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카타르 도하에는 VIllaggio라는 쇼핑몰이 유명하다고 한다. 저녁 시간을 이용해 잠시 호텔을 벗어나 택시를 탔다.
택시 차창에 바싹 달라붙은 내 눈에 포착.
그 철자조차 제대로 몰랐어서 간판부터 한 장 찍어놓을랬더니 또다시 경비원이 막아섰을 뿐이고..
천장이 워낙 높아서 실내의 매장들이 2층짜리 건물처럼 외양을 꾸며놓았다. 그리고 높은 천장에 그려진 하늘빛의
말간 하늘. 스타벅스 매장도 보이고, 한국에서 쉽게 보지 못한 유럽 브랜드가 많이 보인다. 파리 샹들리제 거리에서
들러 향수를 폭폭 뿌리고 다시 나섰던 SEPHORA 간판도 뒤에 보이고, PAUL같은 베이커리점도 너무 반가웠다.
하늘이 그려진 높은 천장, 그리고 유럽의 거리 한 블럭을 고대로 떼어온 듯한 매장들의 외장이 훨씬 우아한 느낌을
자아낸다. 그리고 이런 휴식공간도 뭔가 좀더 아늑한 느낌이다. 무엇보다 사람이 코엑스몰보다 훨씬 적어서 유유히
돌아볼 수 있었던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매력 중 하나. 이제 흰옷을 펄럭이며 머릿수건을 흩날리는 아랍 남성과
검은 옷으로 둘둘 감은 채 보석같은 두눈만 반짝이는 아랍 여성을 보는 데에는 살짝 익숙해지고 있었으니 그건
빼고라도.
외양에 살짝 실망하고 바로 스킵. 한국 브랜드건 외국 브랜드건 뭔가 발걸음을 끌어야 들어가서 구경을 하지, 이
먼 만리타향까지 나와서 눈에 딱 띄이지도 않고 국내와도 별반 다를 것 없어 보이는 국내 브랜드점을 구경하는 데
쓸 시간은 없다.
그런 류의 특산 기념품들이 어딜 가나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을 피할 수가 없었단 점. 물 담배와 파이프, 단검모양
장식품과 보석류, 그리고 약간의 인형류와 냉장고 자석..그리고 이미 이집트나 사우디의 기념품점들을 구경해 본
나로서는 그 나라들에서 팔던 기념품들 간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내 보는 눈이 미욱해서인지, 아님 내가 그런 곳만
갔던 건지는 모르겠으되, 아랍권의 토산품들은 보이지만 개별 국가들의 특산품은 안 보인달까. 조금만 생각을
펼쳐보면 애초 아랍 문화권으로 엉성하게 묶이던 지역을 이리저리 개별 '영토'로 구획하고 절개한 '근대국가'로서
정체성 찾기와 역사 재구성의 과정이 일천해서일지도...그렇담 우리 나라는 '한국'이라는 국가브랜드 아래 개별
지역의 정체성을 아직 못 찾고 있어서 그런건가. '한국인'의 외피 아래 숨어있는 탐라인들, 경주인들, 부여인들의
정체성과 지역사를 살려내는 게 지갑을 열고 싶게 만드는 기념품들을 만드는 첩경일지도 모르겠다.
베네치아 쯤에서나 볼 법한 곤돌라가 떠 다니고 있어서라고 한다. 그 수로 한쪽 끝을 발견하고 깜짝 놀라버렸다.
작은 광장같은 느낌으로 둥그렇게 트인 공간에, 저렇게 선착장이 있고 가족들이 배를 기다렸다가 타고, 내리고
하는 거다. 이쯤 되니 점점 이곳이 아랍 지역인지, 아님 유럽의 어느 쇼핑몰인건지 조금씩 헷갈리기 시작한다.
껍데기가 씌워진 배하며, 저 쌩 알루미늄 삘로 충만한 노하며. 그나마 붉은 가죽을 쓴 듯한 의자가 좀 쌈빡하지만
왠지 '레쟈'같다. 좀 통나무를 깍아만든 클래식한 느낌의 배였다면, 그리고 좀 손때가 묻어나는 노하였다면 훨씬
좋았을 거 같은데 아쉽다. 그리고 이곳이 카타르를 비롯한 아랍지역 갑부들이 와서 돈쓰며 놀다간다는 그런 유명한
쇼핑몰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운치있는 가로등하며, 수로 주위를 둘러친 울타리도 그렇고..바닥의 포석도 무신경한 듯 시크한 비닐장판 따위가
아니라 벽돌을 직접 깔아놓은 것 같다.
곤돌라과 주변의 운치있는 건물모양 매장들을 보며 차 한잔 정도는 하는 것도 꽤 괜찮지 싶다.
축소된 것들이라 더 이뿐 거 같기도 하다. 그치만 또 어떻게 보면 장난스럽다 싶기도 하고.
다른 게, 건물들의 외관이나 천장의 그림이 달라졌다.
길었던 거 같다. 막 곤돌라에 탑승하는 아랍인 부녀..인 듯 하다.
금액이 붙어있다. 이 나라들에서 온 사람들이 주된 고객이란 뜻이겠지.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이 여기를 굳이 올
리는 없으니, 역시 내 생각대로 아랍 지역의 부유층이 유럽 분위기를 느끼며 쇼핑을 하고 싶을 때 여기에 오는 거
같다. 자그마한 형태로 축소된 유럽식 테마파크.
BGM처럼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있는 저들은, 파리 지하철역에서 그토록 쉽게 보이던 악사들을 따라한 거 같고,
유럽 분위기를 내려고 '알바'를 고용해서 쓰고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빌레며 어디론가 향하고 있다. 왠지 모르게 느껴지는 포스와 기품이...왕과 가까운 사람들이 아닐까 싶었다.
그렇게 까탈스럽지는 않은 것 같다. 쇼핑몰이어서 그런걸까 아니면 카타르 자체가 훨씬 개방적인 분위기여서일까.
가만히 저 검정색 장옷도 보다보니까 여기저기 멋을 낼만한 구석이 있었다. 소매 끝에 자수를 화려하게 넣는다거나
천의 재질 자체를 고급스런 광택이나 텍스타일이 느껴지도록 한다거나. 나중에 들은 얘기로는 한국산 천이 가장
고급 소재라고 한다. 이곳 사람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그 천 자체에서 미감을 예민하게 느끼기 때문에, 딱 보기만
해도 어디 천인지, 고급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고 한다.
늘어선 고급차들을 지나쳐 택시를 잡아탔다.
택시 차창에 바싹 달라붙은 내 눈에 포착.
그 철자조차 제대로 몰랐어서 간판부터 한 장 찍어놓을랬더니 또다시 경비원이 막아섰을 뿐이고..
천장이 워낙 높아서 실내의 매장들이 2층짜리 건물처럼 외양을 꾸며놓았다. 그리고 높은 천장에 그려진 하늘빛의
말간 하늘. 스타벅스 매장도 보이고, 한국에서 쉽게 보지 못한 유럽 브랜드가 많이 보인다. 파리 샹들리제 거리에서
들러 향수를 폭폭 뿌리고 다시 나섰던 SEPHORA 간판도 뒤에 보이고, PAUL같은 베이커리점도 너무 반가웠다.
하늘이 그려진 높은 천장, 그리고 유럽의 거리 한 블럭을 고대로 떼어온 듯한 매장들의 외장이 훨씬 우아한 느낌을
자아낸다. 그리고 이런 휴식공간도 뭔가 좀더 아늑한 느낌이다. 무엇보다 사람이 코엑스몰보다 훨씬 적어서 유유히
돌아볼 수 있었던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매력 중 하나. 이제 흰옷을 펄럭이며 머릿수건을 흩날리는 아랍 남성과
검은 옷으로 둘둘 감은 채 보석같은 두눈만 반짝이는 아랍 여성을 보는 데에는 살짝 익숙해지고 있었으니 그건
빼고라도.
외양에 살짝 실망하고 바로 스킵. 한국 브랜드건 외국 브랜드건 뭔가 발걸음을 끌어야 들어가서 구경을 하지, 이
먼 만리타향까지 나와서 눈에 딱 띄이지도 않고 국내와도 별반 다를 것 없어 보이는 국내 브랜드점을 구경하는 데
쓸 시간은 없다.
그런 류의 특산 기념품들이 어딜 가나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을 피할 수가 없었단 점. 물 담배와 파이프, 단검모양
장식품과 보석류, 그리고 약간의 인형류와 냉장고 자석..그리고 이미 이집트나 사우디의 기념품점들을 구경해 본
나로서는 그 나라들에서 팔던 기념품들 간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내 보는 눈이 미욱해서인지, 아님 내가 그런 곳만
갔던 건지는 모르겠으되, 아랍권의 토산품들은 보이지만 개별 국가들의 특산품은 안 보인달까. 조금만 생각을
펼쳐보면 애초 아랍 문화권으로 엉성하게 묶이던 지역을 이리저리 개별 '영토'로 구획하고 절개한 '근대국가'로서
정체성 찾기와 역사 재구성의 과정이 일천해서일지도...그렇담 우리 나라는 '한국'이라는 국가브랜드 아래 개별
지역의 정체성을 아직 못 찾고 있어서 그런건가. '한국인'의 외피 아래 숨어있는 탐라인들, 경주인들, 부여인들의
정체성과 지역사를 살려내는 게 지갑을 열고 싶게 만드는 기념품들을 만드는 첩경일지도 모르겠다.
베네치아 쯤에서나 볼 법한 곤돌라가 떠 다니고 있어서라고 한다. 그 수로 한쪽 끝을 발견하고 깜짝 놀라버렸다.
작은 광장같은 느낌으로 둥그렇게 트인 공간에, 저렇게 선착장이 있고 가족들이 배를 기다렸다가 타고, 내리고
하는 거다. 이쯤 되니 점점 이곳이 아랍 지역인지, 아님 유럽의 어느 쇼핑몰인건지 조금씩 헷갈리기 시작한다.
껍데기가 씌워진 배하며, 저 쌩 알루미늄 삘로 충만한 노하며. 그나마 붉은 가죽을 쓴 듯한 의자가 좀 쌈빡하지만
왠지 '레쟈'같다. 좀 통나무를 깍아만든 클래식한 느낌의 배였다면, 그리고 좀 손때가 묻어나는 노하였다면 훨씬
좋았을 거 같은데 아쉽다. 그리고 이곳이 카타르를 비롯한 아랍지역 갑부들이 와서 돈쓰며 놀다간다는 그런 유명한
쇼핑몰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운치있는 가로등하며, 수로 주위를 둘러친 울타리도 그렇고..바닥의 포석도 무신경한 듯 시크한 비닐장판 따위가
아니라 벽돌을 직접 깔아놓은 것 같다.
곤돌라과 주변의 운치있는 건물모양 매장들을 보며 차 한잔 정도는 하는 것도 꽤 괜찮지 싶다.
축소된 것들이라 더 이뿐 거 같기도 하다. 그치만 또 어떻게 보면 장난스럽다 싶기도 하고.
다른 게, 건물들의 외관이나 천장의 그림이 달라졌다.
길었던 거 같다. 막 곤돌라에 탑승하는 아랍인 부녀..인 듯 하다.
금액이 붙어있다. 이 나라들에서 온 사람들이 주된 고객이란 뜻이겠지.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이 여기를 굳이 올
리는 없으니, 역시 내 생각대로 아랍 지역의 부유층이 유럽 분위기를 느끼며 쇼핑을 하고 싶을 때 여기에 오는 거
같다. 자그마한 형태로 축소된 유럽식 테마파크.
BGM처럼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있는 저들은, 파리 지하철역에서 그토록 쉽게 보이던 악사들을 따라한 거 같고,
유럽 분위기를 내려고 '알바'를 고용해서 쓰고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빌레며 어디론가 향하고 있다. 왠지 모르게 느껴지는 포스와 기품이...왕과 가까운 사람들이 아닐까 싶었다.
그렇게 까탈스럽지는 않은 것 같다. 쇼핑몰이어서 그런걸까 아니면 카타르 자체가 훨씬 개방적인 분위기여서일까.
가만히 저 검정색 장옷도 보다보니까 여기저기 멋을 낼만한 구석이 있었다. 소매 끝에 자수를 화려하게 넣는다거나
천의 재질 자체를 고급스런 광택이나 텍스타일이 느껴지도록 한다거나. 나중에 들은 얘기로는 한국산 천이 가장
고급 소재라고 한다. 이곳 사람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그 천 자체에서 미감을 예민하게 느끼기 때문에, 딱 보기만
해도 어디 천인지, 고급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고 한다.
늘어선 고급차들을 지나쳐 택시를 잡아탔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Qatar-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타르] 바다가 메워주는 황량한 건설현장, LUSAIL 신도시 (4) | 2008.11.19 |
---|---|
[카타르] 메카를 가리키는 무슬림들의 나침반. (4) | 2008.11.19 |
[카타르] 카타르에도 비보이가! (6) | 2008.11.17 |
[카타르] 도하 호텔에서 발견한 비데, 어디에 어떻게 쓰는 물건인고. (2) | 2008.11.17 |
[카타르] Pearl Qatar. (2) | 2008.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