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제통문, 라제통문, 혹은 그냥 '통일문'이라고도 불린다는 이 곳은 아주 짧고 자그마한 동굴 하나가 있는 곳이다.
비록 동굴은 작고 석벽은 야트막하지만 과거 신라와 백제 두 나라의 자연적 경계 역할을 했다는 데서 그 역사적
의미와 무거움을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삼국이 정립했던 시대에는 동굴 서쪽, 이켠에는 백제의 군사들이, 그리고 저쪽켠에는 신라의 군사들이 삼엄하게
대치하고 있었을 거다. 호시탐탐 상대의 동태를 살피고 이상 징후는 없는지, 특이한 동향은 없는지 살피는 와중에도
두 나라 군대의 깃발은 저렇게 바람을 희롱하며 나부끼고 있었을 거다.
아, 그러고 보니 동굴 아래편으로는 물이 흐르고 있었다. 과거에도 이렇게 다리가 동굴 앞에서부터 뻗어나왔던
모습이었을까 아니면 다리없이, 조금은 더 가파르고 험난한 구멍이란 느낌이었을까.
그야말로 시골의 한가로운 정경이다. 개울은 맑고 차게 흘러내리고, 그 물을 뿌리 깊숙한 곳에서부터 움켜쥐고선
우쭉우쭉 새순을 밀어올리는 초록 나무와 연둣빛 풀떼기들.
가만히 다가가보니 나제통문이라고 돌로 된 간판이 동굴 위에 남겨져 있었다. 저건 돌을 쪼아서 만든 걸까.
아니면 시멘트로 치덕치덕 덧바른 후세 사람들의 짓일까.
동굴의 반대편으로 뛰어가서 온 길을 되돌아보니 풍경이 확 달라졌다. 단순히 해가 기우는 방향을 거슬러 달린
때문이라기엔, 왠지 백제와 신라의 천년 전 경계를 넘었다는 실감이 턱없이 육박해왔기 때문이라 믿고 싶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여전히, 이 문을 경계로 양쪽 지방의 언어나 풍습이 확연히 다르다고 한다. 티비나
라디오를 틀면 온통 '교양있는 서울사람들이 쓰는' 표준어만 나오는 이 시대에도 양쪽의 사람들은 제각기의
오랜 사투리를 지켜오고 있는 셈이다.
요새 드라마를 보면 퓨전사극이니 뭐니, 조선시대 사람이 현대로 넘어오기도 하고 막 그러는 거 같던데, 왠지
이 동굴을 특정한 타이밍에 특정한 조건을 충족하고 지나가면 순식간에 고백신, 삼국이 정립했던 그 시기로
돌아갈지도 모르겠다. 예컨대 비오는 날 깊은 밤에 피티체조를 하며 지나간다거나.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Korea+D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인생' 따라잡기#1 - 경포대 현대호텔 (0) | 2012.05.08 |
---|---|
모슬포항의 봄, 배를 기다리는 들풀들이 일어서다. (0) | 2012.05.07 |
일본엔 무도관, 중국엔 소림사가 있다면, 한국엔 '태권도원'이 생긴다. (0) | 2012.05.02 |
'트램폴린' 대신 '덤블링'이라고 해야 기억이 돋아난다. (0) | 2012.05.01 |
벚꽃잎을 밀어내며 연둣빛 봄이 행진하던 전북 무주. (4) | 201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