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어서 조만간 한번 다시 가봐야겠다고 다짐중이기도 하다.
보트, 대통령이 쓰던 가구, 대통령이 쓰던 숟가락, 대통령이 쓰던 티비, 당연히 대통령이 쓰던 화장실도 있다.
이유 중 하나. (전적으로 내 생각이지만) 저렇게 다섯 명을 합성해 놓는 역사의식과 '입장'의 결여. 저 사진은
그저 재임순서로 다섯명을 늘어세웠을 뿐 아무런 메시지도, 의미도 담지 못한다. 정치적 논란이나 '편향'을
우려해서였겠지만, 그래서 남는 의미는 단 하나. 29만원 있다는 살인마나 벼랑에서 떠밀린 정치적 살인의
희생자나, 그냥 '대통령'으로 마주하게 될 뿐이다. 이넘이나 저넘이나 다 똑같애, 정치인이 다 그렇지, 따위
거침없이 사방에 내질러지는 삿대질을 부를 뿐이다.
그리고, 저렇게 다섯 명이 화목하게 서 있는 모습이 현실에서 가능할 법한 이야기인가. 청남대에서 일부
대통령의 후광을 걷어내야 하지 않을까. (기억을 지워버리자는 게 아니라, 무작정 '대통령'이라고 드리워진
후광을 떼내어 버리잔 이야기다.) 차라리 현실 정치에 대한 감을 조금은 더 익힐 수 있는 배움의 장으로
활용하는 게 낫지 않았을까.
먼저 보이는 게 여기서 찍었다는 드라마 관련 사진들이다. 드라마는 되는데 왜 일반인은 안 된다는 건지.
맘대로 슬쩍 셔터를 눌렀다.
외할아버지댁에 있던 그런 퀴퀴하고 낡은 것과 비슷해 보이고. 아, 그런 건가. 무려 대통령이 쓰는 일상용품이
일반인들의 그것과 같거나 별반 차이가 없으면 '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걸까. 와서 보는 거야 어쩔 수 없지만
사진으로 증거를 남기게 하고 싶지 않았던 건지도 모른다.
사진이 많이 어둡긴 하지만 다를 게 없구나 참. 슬쩍 고개를 디밀었다가, 이내 빼버렸다. 뭔가 대단한 걸
기대한 것도 아니지만 역시나 별 거 없는 거다. 다만 남는 건 상상의 영역, 저기에 바지 내리고 앉아서
볼일을 보았을 전두환, 노태우를 위시한 전임 대통령들의 모습. 더러는 술 먹고서 변기 붙잡고 토했을지도.
가끔 국무에 시달리거나 혹은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에 시달린 때에는 '피똥 쌌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에게 꼭 필요한 거였으리라.
왜일까. 그들의 생활 소품이 찍히고, 화장실이 찍혀서 그로부터 상상력이 뻗쳐나올 걸 저어한 걸까. 그들의
'품격'과 '위엄'에 손상이 가는 일이라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글쎄. 그들이 무슨 김태히나 송혜규도 아니고
이슬만 먹고 살 리도 없고 화장실도 안 갈리 없는 건데.
그런 '인간적인' 모습을 노출시켜서 격이 떨어지리라 생각할 만큼 그들이 높은 곳에 있다고 여겼던 거라면 더욱
심각한 오해다. 드라마 촬영은 허가해 놓고, 그런 스틸 사진으로 본관 1층을 쫙 도배해놓은 마당에 일반인들의
촬영은 막으니 더욱 이해할 수 없다는 거다.
자라고 있는 건 아닐까.
끊겨 있는지 한번 봐줬으면 좋겠다.
마음으로 맘껏 사용할 수 있었던 화장실 변기.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인사동 뒷골목, 사라진 피맛골. (4) | 2010.03.25 |
---|---|
[청남대] 김대중 전대통령이 사색을 즐기던 초가정 (12) | 2010.03.19 |
[충북-반야사] 산정 위에 살포시 내려놓인 문수전. (6) | 2010.03.12 |
[충북-반야사] 부처를 향해 가르침을 청하는 동전닢들. (0) | 2010.03.12 |
[충북] 내게 '향수(鄕愁)'란 건. (8) | 201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