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같아선 6시에 딱 룩소르 서안에 도착하고 싶었지만, 자전거를 빌리는 게 아무리 빨라야 7시가 넘어야 가능하다고
했다. 아침삼아 간단하게 바싹 마른 팥빵..? 파이 비슷한 걸 먹고 출발했다. 내셔널 페리 선착장이 워낙 머니까 그냥
자신들의 펠루카를 타고 나일강을 건너라 했던 펠루카 호객꾼의 구라와는 달리, 자전거로 한 10초 달리니까 바로
선착장이 나온다. 정말, 딱 10초 달렸는데 선착장이 나왔다. 대단한 구라빨이라 해야할지..
신나게 좀 달린다 싶을 때 덜컥 멤논의 거상이 나왔다. 네이*에 빌어 나온 자료사진, 이왕 찾아본 김에 설명도 좀
덧붙이자면 테베 근처 왕실 무덤군인 네크로폴리스의 입구에 있는 이 거상은 로마시대에 각광받았던 관광지라고
전해진다. 실제 크기는 이렇게 사진으로 볼때보다 훨씬 더 크단 느낌은 있지만, 워낙 허물어져서 그런지 뒤의 황량한
돌산과 함께 그저 황폐하단 느낌이 짙었다. 그래도 이 거상들이 왕과 왕비들, 귀족들의 무덤을 지키고 있는
수호자들이었을 거란 생각을 하니, 자전거 페달 밟는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무덤 중 가장 볼만하다는 네페르타리 여왕의 분묘는 역시나 닫혀 있다는 이야길 듣고 살짝 실망했다. 가장 먼 왕의
계곡부터 갔다가 고만고만하게 붙어있는 나머지 무덤군들을 좀 더 지나 해가 중천에 뜨고 더워질 때 돌아볼 작정으로
페달을 밟았는데 무진장 힘들다. 온통 그늘 한 점 없는 아스팔트 도로 위를, 그것도 약간 오르막길인데다가 벌써부터
미친듯이 무덥다. 해서 길을 틀어 합셋수트 신전부터.
어디선가 한번쯤 본 듯한 건물이다. 아마도 인디아나 존스였던가, 뭐 그런 데였을 거다. 돌산을 깍아내고 또 가공한 돌을
차곡차곡 이어붙혀 만든 건물이라는데, 크기도 크기지만 그 위치가 정말 절묘하다. 산 중턱에 덜컥 붙어있는 모양새랄까,
산은 온통 붉은 빛. 보기만 해도 가슴이 황량해지고 마는 그런 무생물스러운 산이다. 생명체 하나 품지 않을 것 같은 산.
신전도 같은 빛깔이다. 죽은 이들만 품을 듯한 느낌의 황량한 신전.
그런데 또 그쯤에서 룩소르를, 나일강 동안을 되돌아보면 온통 초록빛이다. 뭔가, 인디아나 존스가 식인종이 우글대는
정글이 지난다거나 온갖 고초를 겪은 후 짜잔, 하고 나타나는 낙원 샹그릴라나 잃어버린 성지처럼 그렇게 어슴푸레
나타난다. 야자수도 잔뜩 보이고, 약간의 건물을 제하면 마치 환영인 양 신기루처럼 펼쳐지는 싱그런 녹색 대지.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구경하다가 거기서 일하는-아마도 가이드인양 박시쉬를 잔뜩 뜯어낼 법한-아저씨들이 모여앉아
있다가 날 부른다. 경계모드로 돌입, 일단 순순히 가보니까 밥먹었냐고, 같이 빵이랑 차 먹자고. 설마 이렇게 많은
사람들한테 일일이 박시쉬-팁-을 주지는 않아도 될 거고, 먹고 보자는 속셈 반, 꼬질꼬질하고 새까맣게 타버린 내가
2리터들이 물병 세개를 든 채로 땀을 삐질삐질 흘리는 게 얼마나 불쌍했겠나 하는 공감 반, 함께 앉았다. 히에로글리프가
잔뜩 남아있는 돌멩이를 깔고 앉아 아저씨들과 함께 빵과 차를 나눠 먹었다. 여전히 발굴중이거나 복구중인 모양인지,
유적 잔해들이 걍 난해하게 흩어져있는 걸 아저씨들은 의자로 쓰고 있었다.
잠시 쉬다가 인사하고 다시 왕의 계곡으로, 어찌나 먼 길이던지. 게다가 그 먼 길에 어떻게 표지판 하나가 없을 수
있는지. 그러고 보니 시와 오아시스 마을도 그렇고 어디에서든 투어 위주로, 투어가 제일 편하도록 해 놓았을 뿐
개별 여행자들을 위한 배려나 안내표지판 같은 것에 꽤나 인색한 것 같다. 땀을 삐질대며 구비구비 고갯길을
돌아오를 때마다 실망하길 몇 차례, 지쳐빠질 때쯤, 혹은 길 잃은 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엄습할 즈음 나타난
왕의 계곡 매표소.
했다. 아침삼아 간단하게 바싹 마른 팥빵..? 파이 비슷한 걸 먹고 출발했다. 내셔널 페리 선착장이 워낙 머니까 그냥
자신들의 펠루카를 타고 나일강을 건너라 했던 펠루카 호객꾼의 구라와는 달리, 자전거로 한 10초 달리니까 바로
선착장이 나온다. 정말, 딱 10초 달렸는데 선착장이 나왔다. 대단한 구라빨이라 해야할지..
덧붙이자면 테베 근처 왕실 무덤군인 네크로폴리스의 입구에 있는 이 거상은 로마시대에 각광받았던 관광지라고
전해진다. 실제 크기는 이렇게 사진으로 볼때보다 훨씬 더 크단 느낌은 있지만, 워낙 허물어져서 그런지 뒤의 황량한
돌산과 함께 그저 황폐하단 느낌이 짙었다. 그래도 이 거상들이 왕과 왕비들, 귀족들의 무덤을 지키고 있는
수호자들이었을 거란 생각을 하니, 자전거 페달 밟는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계곡부터 갔다가 고만고만하게 붙어있는 나머지 무덤군들을 좀 더 지나 해가 중천에 뜨고 더워질 때 돌아볼 작정으로
페달을 밟았는데 무진장 힘들다. 온통 그늘 한 점 없는 아스팔트 도로 위를, 그것도 약간 오르막길인데다가 벌써부터
미친듯이 무덥다. 해서 길을 틀어 합셋수트 신전부터.
차곡차곡 이어붙혀 만든 건물이라는데, 크기도 크기지만 그 위치가 정말 절묘하다. 산 중턱에 덜컥 붙어있는 모양새랄까,
산은 온통 붉은 빛. 보기만 해도 가슴이 황량해지고 마는 그런 무생물스러운 산이다. 생명체 하나 품지 않을 것 같은 산.
신전도 같은 빛깔이다. 죽은 이들만 품을 듯한 느낌의 황량한 신전.
그런데 또 그쯤에서 룩소르를, 나일강 동안을 되돌아보면 온통 초록빛이다. 뭔가, 인디아나 존스가 식인종이 우글대는
정글이 지난다거나 온갖 고초를 겪은 후 짜잔, 하고 나타나는 낙원 샹그릴라나 잃어버린 성지처럼 그렇게 어슴푸레
나타난다. 야자수도 잔뜩 보이고, 약간의 건물을 제하면 마치 환영인 양 신기루처럼 펼쳐지는 싱그런 녹색 대지.
있다가 날 부른다. 경계모드로 돌입, 일단 순순히 가보니까 밥먹었냐고, 같이 빵이랑 차 먹자고. 설마 이렇게 많은
사람들한테 일일이 박시쉬-팁-을 주지는 않아도 될 거고, 먹고 보자는 속셈 반, 꼬질꼬질하고 새까맣게 타버린 내가
2리터들이 물병 세개를 든 채로 땀을 삐질삐질 흘리는 게 얼마나 불쌍했겠나 하는 공감 반, 함께 앉았다. 히에로글리프가
잔뜩 남아있는 돌멩이를 깔고 앉아 아저씨들과 함께 빵과 차를 나눠 먹었다. 여전히 발굴중이거나 복구중인 모양인지,
유적 잔해들이 걍 난해하게 흩어져있는 걸 아저씨들은 의자로 쓰고 있었다.
있는지. 그러고 보니 시와 오아시스 마을도 그렇고 어디에서든 투어 위주로, 투어가 제일 편하도록 해 놓았을 뿐
개별 여행자들을 위한 배려나 안내표지판 같은 것에 꽤나 인색한 것 같다. 땀을 삐질대며 구비구비 고갯길을
돌아오를 때마다 실망하길 몇 차례, 지쳐빠질 때쯤, 혹은 길 잃은 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엄습할 즈음 나타난
왕의 계곡 매표소.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Egypt-04,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15. 트랜스포머2의 신전이 여기? 카르낙 신전. (8) | 2009.07.15 |
---|---|
이집트#14. 총천연색 이집트 상형문자를 상상해 보기. (4) | 2009.07.15 |
이집트#12. 아스완과 룩소르 사이에서 만난 '코리언'과 '이집션'. (6) | 2009.07.13 |
이집트#11. 바나나 아저씨와 아스완의 해돋이. (4) | 2009.05.21 |
이집트#10.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고대인의 메시지. 아부심벨. (0) | 200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