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국강병의 기치 아래 백성들에게 목숨을 내맡기고 충성을 다하라고 외치는 그들,
그렇지만 정작 사태가 엄혹해지면 그렇게 말한다. 너희같은 장똘뱅이가 어찌 그 뜻을 알겠느냐.
아 예, 어차피 아랫것들은 윗대가리에 누가 밟고 올라서나 그놈이 그놈인 것을.
영화에서 묘사된 대로라면 현상타파를 추구하는 전쟁광 세종의 치하나, 명이니 여진이니 왜니
그런 외국의 치하나 사실 '장똘뱅이' 백성들에겐 다를 바 하나 없는 것 아닌가.
# 현대식의 어정쩡한 말투라거나 마지막 장면의 '사물놀이'패 등장이라거나, 한은정의 복장이라거나,
어차피 엄정한 고증을 통한 정극을 추구하는 영화는 아니니 그렇다고 치더라도.
제발 장르가 뭔지를 알려다오. 액션인가 드라마인가 멜로인가 역사물인가.
아무리 그래도 세종의 호위무사와 항아리를 집어던지며 개싸움을 하는 건 아니지 않나.
아무리 그래도 300을 패러디하듯 대책없이 대군과 붙여놓는 건 아니지 않나.
전혀 설득력도 없고 떼잡이식으로 '애국심을 팔았으니 감동먹지 않을 테냐'라는 건가.
아니면 한은정의 (연기말고) 외모나 즐감하라는 건가. 좀처럼 납득되지 않는 허접 스토리.
# 버섯구름까지 등장시키는 그 적나라하고 호전적인 마인드.
뭐 다른 거 다 넘어가고 그저 '킬링타임용' 쓰레기영화라고 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버섯구름.
근대국가끼리의 관계에서 비로소 나타나는 '주권'의 개념을 울부짖는 세종,
그야말로 벌레처럼 죽어나간 적군의 시체 틈바구니에서 당당히 버티고 선 전쟁영웅들,
노골적으로 피어오른 버섯구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를 노래하고 싶었던 거구나.
그놈의 무궁화꽃, 핵주권 따위 이야기는 정말 질리지도 않나. 전쟁동원을 위한 그들만의 노래.
조선시대 버전으로 피어난 무궁화, 이건 쓰레기 중에서도 아주 악질적인 상쓰레기.
# 민족주의에 대한 일그램의 성찰 따위도 없는 영화.
민족주의를 들먹이는 윗대가리들이 의식하던 못하던, 그 사고회로는 대략 이런 거다.
'우리 민족은 잘났다', '과거에는 남들보다 잘나갔다', '수치스럽고 굴욕적인 현재를 보라',
'과거의 영광을 되찾자', '그걸 위해 너의 피와 철을 바쳐라'.
우습게도 '우리 민족 잘났다'는 민족주의가 그 민족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현재를 수탈한다.
우습게도 그 잘났다는 민족의 과거를 강조하다 보니, 멀쩡히 나름의 역사적 맥락과 문맥 속에 존재하는
나름의 역사를 마냥 부끄럽고 수치스럽게 묘사하고 만다. 과거의 특정부분을 억지로 부각하고 높이려니
다른 부분은 깍여나가고 폄훼되는 거다.
# 사대교린의 옛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주권평등의 근대국가 질서를 섞어놓고,
'신기전'이라는 대량살상무기를 만들기 위해 뻔히 보이는 위험도 감내하도록 만들며,
조국과 민족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이 국민된 도리라고 강변하는 스토리는 혐오스럽다.
그런 스토리와 속내가 품고 있는 함의는 너무나도 정치적이라서. 그리고 현실에서는
그나마 안성기가 연기한 세종처럼 '백성은 황제'라고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조차 없어놔서.
그러고 보면 정말 최악의 영화이긴 하지만, 그보다 더 노골적으로 최악의 인간들이 존재하는 현실세계에
비기면 나름의 영화적 상상력과 매만짐으로 조금은 이쁘게 만들어 놓은 셈이랄까.
아...시간 아까워. 아 진짜 쓰레기쓰레기 이런 상쓰레기 영화가 당시에 그렇게 화제였다니.
의미도 없고 최소한의 재미도 없고. 정말이지 최악.
'[리뷰] 여행과 여행사이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 밑 아리에티'에 대한 마루 위 인간의 몇가지 힌트. (2) | 2010.09.10 |
---|---|
[식코] 돈없으면 죽으라는 '상식과 시스템'으로 디그레이드중인 한국. (0) | 2010.08.09 |
[줄리&줄리아] 그대를 변하게 할 스위치는 무엇인가요. (2) | 2010.08.08 |
[비밀] 한대 때리고 나서야 깨달은 '사랑의 매듭'. (2) | 2010.08.05 |
[올드보이] 세탁소에 빨래맡기는 게 아니다, 최면은 풀리라고 있는 거다. (4)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