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밥먹는 건 생각보다 괜찮은 일이다. 이어폰을 귀에서 탈착할 필요도 없으며, 밥먹는 데에 집중하거나
꼬리를 무는 어떤 생각에 집중하거나 간에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밥먹고 나서 걍 바로 자리를 뜨고
자판기 커피 한잔 뽑아먹음 한 끼 해결인데, 마음도 편한데다가 아주 자유로운 느낌마저 든다.
학관 지하에 12시 약간 전에만 가주면, 자리도 널럴해서 왠지 주위에 둘러싸인 사람들에게 압박감을 느낄
필요도 없다. 왠지 저사람들은 서로가 무진장 친밀한 따뜻한 나라에 사는 거 같고, 난 왠지 어딘가 그림자가
빠져있거나 심장이 빠져있는 나라에 사는 듯한 감정이 유발되곤 하는 거다, 식탁 가득 사람이 빼곡히 들어차
있으면. 그 중에 혼자 밥먹는 사람도, 혹은 같이 먹더라도 별반 안 유쾌한 사람도 기실 그럴 때엔 나랑 같은
감정을 느낄 게다.
어쩌면, 걍 아무나 혼자 먹고 있는 사람 있음 그 앞이나 옆자리에 앉고서 친한 척하며, 혹은 친해지며 밥먹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지 싶다. 통성명부터 시작해서 과, 나이, 등등 '코스'를 밟아가며 미팅을 시작하는 방법도
있을 게고, 걍 무작정 반찬투정부터 시작하며 공감대를 열어가는 방법도 있을 거고.(여기 밥 절라 맛없잖냐?
개밥이야 개밥..) 가끔 걍 주위를 휘 저어보면 저기 어딘가 혼자 밥먹고 있던 처자나 남정네와 눈이 딱 마주치기도
하는데, 백방 그럴 경우 그녀석도 나처럼 무작정 아무나하고 같이 밥먹어 보까 하는 쓸데없는 객기를
발동시켰을 테다.
그나마 오늘은 자리가 워낙 휑~했어서 내 심리적인 안정 공간을 확보한 채 밥을 먹을 수 있었지만, 사람이 많아져
내 옆앞뒤로 내 공간을 침범한 타인..들이 늘어나면 어쩌면, 숨쉬는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친한 사람과
밥을 먹거나 밥을 먹으며 친해지는 방법 두가지밖에 없는듯하다. 왜 바둑에서, 단수에 몰린 말이 살기 위해 숨통을
트는 방법은 돌을 하나 이어 숨구멍을 넓히는 거처럼.
글타고 내가 '단수에 몰렸다'거나, 혼자 밥먹는게 불유쾌하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 이제 밥먹는 상황에서도
인간관계를 유추해버리고 마는 지극히도 편향적인 이 사고의 흐름을 어쩔 수가 없단 탄식.ㅋ
어쨌거나, 밥을 같이 먹는다는 행위는 결국 내 숨통을 넓혀줘, 아님 내가 따뜻한 남쪽나라에 살고 있다는 걸
믿게 해 줘...라는 말과 등치되는 거다. 따뜻한 피가 쿨럭이며 심장을 후비고 있으며, 내 그림자도 언제나처럼
묵묵히 발치에서 날 내려다보고 있단 걸 확인시켜 주는 행위, 그게 바야흐로 "같이 밥먹자"란 말이 담고 있는
지극한 의미가 아닌지.
혼자 밥먹을꼬얌~ 하는 퇴짜는, 글타면 그러한 외부의 도움없이도 혼자 숨을 충분히 쉴 수 있거나
(산소호흡기던 부레를 갖췄건 간에) 혼자서도 충분히 따뜻한 남쪽나라란 걸 실감할 수 있어서인가...
2004. 10월..
* * *
요새는 왠지 점심 때 누구와 약속잡고 밥먹는 게 귀찮기도 하고, 지치기도 하고. 며칠 전엔 엠피쓰리와 책한권
들고 근처 까페에 가서 에스프레소 한잔과 머핀을 먹었다. 한시간 꽉 채운 점심시간을 조용히 혼자 보내고 나니
왠지 무지하게 상큼한 기분이 들었었지만, 사무실에 다시 들어오면 언제 그랬냐는 듯 또다시 축 늘어지는 심신.
꼬리를 무는 어떤 생각에 집중하거나 간에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밥먹고 나서 걍 바로 자리를 뜨고
자판기 커피 한잔 뽑아먹음 한 끼 해결인데, 마음도 편한데다가 아주 자유로운 느낌마저 든다.
학관 지하에 12시 약간 전에만 가주면, 자리도 널럴해서 왠지 주위에 둘러싸인 사람들에게 압박감을 느낄
필요도 없다. 왠지 저사람들은 서로가 무진장 친밀한 따뜻한 나라에 사는 거 같고, 난 왠지 어딘가 그림자가
빠져있거나 심장이 빠져있는 나라에 사는 듯한 감정이 유발되곤 하는 거다, 식탁 가득 사람이 빼곡히 들어차
있으면. 그 중에 혼자 밥먹는 사람도, 혹은 같이 먹더라도 별반 안 유쾌한 사람도 기실 그럴 때엔 나랑 같은
감정을 느낄 게다.
어쩌면, 걍 아무나 혼자 먹고 있는 사람 있음 그 앞이나 옆자리에 앉고서 친한 척하며, 혹은 친해지며 밥먹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지 싶다. 통성명부터 시작해서 과, 나이, 등등 '코스'를 밟아가며 미팅을 시작하는 방법도
있을 게고, 걍 무작정 반찬투정부터 시작하며 공감대를 열어가는 방법도 있을 거고.(여기 밥 절라 맛없잖냐?
개밥이야 개밥..) 가끔 걍 주위를 휘 저어보면 저기 어딘가 혼자 밥먹고 있던 처자나 남정네와 눈이 딱 마주치기도
하는데, 백방 그럴 경우 그녀석도 나처럼 무작정 아무나하고 같이 밥먹어 보까 하는 쓸데없는 객기를
발동시켰을 테다.
그나마 오늘은 자리가 워낙 휑~했어서 내 심리적인 안정 공간을 확보한 채 밥을 먹을 수 있었지만, 사람이 많아져
내 옆앞뒤로 내 공간을 침범한 타인..들이 늘어나면 어쩌면, 숨쉬는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친한 사람과
밥을 먹거나 밥을 먹으며 친해지는 방법 두가지밖에 없는듯하다. 왜 바둑에서, 단수에 몰린 말이 살기 위해 숨통을
트는 방법은 돌을 하나 이어 숨구멍을 넓히는 거처럼.
글타고 내가 '단수에 몰렸다'거나, 혼자 밥먹는게 불유쾌하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 이제 밥먹는 상황에서도
인간관계를 유추해버리고 마는 지극히도 편향적인 이 사고의 흐름을 어쩔 수가 없단 탄식.ㅋ
어쨌거나, 밥을 같이 먹는다는 행위는 결국 내 숨통을 넓혀줘, 아님 내가 따뜻한 남쪽나라에 살고 있다는 걸
믿게 해 줘...라는 말과 등치되는 거다. 따뜻한 피가 쿨럭이며 심장을 후비고 있으며, 내 그림자도 언제나처럼
묵묵히 발치에서 날 내려다보고 있단 걸 확인시켜 주는 행위, 그게 바야흐로 "같이 밥먹자"란 말이 담고 있는
지극한 의미가 아닌지.
혼자 밥먹을꼬얌~ 하는 퇴짜는, 글타면 그러한 외부의 도움없이도 혼자 숨을 충분히 쉴 수 있거나
(산소호흡기던 부레를 갖췄건 간에) 혼자서도 충분히 따뜻한 남쪽나라란 걸 실감할 수 있어서인가...
2004. 10월..
* * *
요새는 왠지 점심 때 누구와 약속잡고 밥먹는 게 귀찮기도 하고, 지치기도 하고. 며칠 전엔 엠피쓰리와 책한권
들고 근처 까페에 가서 에스프레소 한잔과 머핀을 먹었다. 한시간 꽉 채운 점심시간을 조용히 혼자 보내고 나니
왠지 무지하게 상큼한 기분이 들었었지만, 사무실에 다시 들어오면 언제 그랬냐는 듯 또다시 축 늘어지는 심신.
'[일상] 사진 혹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민선씨, 미니홈피 얼른 다시 여시길 바랍니다. (24) | 2009.08.11 |
---|---|
불빛 가득 담긴 페인트통에 손가락 하나를 푹 담갔다가 쭈우욱, 그어버린 듯한 사진들. (12) | 2009.08.09 |
'북 크로싱 운동', 동아eTV에 소개되었습니다. (30) | 2009.08.04 |
멀찍이 떨어져서 바라보면 서울도 아름답다. (2) | 2009.08.04 |
이번달 나눔 선물들 잘 도착했습니다~^-^* & 8월 동시나눔에 대해. (31) | 200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