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어버린 느낌이랄까.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이렇게 한단어로 덩어리지어 기억되던 그곳. 부여에 도읍을
정한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이란 것이 머리에 꾹꾹 눌러박혀있는 거다.
그렇지만 몇 년전 대학 섭을 째고 무작정 버스터미널 가서 바로 출발하는 티켓을 사서 달렸던, 그 때의 부여,
그때의 정림사지와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다소곳이 깃을 가다듬고 서 있는 봉황.
심심하지 않은 모습, 살짝살짝 들린 끄트머리가 은근하다.
1400년이 지나도 여전히 어렴풋하나마 글자의 흔적이 남아있는 탑신. 기록의 힘이다. 더불어 용케도 천여년을
무사히 살아남은 이 탑의 힘이기도 하고.
연못에 비친 탑 그림자를 다룬 전래동화를 읽었었는데, 무영탑의 설화던가. 와이프가 탑의 완성을 기다리며
그림자가 연못에 비치길 마냥 기다리다 지쳐 죽었다는. (넘 거칠게 요약해 버린데다가 '와이프'란 표현이
전래동화의 격을 확 떨어뜨리고 말았다...)
소재가 모자랄 수 밖에 없을 거다. 그래도 이런 장면은 꽤 흥미로웠다. 정림사지 5층석탑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어땠을지, 우뚝 선 완성태의 모습이 아니라 이게 어떤 식으로 하나씩 다져지며 올라갔을지를 상상케 해주는
몇 가지의 선명한 이미지를 선물해주는 전시들.
사다리를 밟고 올라가던 시선에 저 사람들이 잡혔을 때 깜짝 놀라고 말았었다. 진짜 사람인 줄 알고.;
부분까지 온통 살색으로 메꿔지고 만 이 젊은 처자는, 왠지 복수심에 불타 입술을 앙다물만큼 절절한 사연이
있어 보였다. 이래서야 화장실 들어가기 무서워서 원.
온통 살색이다. 표정 역시 완전 딱딱하게 굳어 있는 상태. 사실 따지려면 한량없다. 저 의관은 백제식으로 갖춰
입혀놓은 건지, 아님 그냥 조선식으로 입혀놓은 건지.
엄밀하게는 고려의 문화유산, 그 원래자리를 준비하고 있던 5층석탑만 백제의 것인 셈. 미처 몰랐다. 어쨌든,
번쩍이는 안광에 힘이 빡 들어간 도깨비의 억센 이빨이 손잡이를 물고 있고 연꽃무늬가 장식된 문을 지났다.
저렇게 세밀한 부분까지 고대로 남아있는데 반해 이 부처님 좌상은 무슨 바위덩이처럼 변해 버리다니.
두 돌덩어리는 각기 다른 시간을 넘어 오늘에 이른 걸까. 그렇다고 이 석불좌상의 느낌이 죽어버린 것도 아니다.
다소 죄송스런 맘을 담아 표현하자면, 지하철이나 터미널같은 데서 많이 뵐 수 있는, 몸이 불편하여 땅에 일부를
끌고 다니시는 그런 분들을 닮은 부처다. 팔도 다리도, 온몸이 둥글둥글 지워져 버렸지만 왠지 모를 위엄과
따사로움이 느껴지는. 일견 엄한 것 같은 표정이지만 슬몃 웃음이 물려있는 듯 하기도 하고.
발길이 닿지 않아 돌들이 어깨맞댄 틈바구니에서 풀들만 무성하다.
박물관에서 뽀얀 뽀샵 조명받고 손도 못대게 박제시켜 두는 것이 아니라, 2010년 현재에서 1400년전 사람들이
창조해내고 즐기던 미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란.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궁남지, 선화공주와 서동이 빗자루로 환생하다. (0) | 2010.08.31 |
---|---|
당신은 백제인의 얼굴을 본 적이 있습니까. (2) | 2010.08.31 |
여름, 매미를 저격하다. (4) | 2010.08.30 |
한강시민공원 내 전용 자동차극장을 세우다. (0) | 2010.08.30 |
묵직하지만 따뜻한 어둠의 잔향이 고인 까페.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