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에는 거의 장식이 없는 밋밋한 벽면으로 일관하던 앙코르 유적들, 앙코르 왓쯤 오니까 내부에도 무엇인가

장식을 하려 했던 시도들이 남아있다. 가슴엔 동그라미 두 개가 선연한 미완성의 압사라 여신들. 완성되진

않았지만 압사라 여신들의 둘레를 휘감고 있는 오오라같은 불꽃 장식이 멋지다.

많은 불상들이 머리가 부러진채 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유독 해맑게 웃으며 머리를 지키고 있던 불상 하나.

입술엔 누가 뭔가 발라놓았는지 쥐를 잡아먹었는지.

천장 드문드문 도색의 흔적이 남아있다. 도안 자체가 꽤나 복잡한지라 일일이 구분지어 색칠하려면 굉장한

수고로움이 따랐을 거 같은데, 어느 한 군데라도 온전히 남아있으면 미루어 짐작이라도 하련만.

여기도 도서관이란다. 왜 이렇게 사원 내부에 도서관 건물이 많은가 했더니, 그런 건물들은 당시의 귀중품이던

'책'과 함께 제사용 집기나 향료, 심지어는 음식물까지 보관하는 창고로 쓰였다고 한다. 게다가 도서관 위치에

따라 담당하던 의례의 대상과 운영시간이 달랐다고. 남쪽 도서관은 달이 떠오르는 기간에, 북쪽 도서관은 달이

지는 기간에 각각 다른 신에게 의례를 바쳤다고 한다.

네모난 상자 안에 작은 상자, 그 상자 안에 더 작은 상자, 그런 식으로 앙코르왓을 까는 재미가 있다. 그러려면

우선 상자 하나를 열고 들어가기 전 상자의 네 바깥면을 꼼꼼히 살핀 후 상자 안쪽 네면을 다시 또 살피게 된다.

그리고 나선 다음 상자로 옮겨가는 식이다.

상자에 비기자면 앙코르왓은 총 다섯 개의 상자 안에 있는 셈이다. 그 중 두 개의 상자를 열어젖히고 나면

명예의 테라스가 나타난다. 예전에는 크메르 왕이 외국사신이나 고관대작에 베푸는 연회가 열렸을 이 테라스는

이제 여행자를 위한 '통로'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앙코르 왓의 선물상자 중에서 가장 포장이 화려한 건 세번째 상자, 명예의 테라스를 휙 지나치지 않고

외곽으로 한 바퀴 삥 돌면 나타나는 '포장지'다. 사면에 가득 벽화가 그려져있는데, 혹자는 앙코르왓의 백미는

건물의 조형미나 실루엣이 아니라 이 벽화라는 이야기도 한다.


남북으로 187미터, 동서로 215미터, 둘레가 총 800여 미터에 이르는 '세번째 상자 겉면 포장지' 회랑을 따라

각각의 주제를 가진 8개의 벽화가 조각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오른쪽으로 돌며 관람한다고 한다. Godorization.

가장 섬세하고 볼만하다고 생각했던 서쪽회랑 남쪽방면, 그러니까 바로 '명예의 테라스' 오른쪽에 펼쳐지는

'쿠륵세트라의 전투' 부조. 아무래도 인도 역사에 길이 남는 대회전을 새겼으니만치 스케일도 장대하고 등장한

사람들 하나하나의 묘사가 꼼꼼했다. 그야말로 혼란스러운 난투극의 한 장면을 펼쳐 보이는 이 '쿠륵세트라'

전투가 바로 체스와 장기의 게임 규칙으로 전승된 것이라 한다.

수리아바르만 2세의 행렬도를 조각한 두번째 벽면을 넘어, 세번째 주제는 '천상과 지옥'. 굴비처럼 둘둘 엮인채

지옥으로 끌려가는 사람들도 보이고, 소처럼 코뚜레를 하고 끌려가기도 한다. 판결을 받는 영혼들의 모습, 그

판결에 따라 지옥으로 던져지는 영혼들, 나무에 거꾸로 매달린 채 칼로 베이는 벌을 받기도 하고, 온몸에 못이

촘촘하게 박히는 형벌을 받기도 하는 모습들이 적나라하다.

앙코르왓이 지금과 같은 '관광자원', 혹은 '인류유산'으로 보전받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불과 300년

전만 해도, 이렇게 자신의 아내 무덤을 앙코르 왓 내부에 세워두기도 했던 거다. 지금 만약 누군가 여기에다가

자신의 가족을 몰래 묻는다면 심각한 문제로 비화되고 끝내 쫓겨나겠지만, 그래도 300년쯤 먹은 건 나름의

정당성과 역사성을 획득해 버렸다. 덕분일까, 천년짜리 앙코르왓과 놀다보니 무덤이 조로했는지 꽤나 오래고

낡아 보인다. (그리고 조잡해보이기도 한다.)

이곳을 당시 다스리던 사람이 아내 무덤을 여기에 썼다는 내용을 담은 기록이 남아있다. 뭐랄까, 한국으로

치자면 '음택'을 잘 쓰고 싶었던 욕심일까. 그치만 이렇게 사람이 늘상 붐비는 곳이 되고 말았으니, 그 사람이

잘한 짓인지는 모르겠다.

약간 중국식의 냄새가 난다 싶었다. 명예의 테라스 정반대쪽, 그러니까 동쪽 회랑에 있는 그림들은 애초 기획된

기간에 끝나지 못하고 무려 400여년 동안 미완으로 남아있었다고 한다. 이미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어서

중국풍이 섞이는 건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세력이 예전만 못했어서 그런지 딱 한눈에 보기에도 이전 벽화들만

못하게 다소 치졸해 보인다. 저기 저건, 무슨 도인이 하나 캄보디아에 등장해 버리셨다. 이런.

세번째 선물상자의 마지막 네번째 바깥면, '신과 악마와의 전쟁'이 묘사된 곳이다. 여기저기서 거대한 동물과

신들이 펄쩍펄쩍 뛰면서 악다구니를 쓰는 중이다.

싸움 장면에도 지쳐버려서, 잠시 앉아서 쉬려는데 바깥쪽 풀밭에 꼬물꼬물 뭔가 기어다니고 있었다. 저게

뭔가 했더니 원숭이. 한 마리가 아니라 여러 마리가 이리저리 노닐고 있었다.

털의 상태로 보건대 건강 상태는 매우 양호하며 곧게 뻗은 꼬리는 저 아이들이 지금 상당히 기분이 좋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건 아닐까. 캄보디아에선 원숭이를 쉽게 볼 수 있다더니, 앙코르왓에서도 원숭이가 살고

있었다. (그리고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도 드문드문 골목길에서 원숭이를 발견해서 첨엔 깜짝깜짝 놀랐지만

나중엔 익숙해져 버렸댔다.)

마지막 부조 벽화, 왠지 원숭이들이 우글우글 나오는 게 이게 그 말로만 듣던 '서유기'의 오리지널 버전인가

싶다. 서유기의 등장인물 '손오공'이 동남아 신화로부터 유래했다더니. 마침 원숭이들이 정글에서 뛰노는-

정확히 말함 네 발로 꼬물대며 기어다니는-모습을 보고 나서인지 부조된 원숭이 얼굴들이 확확 다가온다.

수고했어요~ 세번째 포장지는 다 둘러봤으니 이제 들어가 보도록 해요, 라며 금방이라도 미사일이 튀어

나올 것 같은 강철 가슴을 가진 압사라가 말했다. 명예의 테라스에 올라서니 앙코르왓 중심부가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