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그래서 '빅맥지수' 따위의 경제학적 개념에도 동원되는
맥도널드는 나라마다의 특성을 살려낸 메뉴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거다. 터키에서는
돈두르마 아이스크림을 팔기도 하고, 한국에선 라이스버거였던가. 뭐 그런 식으로.
태국에서도 그런 식으로 신메뉴를 내놓았는지도 모르겠다. 들어가서 메뉴판만 슬쩍
일견했어도 쉽게 알아챘을 테지만 음식의 나라 태국에서 맥도널드라니 안 될 말이다.
대신 발견한 건 맥도널드의 상징, 로널드.
노란 아치형 맥도널드 마크와 빨간 머리, 큰 구두를 신은 삐에로, 그의 이름이 바로
로널드였다. 이름은 이제야 여기저기 검색하다 알게 되었지만 그 캐릭터야말로 미국과
맥도널드의 영향력을 상징하는 아이콘 아닐까. 63년에 TV 광고를 통해 최초로 선을 보인
로널드는 이후 미국 중심의 세계화 물결 맨 앞에서 영욕을 겪어온 셈이다.
그런 와중에 나름의 변화를 겪지 않은 것도 아니라고 한다. 비만의 주범으로 패스트푸드가
지목되는 가운데 헐렁한 노랑옷이 예전과는 달리 몸에 꼭 맞게 바뀌는가 하면, 프랑스에서는
로날드 대신 프랑스 만화인 '아스테릭스'의 캐릭터가 나타나기도 했다고.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에선 매출이 부진하다고 하이힐과 비키니 차림의 날씬한 여성을
새 마스코트로 쓰겠다나.
하이힐 여성이니 만화 캐릭터니 보다, 이 로널드는 꽤나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한 셈이다.
태국에 대한 외국인의 이미지는 아무래도 그 우아한 손놀림과 해맑은 미소, 그리고 그런
손놀림과 미소가 어우러진 인사가 강렬하게 박혀있지 않을까. 두 손을 앞으로 기도하듯
모으고 상대를 향해 슬쩍 고개를 숙이는 인사.
"싸와디~"(안녕하세요, 라는 뜻의 태국어).
맥도널드는 나라마다의 특성을 살려낸 메뉴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거다. 터키에서는
돈두르마 아이스크림을 팔기도 하고, 한국에선 라이스버거였던가. 뭐 그런 식으로.
태국에서도 그런 식으로 신메뉴를 내놓았는지도 모르겠다. 들어가서 메뉴판만 슬쩍
일견했어도 쉽게 알아챘을 테지만 음식의 나라 태국에서 맥도널드라니 안 될 말이다.
대신 발견한 건 맥도널드의 상징, 로널드.
노란 아치형 맥도널드 마크와 빨간 머리, 큰 구두를 신은 삐에로, 그의 이름이 바로
로널드였다. 이름은 이제야 여기저기 검색하다 알게 되었지만 그 캐릭터야말로 미국과
맥도널드의 영향력을 상징하는 아이콘 아닐까. 63년에 TV 광고를 통해 최초로 선을 보인
로널드는 이후 미국 중심의 세계화 물결 맨 앞에서 영욕을 겪어온 셈이다.
그런 와중에 나름의 변화를 겪지 않은 것도 아니라고 한다. 비만의 주범으로 패스트푸드가
지목되는 가운데 헐렁한 노랑옷이 예전과는 달리 몸에 꼭 맞게 바뀌는가 하면, 프랑스에서는
로날드 대신 프랑스 만화인 '아스테릭스'의 캐릭터가 나타나기도 했다고.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에선 매출이 부진하다고 하이힐과 비키니 차림의 날씬한 여성을
새 마스코트로 쓰겠다나.
하이힐 여성이니 만화 캐릭터니 보다, 이 로널드는 꽤나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한 셈이다.
태국에 대한 외국인의 이미지는 아무래도 그 우아한 손놀림과 해맑은 미소, 그리고 그런
손놀림과 미소가 어우러진 인사가 강렬하게 박혀있지 않을까. 두 손을 앞으로 기도하듯
모으고 상대를 향해 슬쩍 고개를 숙이는 인사.
"싸와디~"(안녕하세요, 라는 뜻의 태국어).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hailand-06,11,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피톤 프로젝트의 선인장, 방콕 어느 운하 옆길의 선인장. (6) | 2011.03.07 |
---|---|
젊은 승려들에게 양산을 씌워주시는 태국의 할아버지. (0) | 2011.03.07 |
방콕 최고의 라이브공연이 펼쳐지는 곳, 색소폰. (0) | 2011.03.06 |
개와 고양이와 닭, 더러는 도마뱀. (4) | 2011.03.06 |
dead-end. 혹은, and? (2) | 201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