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 경로(총 15.1km, 4~5시간)
외돌개 - 돔베낭길 - 펜션단지길 - 호근동 하수종말처리장 - 속골 - 수봉로 - 법환포구 - 두머니물 - 일강정 바당올레(서건도) - 제주풍림리조트 - 강정마을 올레 - 강정포구 - 알강정 - 월평포구
ⓒ 제주올레 공식홈페이지.(www.jejuolle.org)
올 여름에 10만명이 다녀갔다는 제주도 올레길, 제주도 사람들끼리 제주도가 가라앉는 거 아니냐는 농담도 돌았댄다.
도보여행자의 성지라는 스페인의 산티아고를 벤치마킹했다지만 없던 길을 새로 만들었다기보다는, 원래 제주도
사람들이 놀멍(놀면서), 쉬멍(쉬면서) 즐기던 길들을 정식으로 코스화했다는 게 맞을 듯 하다.
어찌 하다보니 저번주 목요일 저녁, 제주도에 있었다. 다음날 하루 걸었던 올레길 7코스.
삐쭉, 하고. 외돌개라..순우리말 이름도 멋지다. '외', 외롭게, '돌', 돌출해나온, '개', 개....식끼?ㅡㅡ;
이런 단촐한 지점을 꼼꼼히 보기란 쉽지 않을 거다. 걷기가 주는 묘미란 게 그런 거 아닐까. 완만하고 연속적인
그림, 궤적 위에서 뭔가를 지긋이 바라볼 수 있다는 거. 뚝,뚝, 끊겨서 소위 '명승지'가 눈앞에 나타나는 게 아니라.
이왕이면 조금은 두툼하고 오랜 시간의 세례를 받은 책이 좀더 운치있을 텐데.
과거의 나이브하고 다소 진부한 찬탄은 어느새 '저런 펜션/별장 하나 갖고 싶다'라는 속물적 욕망으로 바뀌었다.
울먹이며 꼬장부리고 있을 때 달래주려고 바람개비 몇 개 듬성듬성 꽂아놓고 준비중인 게다. 그녀석의 둔하고
무딘 손끝에서 쉬이 분질러지지 않도록 강철로 만들어놓은 커다란 바람개비로다가.
챙겼는지 등등 변수란 건 찾아보면 참 많은 거다. 게다가 오늘 하루의 일정, 목적지도 다르니 호흡도 달라진다.
'수단'으로 걷는 게 아니라, 그냥 '거기 산이 있어서 오른다'는 식으로 거기 길이 있어서 걷는다는 맘으로 걷고 있자니
마음이 참 너그럽다. 실은, 금요일에 휴가를 낸 덕분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올레길을 처음 걸어보는 지금.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3. 철조망에서 자유로운 제주도의 해안..? (14) | 2009.09.16 |
---|---|
제주#2. 꽃길, 찻길, 논두렁길, 바닷가길을 넘어 건너. (12) | 2009.09.16 |
뭔가 열매를 주렁주렁 매달고 창밖에 선 나무, 이게 뭘까. (26) | 2009.08.24 |
센치한 날 매봉터널을 걷다. (8) | 2009.08.23 |
홍대 '한잔의 룰루랄라' 만화까페. (16) | 200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