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떨어지는 햇살을 가득 받고 있는 연잎들로 가득차버린 연못.
서동을 가진 장소라는 전설이 서려 있다고 한다. 그 서동이 신라에 염탐하러 갔다가 발견한 게 선화공주.
국적과 신분이 달라 헤어질 수 밖에 없었던 두 사람, 함께 하기 위해 지어 불렀다는 서동요의 가사말을 이렇다.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서 서동도련님을 밤이면 몰래 안고 잔다"는, 다소 망측한 가사. 공주로서의,
여자로서의 자존심이나 조심스러움을 무릅쓰고 사랑하는 이와 함께 하겠다는 선화공주, 그녀를 더욱 빛나게
만드는 노랫말. 하긴 뒤집어 생각하면 어쩌면 의도치 않게 공주 전문 파파라치쯤에 노출되어 부끄러움을
못 견디고 신라에서 백제로 망명한 건지도.
저 섬을 구경하면 한나절은 후딱 지날 듯 하다.
생명이 다해 떨궈지는 매미들.
기억해 내어 둘레둘레 돌아보다가 궁남지 이 다리 위에서 하염없이 앉아있었던 기억. 마침 비가 왔댔다.
나가서 바람을 쐬고 싶었던 거 같다. 여기를 다녀오고 나서 머릿속에 드라마틱한 무지개가 떠오르진 않았지만,
그래도 덕분에 부여라는 이름이 꽤나 낭만적이고 포근한 뭔가가 되었다.
약간 크고 빗자루 숱도 많은 왼쪽 녀석이 서동, 약간 작고 아담한 데다가 숱도 단정한 오른쪽 녀석이 선화랄까.
"선화공주 빗자루는 남몰래 빗질하며 서동빗자루를 밤이면 몰래 털어준다." 정도로 노랫말을 바꿔 불러주면
둘의 못다한 사랑이 빗자루로 태어난 이번 생에나마 이어질 수 있을까.
움직임은 태생이 그런 거지 딱히 겁을 집어먹어서는 아닌 거다. 평화로움 게이지에 플러스 십 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협하지 않은 아프리카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 (10) | 2010.09.13 |
---|---|
건물들 사이를 흐르던 마음은 기어이 사고를 내다. (0) | 2010.09.12 |
당신은 백제인의 얼굴을 본 적이 있습니까. (2) | 2010.08.31 |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연못에 그려지다. (4) | 2010.08.30 |
여름, 매미를 저격하다. (4)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