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근육들이 수축하면서 보기 흉하게 벌어진 몇 군데의 칼자국과 가슴과 배를 따라 Y자로 열었다가
두꺼운 실로 다시 꿰메진 자국까지. 섬뜩한 시체가 눈앞에 있다.
'제4회 서울국제가족영상축제' 중 특수효과 전시를 위해 사람들 눈앞에 나타난 것. 요모조모 꼼꼼히
뜯어보면 아쉬운 점이 없진 않지만, 그래도 이전에 국립과학수사원에서 경험했던 시체의 선뜩함과
냉기를 풍기고 있었다. (음식의 미학-부검 견학의 감상.)
무엇보다 이렇게 유리관 안에 핏덩이를 담아놓았다는 게 제일 자극적이다.
특수분장 소품일 거다. 근데 왼쪽의 저 포효하는 원숭이는 뭐지. 스타워즈 소품인가.;
닮았다고 생각했는지 떠올랐다. 왠지 김민희 많이 닮은 듯.
준마들과 비교하기엔 영양상태가 안 좋은 건지 발육상태가 별로인 건지.
바닥에 그려놓았으니 원근감이 아무래도 느껴지기야 한다만은 아무래도 요새는 아무데나 3D란 단어를
갖다 붙여놓는 게 아닌가 싶다. 슈렉이나 쿵푸팬더, 지니가 다들 넘 아저씨스럽게 나왔단 것도 불만.
단체 사진찍듯 우글대며 모여있었다.
소멸하고 추상화된 그림이 남는다. 어릴 적부터 그래피티를 꼭 한번 배워보고 싶었는데. 흑.
알록달록한 사람들. 원래 그래피티는 누가 보지 않는 새 보통 야밤을 틈타 후딱 작업하고 도망가는 게
묘미일 텐데, 평소 그런 거에 익숙한 이들이 사람들이 멀쩡하니 구경하는 앞에서 작업하려니 어색하진
않으려나. 스프레이로 저렇게 생생한 그림을 그리고 남겨놓는 솜씨는 역시 참 대단해 보인다.
벽면의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그림으로 메꾸려면 무릎을 꿇고 바닥에 거의 쓰러지다시피 해서 그려야
하고, 위에 그릴 때는 사다리 끝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 사다리를 조금씩 옮겨가며 다시 올라야
할 테니 꽤나 번거롭고 피곤할 거 같다.
잘 어울리는 거 같다. 사람들이 은근 쉼없이 서서 사진을 찍던 포스트 하나.
작은 집을 쌓아올리는 행사도 있었다. 한 꼬맹이가 자신이 만들었던 벽돌이 어딨는지를 찾는듯
몇 분째 유심히 벽돌 한장 한장 꼼꼼히 살피고 있었다.
낯익은 면면이다. 이 둘만 해도, 모르겠다고? GOD의 멤버 중 두 명이라고 하면 바로 감이 오려나.
소녀가 아니게' 되어버린. 박지윤이다.
큰 탓인지도 모르겠고, 그녀들의 웃는 얼굴에 익숙해 있는지라 이런 눈감은 무표정한 얼굴은 어쨌든
실제로 낯설고 어색한 탓인지도 모른다. 위에는 김윤진, 밑에는 고 최진실. 최진실은 좀 많이 낯설다.
얼굴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의도로 죽은 이의 얼굴을 정제한 후 석고를 부어 만드는 게 데드 마스크인데
이렇게 영화 배우들의 얼굴을 석고로 뜨는 건 어디에 쓰려나. 마네킹을 만들거나 대역배우 가면을
만드는데 쓰는 건가.
왠지 기분이 좋아졌다. 뭐, 딱히 잘생기지도 않았네. (나랑 비슷하게 생겼네), 뭐 요런 턱없는 망상이
스물스물 자라났달까. 그래놓고 거울보면 왠 오징어가 있을지도.
'[리뷰] 여행과 여행사이 > 기타(공연/전시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화 캔버스 위에 펼쳐진 꽃밭 풍경. (2) | 2010.12.02 |
---|---|
11/30 무역의 날, 포스터로 보는 '무역입국'의 역사 (0) | 2010.11.30 |
대한민국자식연합, 이번엔 '채식부족가족'이다. (2) | 2010.09.30 |
아시아 리얼리즘전, 한국의 리얼리즘 작품이 아쉬웠던. (0) | 2010.09.24 |
추석날, 덕수궁미술관 품계석 옆에 앉아 소리를 듣다. (0) | 201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