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꼬싸멧, 섬 안으로 들어오고 나면 물가가 아무래도 조금씩 올라가는 데다가 환율 역시 조금 불리해진다.

 

몇군데 환전소를 들러보던 차에, 어느 환전소 앞 문간에 떡하니 드러누운 이 고양이 녀석. 완전 요염요염하게 널부러졌다.

 

어떻게 해야 하나, 넘어가야 하나 고양이랑 잠시 놀아줘야(잠을 깨워야) 하나, 고민하던 중에

 

환전소 안에서 나랑 똑같은 생각을 하며 고양이 깔개를 근심스레 내려다보는 손님과 눈이 마주쳤다. 이심전심.

 

 

그러거나 말거나, 고양이 녀석은 날 밟고 가쇼~ 라는 투로 에라 모르겠다며 몸을 나른하게 부려놓았다.

 

참고삼아, 2013년 2월 초 태국 꼬싸멧의 환전소 환율표. 환전소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저 수준인 듯.

 

미국 달러화의 경우 작은 액수의 지폐와 큰 액수의 지폐가 환율이 다르다는 점은 확인해둘 만 하다.

 

 

 

 

일십백천만십만백만천만억십억백억천억조십조백조...무려 백조짜리 지폐다.

2011년 한국 국가예산이 채 300조원이 안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단순히 숫자에

줄줄이 늘어붙어있는 동그라미 숫자만 세도 무려 14개. 상상하기도 쉽지 않은 숫자다.


얼마전 어떤 뉴스에선가 짐바브웨에서 2008년경 쓰이던 이 미친 고액권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인터넷을 뒤져서 덥썩 구매해버렸다. 당시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있었고

화폐개혁이 이루어지기 전 한 반년정도 실제로 쓰이다가 폐지되어 버린 화폐라고 한다.

백조원, 아니지 정확하게는 백조 짐바브웨 달러(ZWD) 지폐 말고도 오십조 ZWD,

이십조 ZWD와 십조 ZWD가 기본으로 통용되었던 사회라니 아마도 빵 하나 사는데

십조 ZWD, 물 한병 사는데 이십조 ZWD, 뭐 이런 식 아니었을까.

자세히 들여다보면 참 화폐 도안이나 인쇄 품질도 엉성하다는 느낌이 있다. 물론

빛에 비추어보았을 때 앞뒤에 인쇄된 그림이 딱 아귀가 맞아 떨어진다거나 종이 속에

숨어 있는 그림, 정교하게 인쇄된 금박띠 따위 위조를 방지하는 장치들이 있긴 한데..

아무래도 돈 만드는 사람들도 얼마나 한심했을까. 대체 돈 뒤에 저렇게 쓸데없이 동그라미를

많이 붙여서 어따가 쓰나 싶었겠지.

다행히 지금 짐바브웨 화폐는 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차원에서 유지되고 있는 듯 하다.

세계 모든 화폐간의 교환비율을 알 수 있는 사이트(www.xe.com)에서 찾아본 짐바브웨

달러의 미국 달러와의 교환비율은 361.9. 1 USD가 361.9 ZWD란다.

그 정도면 짐바브웨 돈이 한국 원화보다 값어치가 있다는 이야기기도 하다. 한국물가도

갈수록 가파르게 치솟아 쓸데없이 동그라미가 너무 많이 붙고 있다는 지적, 그래서 화폐개혁,

동그라미를 제거하는 리디노미네이션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많았는데 이상하게 고액권만

자꾸 만들어내고 있다.

정확하게 따져보자면 1 ZWD는 대략 3원. 만약 이 비율 그대로 저 백조+오십조+이십조+십조의

짐바브웨 달러를 한국돈으로 환산하면 180조 곱하기 3이니까...540조원. 아이쿠. 대충 한국이란

나라의 이년치 예산은 되겠다. (물론 저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개혁 이전의 돈들이니 아마도

국가 예산은 커녕 내 하루치 용돈이나 되려나 모르겠지만.)


그래도, 그런 돈이 집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괜시리 마음이 뿌듯해지고 부자가 된 듯한 느낌.

로또를 사는 것보다 저걸 사두는 게 훨씬 정신건강에 좋을지도 모르겠다. 뭐랄까,

마음의 평화를 불러일으키는 백팔십조 짐바브웨달러.





2시쯤 이집트공항에 떨어졌는데, 그새 친해진 일행 넷이 모두 여권 정밀검사에 걸리고 말았다. 한참 기다리다가 3시쯤

공항을 나와서 그 중 길동무가 된 친구 하나와 택시를 잡았다. 그는 애초 내가 가려던 호텔이 아닌 다른 호텔을 고집했고,

별생각없이 난 그저 시나브로 시작된 이집션들의 바가지에 신경을 곤두세우며 일단 그의 의견을 따랐다. 문제가 시작...

방이 없댄다. 옆의 가깝다는 호텔을 알아봐줬는데, 길도 알려줬는데, 반대길로 내가 앞장서버렸고, 거기서부터 2시간

가까이의 개삽질을 해야 했다. 완전히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더구나 현재좌표조차 부유하는 상황에서 경찰서를 찾아

도움을 청했지만, 영어 한마디 소통이 불가능했다.


6시에야 무지 비싼 곳의 더블룸을 잡을 수 있었다. (사실 애초 묵고 싶었던 곳은 하루에 15EP, 우리가 묵었던 곳은 30EP,

가격은 두배지만..그래봐야 6000원 안짝?) 한밤중 새벽녘의 카이로란 거. 이제 아무리 혼자 헤매도 해가 말간 낮이기만

하면 걱정따위 안 할 거 같다. 줄창 자버릴 줄 알았는데 9시전에 일어나서 아침먹고 밖에 나섰다. 세상에. 이게 그 말로만

듣던 카이로의 무질서함과 대혼란스러움인가 싶었다.

폭주하는 차들, 가만 보면 어디 하나 성한 구석없어 사이드미러가 없거나 범퍼가 찌부러졌거나, 녹이 벌겋게 슨 차들은
 
마치 수다떨듯 클랙션을 두들겨대고 있었다. 재미삼아 합주해내는 클랙션의 무아지경과 도처에서 밟히는 브레이크의

굉음, 게다가 온전한 차 찾기가 힘들 정도로 광폭한 운전자들이라니...이러니 누군가 이집트 여행을 왔다가 식겁해서

공항으로 바로 돌아가 한국행 비행기를 탔다는 일화까지 전해지지. 신호등도 변변찮은 이곳의 도로는..극한의 무단횡단

신공을 요구했다.

사실 약간 질리긴 했다. 좀 이 정신없고 공격적인 도시를 벗어나 여행도 추스리고 쉴 필요도 있을 거 같아 우선 내일은

이집트 서쪽에 외떨어진 오아시스 마을 시와(Siwa)로 뜨기로 했다. 힘겹게 환전을 하고, 쿠샤리로 배를 채우고.

ⓒ 위키피디아.
'
쿠샤리'란 흔히 "저 이집트 가서 쿠사리먹고 왔어요"할 때의 그 쿠사리다. 이집트의 전통적인 음식인데, 쌀, 콩, 마카로니,

국수 등을 토마토 소스와 버무려 나오는 음식이랄까. '쿠샤리'라는 뜻 자체도 모든 걸 섞어 만든다는 뜻이라고 한다.

좀 거칠게 만들어진 파스타랄까, 그치만 콩이나 쌀 덕분에 파스타보다도 되려 씹는 맛은 좋았다.
 
그리곤 다시 나와서 이슬람 카이로지구를 방황하고 있다. 어느 모스크에서 아잔을 틀었던 성직자 할배가 미나렛을

열어주곤 박시쉬를 달라는 게 아닌가. 그것도 20EP나. 박시쉬란 일종의 팁을 말하는 거고, 이집트는 이런 식의 

팁문화가 일반적이라곤 해도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한 터무니없는 요구가 그침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방금

먹었던 쿠샤리가 1.75EP, 호텔 하루 방값이 20EP였다는 걸 감안하면 정말 어처구니가 없는 뻔뻔스러움이다.

물론 10$를 환전해서 62EP정도를 만들었던 당시 환율을 따지자면 '고작'...얼만고, 4,500원 정도? 그정도긴 하지만

현지 물가를 감안컨대 이건 아니다. 더구나 여행경비는 내가 군대 휴가나와서는 꼬박꼬박 노가다를 뛰며 모은,

못도 밟아가며 모은 피같은 돈이란 말이다.(심지어 빠듯한..ㅡㅡ;)

그래서 말했다. 이봐, 그러지 말고 5EP 줄테니 이곳에서 내 사진이나 찍어주지 않겠나. 결국 10EP로 낙찰. 그럴 줄 알았음

처음에 미나렛 열어준다며 앞장설 때 그렇게 좋아하고 고마워하진 않았어도 되는 건데, 어쨌든 전망이 꽤나 좋았으니.

서울 야경을 뻘겅십자가가 점령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여긴 모스크의 미나렛이 천지삐까리다. 저 꼭대기에서 한꺼번에

시간맞추어 아잔소리를 틀어댄다고 생각하니 공기조차 달라보인다. 제각기 다른 실루엣을 띈 미나렛들.

이집트 여행을 시작하며 내 자세부터 결정해야 했다. 사람을 안 믿어야 한다..기엔 오버스럽고, 친절을 베풀려 하는

사람에겐 박시쉬줘야 하는 건지부터 물어야 하는 건지 원. 공항에선 화장실에서 일을 보고 휴지걸이 쪽으로 가는데,

왠 아저씨가 잽싸게 휴지마디를 끊어 건네길래 엉겁결에 받았더니 박시쉬 달라고 손내미는 통에 깜짝 놀라 도망치는

일도 있었단 말이다.

그냥, 무난한 선에서 그때그때 눙치며 넘어가기로 했다. 박시쉬가 이들에겐 자연스러운 문화라니 기겁할 일도 아닌 거고.

그런데 조금 후에 만난 구두닦이 녀석은 정말 착했다. 나 혼자 빵조각 우물거리며 앉아 쉬는 걸 보더니, 자기가 싸온 거

같이 먹자며 집에서 싸온 양념통들을 꺼낸다. 호오...토마토소스가 정말 맛있어서, 유쾌하게 다 먹어버렸다.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고, 친구들이라며 뒤늦게 합류한 목걸이 파는 애, 음료수 파는 애들이 오길래 인사도 하고, 사진 찍어달라고

카메라를 내밀었더니 신나서 자기들끼리 서로 난사하듯 마구 찍어버리고 난리도 아니었다.

아쉽게 헤어지고, 알-아자르(Al-Azar)모스크가서 세개의 미나렛을 보며 즐기다가 이왕 온거 밥-주웨일라

(Bob-zuweila)까지 보자 하고 어둑어둑해질 무렵 일어났다. 어쩌면 이런 식으로 과거의 것들을 현재에까지 여전한

방식으로 활용하며 공존하는 게 진짜 그 '유물'들을 받아들이는 방식일지 모른다.

좀 변두리 지역서는 카메라를 들고 신기한 듯 건물들을 돌아보는 내가 무진장 이상스러운 사람처럼 의아한 눈총을

받기도 했다. 피샤위 커피숍서 물담배 한대 피워올리려다가, 워낙 현지의 이집션들밖에 없어서 왠지 살짝 소심해져서

포기, 대신 망고주스가 얼마나 맛있는 건지 깨우쳐버렸다. 






○ 국명 :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 (Kingdom of Saudi Arabia)

○ 수도 : 리야드 (Riyadh, 인구 3백만 명)

○ 국왕 : 압둘라 (Abdullah bin Abd al-Aziz Al Saud) 국왕

  - 두 성지의 수호자(the 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로 칭함.

○ 면 적 : 215만㎢ (아라비아반도의 4/5 차지, 한반도의 10배)

○ 위 치 : 아라비아 반도 (북위 16-32도, 동경 36-56도에 위치)

○ 인 구 : 2,700만 명 (2006.7월 현재, 외국인 558만 명)

  - 인구 밀도 : 13.47명/㎢

  - 남자 55%, 여자 45%

○ 민 족 : 아랍족 (90% : 베드윈족 27%, 기타 아랍정착민 73%),

아프리카-아시아인 (10%)

○ 종 교 : 이슬람교 (수니파 90%, 시아파 10%)

○ 언 어 : 아랍어

○ 정부형태 : 이슬람군주국 (정교일치의 국왕중심제)

○ 의 회 : 없음 (국왕이 임명하는 120명의 국정자문위원회가 유사한 역할 담당)

○ 주요정당 : 없음

○ 국제기구가입 : UN, ILO, FAO, UNESCO, WHO, IBRD, IMF 등

○ 독립기념일 : 5월 20일 (1927. 5. 20 국가통일)

○ 화폐단위 : Saudi Riyal (SR) (US$1 = SR3.75365, 고정환율)

○ 산업구조 : 석유/가스산업 47.8%, 서비스업 33.7%, 제조업 9%

○ 주요수출품 : 석유, 석유화학제품

○ 주요수입품 : 기계류, 운수장비, 섬유류, 식품

○ 석유매장량 : 2,643억 배럴 (세계 매장량의 약 23.1%) (OPEC 자료)

○ 천연가스매장량 : 235조 ft³로서 세계 총 매장량의 4% (OPEC 자료)

○ 경제적강점 : 석유자원 풍부 (세계매장량의 25%로 세계 최대)

○ 경제적약점 : 노동력 부족, 과도한 석유산업 의존

○ 1인당 국민소득 :$ 23,200 (2007)

○ 국민총생산 : $ 3,760억 (2007)

○ 표 준 시 : GM + 3 (카타르, 바레인과 동일)

○ 기 후 : 고온건조한 대륙성




* 위의 자료는 외교통상부, KOTRA, 수출입은행, 한국무역협회, CIA 등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