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었던 개선군이 왕에게 승리를 보고하던 곳이라 한다. 코로 연꽃을 휘감아 왕에게 바칠 태세를 갖춘 코끼리
코들이 벽에서 뻗어나왔다.
어쨌거나 굉장히 유니크하면서도 재미있는 발상, 그리고 건축물이다.
것 같이 나와버렸다. 아놔.
'치우천황기'라고 흔드는 데 들어간 그 그림 말이다. 그건 사실 한민족의 고대 인물을 드러내기엔 다소 적젏치
않은 상징일지 모르겠다. 캄보디아에서도, 다른 불교 베이스의 국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이미지인 탓이다.
('치우천황'이란 인물에 대한 악의적 이미지 왜곡이 중국에 의해 이뤄졌고, 그게 아시아 문화권 일반의 악귀,
라거나 악귀를 쫓는 무서운 신, 의 이미지로 변용되었단 점을 감안해도 그렇단 얘기다.)
따라가다간 가랭이 찢어지겠다. 두다리를 허공에서 펄럭이며 날고 있는 압사라 여신도 비웃었다.
쓰였을 거라는 게 가이드북의 설명이지만 글쎄. 저런 데 사람이 살기엔 좀 불편하지 않았을까, 커다란 굴뚝
아니면 무슨 화장터 같이 생겼는데.
저 지반이 살짝 뒤틀어져 기우뚱해 있던 건지 모르겠다.
왕의 시각에 빙의되어 보자, 이게 바로 왕의 시야.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Cambodia-20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12. 야생원숭이처럼 나무를 타고 노니는 정글 소년소녀들. (2) | 2009.11.05 |
---|---|
캄보디아#11. 해먹 위의 점심식사. (2) | 2009.11.05 |
캄보디아#9. 유래에 대해 '썰'만 무성한 문둥이왕테라스 (4) | 2009.10.11 |
캄보디아#8. 뱀 두마리, 뱀머리 열네개가 인도해준 쁘리아 빨리라이(Preah Palilay) (2) | 2009.10.09 |
캄보디아#7. 뗍 쁘라남(Tap Pranam), 죽은 사원들 사이에서 살아있는 사람을 보다. (40) | 2009.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