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로 개방된 공간에 하도 사람들이 바글바글대길래 냉큼 천원을 내고 유료 공간으로 넘어와버렸더니 정말
거짓말처럼 사람이 하나도 없다. 그렇게 무료에서 유료로 넘어가는 계단 벽면을 빼곡하게 장식한 전통탈.
읽혀지는 표정이지만, 이렇게 밑에서 올려다보니까 차갑게 눈을 흘기는 것 같기도 하고 볼이 잔뜩 부은 채
금세라도 시니컬하게 갈굴 것만 같다.
기차가 달려들 때까지 수십마리의 어른 코끼리들이 새끼를 둘러싼 채 버텼고 결국 일곱마리인가 기차에 치여
숨지고 말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가슴이 먹먹했었다. 그 이야기를 다시 떠올리게 만들었던 너무 리얼한 코끼리,
그리고 그 살점을 뜯어먹는 콘도르떼들.
긴 목부터 마주치는 순간은 아프리카에 대한 일종의 로망. 에버랜드에 생겼다는 초식동물 사파리에 가서 기어이
기린에 먹을 풀떼기를 쥐어주고 말겠다는 다짐을 다시 한번.
창의적이기도 하고. 군대 있을 때 '야전성'이란 표현을 우리끼리 썼던 적이 있는데, 뭐랄까,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재빨리 해결하는 응급조치의 순발력이랄까 유연한 발상이랄까. 그런 게 아프리카의 것들에서 느껴졌다.
눈코입의 묘사 역시 클래식한 아프리카 토속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으면서도 아프리카스러운 느낌은 살아있는.
진짜 무슨 게임인지 어떻게 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꽤나 단순한 외양 때문인지 쉬워 보이기도 하고.
꽤나 그럴듯한 서재가 있어야 할 듯. 왜 그 마호가니 나무 책상에 벨벳 카펫이 깔려있는 아늑한 방.
모가지가 남는다. 모가지가 길어 슬픈 짐승, 바닥으로 잔뜩 꿇어박음으로써 모가지도 해결.
왠지 동네 어귀 장승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게다가 짚으로 엮은 머리띠며 목걸이를 칭칭 감고 있는 것도
낯설지 않은 느낌.
이렇게 이쁜 것들 눈요기하는 것으로도 잠시나마 아프리카의 뜨거운 태양빛을 머리에 부어내리며 돌아다닌듯
여행의 즐거움을 살풋 맛볼 수 있어서 만족.
빙빙 돌고 있던 앵무새가 인사를 했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똥'이라면 자지러지는 아이들에게 '똥빵'을. (0) | 2010.10.05 |
---|---|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를 들으러 봉평 효석마을로. (0) | 2010.10.05 |
헤이리에서 만난 '천공의 성 라퓨타' 경비로봇. (10) | 2010.09.27 |
보름달을 보고도 소원은 삼켰다. (4) | 2010.09.24 |
온통 메시지가 내려앉은 '피맛골 고갈비집'. (0) | 201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