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푸온으로 향하는 잘 닦인 돌길은 여느 힌두교 사원과는 달리 '나가 난간(뱀머리와 몸통으로 장식된 난간)'이 없다.
지상과 천국을 잇는 다리를 재현하려는 의도였다고 추측된다는데, 탁 트인 채 주변 녹지와 이어져 있어 살짝
어색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이다. 지상에서 천국으로 가는 길에 한 컷. 그런데, 저 너머 천국은 얼핏 봐도 공사중.
양쪽에 배치된 인공 연못은 열대 기우 특유의 끈적한 느낌이 묻어났다. 뭔가 쏴한,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이 아니라
끈적한 젤리나 타르처럼 몸에 덕지덕지 묻어날 것 같은 연못물. 바람이 일면 수면이 푸딩처럼 흔들렸다.
사방에 흩뿌려진 돌덩어리들에 쭈그려 붙어앉아 뭔가를 열심히 정돈하는 사람들. 혹은, 단순히 잔디깍는 중인지도.
'바푸온', 숨긴 아이라는 뜻의 사원은 전쟁 때 아이와 아내를 숨겼다던가, 그런 연유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다.
지금이야 무너지고 부서져 사방에 구멍이 숭숭 난 채 헐벗어 있지만, 그때만 해도 피신자들을 품넓게 넉넉히 안아줄
만한 커다란 사원 아니었을까. 아마도 새들마저 조심할 만큼의 위엄이나 신성을 띄고 있었을 거다.
네모 반듯반듯한, 게다가 계단 차곡차곡한 연못. 아마 사원에 들어가기 전 몸을 씻는 공간이었지 싶다. 어디서나
어느 때나 물이 갖는 이미지란 별 수 없는 거다. 정화, 죄씻음, 그런 이미지. 인간의 상상력이란 의외로 한계랄까
그 구획이 뚜렷하다. 마치 저 연못처럼.
인류에게 공동된 거대한 지식창고가 우주 어딘가에 있고, 인류의 각 민족들은 거기서 조금씩 지식을 끌어쓰고
있다는 뉴에이지류의 상상력이 새삼 신선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 먼 타지에서 '별수 없군'이란 생각을 들게
만드는 몇가지 진부하고 익숙한 사고방식이나 그 결과물을 만날 때.
가까이서 바라본 바푸온 사원의 본전은 생각보다 많이 뭉개져있었다. 복구를 한다고는 하는데, 오랜 내전이나
킬링필드, 인접국과의 전쟁 등 여러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심지어 도면이 사라지기도
했다는데, 엄격한 좌우대칭의 원칙을 지키는 공법과 여러 노력을 기울인 덕에 나름 복원을 재개하고 있다고.
캄보디아는 근 칠십년이던가, 19세기 중반이래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았었다. 아마 앙코르왓이 재발견된 것도
프랑스 식민시절이 아닐까 싶은데, 이 곳의 수많은 유적들은 지금 각국의 지원을 받아 복원되거나 유지되고 있다.
당장 바푸온사원도 이렇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복원이 한창이었다.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다면 더욱 좋았을
텐데...캄보디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과거'를 돌보기엔, 그들의 '현재'가 너무 숨가쁘다.
돌덩이에 그려진 전 식민국가 프랑스의 자유/평등/박애 삼색기.
태양을 피하는 법. 몸을 숨길 조그마한 그늘막 아래서 뜨거운 태양볕을 피하고 있는 인부들. 저 그늘막의 남루함
혹은 빈티지스러움은 왠지 천년을 지낸 사원에서 느껴지는 '남루함' 혹은 빈티지스러움에 필적하고 있다.
새로 해 넣은 이가 과장스럽게 반짝거리듯, 뭔가 새로운 걸로 '땜빵'해넣은 곳이 온갖 시선을 한몸에 받듯,
반짝거리는 복원부분. 보통 새로 기워진 부분이 이전 몸체에 융화되려면 그간 본체를 써온 만큼의 시간이 흘러야
한다던데. 바푸온 사원의 새롭게 복원된 부분이 자연스럽게 원형에 녹아들려면 또다른 천년쯤이 흘러야 하지 않을까.
문틀에 조각되어 있는 동물들의 움직임이, 마치 문틀을 발로 차 깨고 어디론가 도망가려는 것처럼 역동적이었다.
아마도 사원의 복원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무실로 쓰고 있지 않을까, 싶도록 사원 옆에 딱 붙어 세워져있던
'움집'. 아기돼지 삼형제 중 게으른 첫째가 지었다던 지푸라기집이 이런 거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그 첫째돼지는
게을렀던 게 아니라, 동남아와 같은 아열대성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한 건지도 모른다.
엉성해보이는 외관은 실은 바람 숭숭 통하기 위한 지혜이며, 햇볕만 막음 되니 공들여 담쌓고 벽세울 필요도 없을 터.
사원 위에 올라 내려다 본 천상과 지상을 잇는 참배로. 저 멀리 보이는 건 한무리의 참배객, 아니 단체여행객.
어느 나라인지 모르겠지만 한국이나 영어 가이드가 붙었다면 설명도 훔쳐듣고 좋았을 텐데, 한템포 빨랐다.
지상과 천국을 잇는 다리를 재현하려는 의도였다고 추측된다는데, 탁 트인 채 주변 녹지와 이어져 있어 살짝
어색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이다. 지상에서 천국으로 가는 길에 한 컷. 그런데, 저 너머 천국은 얼핏 봐도 공사중.
양쪽에 배치된 인공 연못은 열대 기우 특유의 끈적한 느낌이 묻어났다. 뭔가 쏴한,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이 아니라
끈적한 젤리나 타르처럼 몸에 덕지덕지 묻어날 것 같은 연못물. 바람이 일면 수면이 푸딩처럼 흔들렸다.
사방에 흩뿌려진 돌덩어리들에 쭈그려 붙어앉아 뭔가를 열심히 정돈하는 사람들. 혹은, 단순히 잔디깍는 중인지도.
'바푸온', 숨긴 아이라는 뜻의 사원은 전쟁 때 아이와 아내를 숨겼다던가, 그런 연유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다.
지금이야 무너지고 부서져 사방에 구멍이 숭숭 난 채 헐벗어 있지만, 그때만 해도 피신자들을 품넓게 넉넉히 안아줄
만한 커다란 사원 아니었을까. 아마도 새들마저 조심할 만큼의 위엄이나 신성을 띄고 있었을 거다.
네모 반듯반듯한, 게다가 계단 차곡차곡한 연못. 아마 사원에 들어가기 전 몸을 씻는 공간이었지 싶다. 어디서나
어느 때나 물이 갖는 이미지란 별 수 없는 거다. 정화, 죄씻음, 그런 이미지. 인간의 상상력이란 의외로 한계랄까
그 구획이 뚜렷하다. 마치 저 연못처럼.
인류에게 공동된 거대한 지식창고가 우주 어딘가에 있고, 인류의 각 민족들은 거기서 조금씩 지식을 끌어쓰고
있다는 뉴에이지류의 상상력이 새삼 신선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 먼 타지에서 '별수 없군'이란 생각을 들게
만드는 몇가지 진부하고 익숙한 사고방식이나 그 결과물을 만날 때.
가까이서 바라본 바푸온 사원의 본전은 생각보다 많이 뭉개져있었다. 복구를 한다고는 하는데, 오랜 내전이나
킬링필드, 인접국과의 전쟁 등 여러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심지어 도면이 사라지기도
했다는데, 엄격한 좌우대칭의 원칙을 지키는 공법과 여러 노력을 기울인 덕에 나름 복원을 재개하고 있다고.
캄보디아는 근 칠십년이던가, 19세기 중반이래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았었다. 아마 앙코르왓이 재발견된 것도
프랑스 식민시절이 아닐까 싶은데, 이 곳의 수많은 유적들은 지금 각국의 지원을 받아 복원되거나 유지되고 있다.
당장 바푸온사원도 이렇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복원이 한창이었다.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다면 더욱 좋았을
텐데...캄보디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과거'를 돌보기엔, 그들의 '현재'가 너무 숨가쁘다.
돌덩이에 그려진 전 식민국가 프랑스의 자유/평등/박애 삼색기.
태양을 피하는 법. 몸을 숨길 조그마한 그늘막 아래서 뜨거운 태양볕을 피하고 있는 인부들. 저 그늘막의 남루함
혹은 빈티지스러움은 왠지 천년을 지낸 사원에서 느껴지는 '남루함' 혹은 빈티지스러움에 필적하고 있다.
새로 해 넣은 이가 과장스럽게 반짝거리듯, 뭔가 새로운 걸로 '땜빵'해넣은 곳이 온갖 시선을 한몸에 받듯,
반짝거리는 복원부분. 보통 새로 기워진 부분이 이전 몸체에 융화되려면 그간 본체를 써온 만큼의 시간이 흘러야
한다던데. 바푸온 사원의 새롭게 복원된 부분이 자연스럽게 원형에 녹아들려면 또다른 천년쯤이 흘러야 하지 않을까.
문틀에 조각되어 있는 동물들의 움직임이, 마치 문틀을 발로 차 깨고 어디론가 도망가려는 것처럼 역동적이었다.
아마도 사원의 복원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무실로 쓰고 있지 않을까, 싶도록 사원 옆에 딱 붙어 세워져있던
'움집'. 아기돼지 삼형제 중 게으른 첫째가 지었다던 지푸라기집이 이런 거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그 첫째돼지는
게을렀던 게 아니라, 동남아와 같은 아열대성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한 건지도 모른다.
엉성해보이는 외관은 실은 바람 숭숭 통하기 위한 지혜이며, 햇볕만 막음 되니 공들여 담쌓고 벽세울 필요도 없을 터.
사원 위에 올라 내려다 본 천상과 지상을 잇는 참배로. 저 멀리 보이는 건 한무리의 참배객, 아니 단체여행객.
어느 나라인지 모르겠지만 한국이나 영어 가이드가 붙었다면 설명도 훔쳐듣고 좋았을 텐데, 한템포 빨랐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Cambodia-20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 외전#2. 코끼리 테라스에서 사열식을 거행하는 왕에게 빙의되어 보자. (17) | 2009.09.08 |
---|---|
캄보디아#6. 선녀와 나뭇꾼? 후궁과 엉큼사제들, 피미니아까스. (11) | 2009.09.08 |
캄보디아#4. '크메르의 미소' 바이욘(앙코르 톰) (8) | 2009.09.04 |
캄보디아#3. 앙코르왓 3일 코스짜기. (26) | 2009.09.04 |
캄보디아#2. 앙코르왓 입장권 사러 가는 길. (16) | 200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