나 빵터지게 재미있는 순간들도

있었는데, 역시나 뒤로 갈수록 모종의 교훈으로 치닫겠다는 의도가 적나라해지면서 겸연쩍어지고 말았다.


그쯤에서부터 관객들의 반응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뭔가 그 전에는 포인트를 짚어가며 웃음을 준비하고

터뜨리던 관객들이, 어느 순간 혼란에 빠져버린 거다. 배우가 진지한 대사를 칠 때 관객1은 빵터지게 웃어버리고

관객2는 옆사람에게 상황을 물어보며 관객3은 몰입해보려 애쓰고 있다. 아마도 대본의 문제, 배우들은 충분히

연기도 잘하고 임기응변도 능란했다.


연극들이 '기승전결'이란 프레임에 넘 얽매여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냥 깨알같은 웃음을 점점이 박아놓고

첨부터 끝까지 유쾌하고 가볍게 갈 수는 없는지. 굳이 블랙코미디라고 비장해지거나 무리하게 메시지를 심거나

혹은 관객들을 울리고 웃기겠다며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태우려다가 삑사리 내기보다, 조금은 힘빼고 끝까지

가볍게 가는 연극, 굳이 클라이막스 억지로 안 만들고 가는 건 어떨지 모르겠다.


물론, 진지하다고 재미가 없어지는 건 아니고 반대로 재미있기 위해 진지하면 안 된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연극이 되었던 영화가 되었던, 잘 나가던 극의 흐름을 요리조리 잘 꺽어가며 폭소와 반전과 감동을 만드는 건

굉장히 잘 짜인 대본이 필요할 거란 사실. 그저 답습하듯, 관성처럼 적당히 웃기게 시작해서 점증하는 갈등속에

문득 정신차려보면 배우가 울부짖거나 포효하는 클라이막스란 건 좀 그렇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