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린 채 잔뜩 나와있었다. 아프리카 음식점이라니 대체 어떤 맛의 음식을 파는 걸까, 친절하게도 요리 하나하나 사진과
제목이 적혀 있는 메뉴판같은 간판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뭐 하나 가늠해 볼 수가 없다.
적잖았던 게 사실이다. '아프리카 음식'에 대한 막연한 궁금증, 또 그만큼이나 막연한 거리감이랄까. 음식점은 2층,
그 위 3층에는 고시원. 저기 사는 사람들은 한번씩 맛이라도 봤으려나. 아무래도 아프리카 음식은 대중화되고 세계화된
다른 지역의 음식들에 비해 그 고유하고 독특한 맛을 타협하지 않고 지켜내고 있을 거 같다.
언어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고, 한국인 따위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한쪽 벽면에 조그맣지만 단호하게 액자에 넣어져
걸려있던 사업자등록증이니 그런 서류들에서 보이는 낯익은 한글의 분위기 말고는 온통 낯선 이국의 분위기. 순간
나이지리아 쯤 되는 아프리카 어디메로 휙 순간이동해버린 듯한. 저 아프리카분들도 이런 분위기에서 위로받고 싶어
이 '해피홈'에 찾아오는 것이겠구나 싶었다.
침입해서는 일일체험 증빙샷이라도 남기듯 마구 사진을 찍어대고 훌쩍 떠난다는 건. 그렇게 생각은 했어도
워낙 사방이 신기한 거 투성이라 가만히 있기가 좀이 쑤셨다. 흡사 여행을 떠나온 듯 방방 떠오르는 공기.
테이블 위에 놓여 있던 물비누 뽁뽁이랑 핸드로션의 용도가 뭘까 궁금했는데, 궁금증은 이내 풀렸다.
볶음밥 비슷한 걸 주문했다. 생각보다 많은 양에 놀랬고, 주문한 음식들과 함께 나온 분홍빛 양동이에 놀랬다. 손으로
음식을 먹고 마지막에 저 양동이에 담긴 물에서 손을 씻으라는 의미. 사실 다른 아프리카인 손님들에겐 전부 기본으로
주어졌던 이 양동이 대신 우리 테이블엔 스푼과 포크가 제공됐지만, 괜히 특별대접받고 싶지 않아 손으로 먹겠다고
양동이를 달라 했던 거다.
먹는데, 이게 바로 그거랑 같은 거 같다. 얌..이라던가. 생각보다 풀기도 없고 미끈한 느낌, 그야말로 '무미'해서 아무런
맛이 느껴지지 않았다. 옆에 스프를 찍어 함께 먹는 건데 의외로 손을 사용해서 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요런 식. 프랑스 사람들이 빵을 손으로 떼어 돌돌 말아서 먹듯이, 알아서 적당량을 떼어 손으로 매만지곤 스프에 찍는다.
보통은 작은 경단만한 사이즈로 만드는 거 같던데 옆에 앉았던 커다란 검은아저씨 한 분은 무슨 새송이버섯만한
기둥을 만들어서 왕창왕창 씹어드시더라는. 손으로 먹는 재미에 스프가 말라붙을 때까지 떼어먹었고, 양이 많다
걱정하던 볶음밥까지 다 먹어버렸다. 볶음밥은 꽤나 맛있었는데, 돼지껍데기나 힘줄살들이 푸짐하게 들어간 게 역시
뭔가 색다른 면모가 분명히 있었지만 이 커다란 하얀 덩어리를 손으로 떼먹는 재미앞에선 오히려 평범했달까.
음료 하나가 있었다. 말타고야, 라는 신기한 이름의 음료. 그냥 딱 보기에 맥주지 싶어서 주문하고 보니 논-알콜의
어린이 음료.;;;;
먹으니 잘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고.
음식을 다 먹고 가게 문을 열고 밖으로 나왔더니, 문득 낯설다. 아프리카에서 한국으로 어느새 돌아와버렸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름달을 보고도 소원은 삼켰다. (4) | 2010.09.24 |
---|---|
온통 메시지가 내려앉은 '피맛골 고갈비집'. (0) | 2010.09.24 |
건물들 사이를 흐르던 마음은 기어이 사고를 내다. (0) | 2010.09.12 |
부여 궁남지, 선화공주와 서동이 빗자루로 환생하다. (0) | 2010.08.31 |
당신은 백제인의 얼굴을 본 적이 있습니까. (2) | 201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