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감천 문화마을의 껍데기, '부산의 산토리니'라고들 하는.


이전 포스팅에서는 그래도 최대한 '껍데기'의 아름다움, 전체적인 외견상의 풍경을 담으려고 했지만 곳곳에서 물이 새듯

현실의 신산함, 고단함이 묻어나는 걸 피할 수 없었던 거 같다. 그치만 사실 그 몇겹의 페인트칠로 달동네의 가파른 경사와

그만큼 가파르게 짊어진 무게감이 가려질 수 있을까. '산토리니'란 이름이 갖는 묘한 설레임과 이국적인 향취, 그 별칭을

갖기엔 여전히 이 곳을 지키고 사는 사람들의 삶이 그렇게 가볍지가 않다. 그런 헛되고 헛된 별칭 따위, 자꾸 그렇게

부를수록 사람들은 껍데기만 구경하고 그 안의 사람들을 잊지는 않을까 저어스러울 뿐이다.


풍경 안에 최대한 사람 냄새를 담으려 했다는 핑계로, 나 역시 카메라를 들어 풍경을 담았지만 이건 참. 예의가 아니다.


온통 색바랜 채 아귀힘조차 잔뜩 풀려버린 듯한 빨래집게들이 때가 꼬질꼬질한 빨랫줄에 턱을 괴고 매달려 있었다.

태극기와 무궁화가 주렁주렁 박혀있는 깃발대. 왜 저것들이 보이는 풍경은 늘 적당히 촌스러워 보이는 걸까.

골목길 한켠의 구멍가게 하나 겨우 차릴법한 공터에 윗몸일으키기용 기구와 자전거, 아령 두개가 놓였다. 그리고 이름붙기를,

"운동하는 곳 소변금지". 아닌 게 아니라 적당히 술이 오른 사람들이 슬쩍 가로등 불빛을 피해 바지춤을 내리기에 딱 좋은 곳.

온통 불룩불룩 부풀어오른 슬레이트 지붕 위의 커버. 의도한 건지 아니면 가스같은 게 찬 건지 모르겠지만, 롯데월드어드벤쳐의

그 펑펑 소리가 울리는 가짜 성벽과 동굴벽이 떠오르는 건 왜일까. 이곳이 뭔가 7,80년대 달동네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를

찍기에 맞춤한 세트장 같단 생각이 계속 들어서일까.

화려한 몸빼바지와 셔츠가 내걸린, 벽과 벽과 슬레이트지붕으로 둘러싸인 채 한줌도 안되는 하늘 아래 바람을 기다리는 곳.

계단이라고 반듯하게 만들어졌다거나, 보폭을 감안해서 만들어진 게 아니다. 적당히 시멘트를 개어서 적당히 척척,

발딛을 곳만 층층이 만들어주면 끝. 그래도 이 황량한 풍경을 견디게 해주는 건 곳곳에서 숨통을 틔워주는 꽃화분들.


그리고 믿기지 않게도, 그 좁다란 골목을 따라 쇠봉을 두개 세우고는 여차할 때 빨래 거는 용도로도 쓰기도 했다.

이런 풍경들. 누군가에겐 그냥 조금 '불편'한 건지도 모르겠지만, 본인이 아니라면 그렇게 말할 일은 아니다.

자칫 우범지역으로 화하기 쉬운, 사람들이 떠나간 빈집들이 이곳저곳에서 눈에 띄는 낡고 허름하고 가로등도 귀한

골목인지라. 범죄가 발생했을 때 바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해둔 위치 정보. 근데 이런 건 산에서 조난당했을 때나 쓸법한

방법 아닌가. 말하자면 여긴 동네 야산보다 높은 수위의 안전 장치가 요구되는 곳이다.

삐뚤빼뚤 대강 그어진 선들이 건물을 이루고, 옹벽을 이루고, 길가에 앉아계신 할머니 몸위로 쏟아져 내릴 듯한

시멘트 덩어리를 윤곽짓고 있었다.

어느 집과 집 사이, 여지없이 가스통이 세워진 그 틈새 사이에 지압 효과까지 겸한다는 훌라후프가 박혀 있었다.

저 커다란 훌라후트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방안에서는 택도 없을 거 같은 조그마한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이곳에서, 아마도 사람들의 운동장은 그네들의 집 옥상이 아닐까. 파랑색 수조통이 거개의 공간을 차지한.


이런 정도의 가파른 비탈, 한결같은 그 비탈 위에 건물들이 쓸려내려오다 가까스로 멈춘 듯이 세워져 있었다.


이곳, 감천동 문화마을이란 곳에 붙은 '부산 산토리니'라는 별칭은, 그리고 '문화마을'이란 이름조차, 어쩌면

이렇게 날것의 시멘트 위에 살짝 엉켜붙은 석회 같은 거 아닐까 싶다. 언제고 쉽게 씻겨나갈 수 있는 분칠.

그 아래에서 시멘트는 여전히 거칠하게 차가운 냉기를 내뿜으며 퇴락해 가고 있는 거고.

신속하고 전화비는 무료, 실소가 터지고 말았다. 112를 안내하는 저런 거창한 광고 문구라니.

이곳저곳에 내걸린 빨래들이 바람에 함부로 휘둘리고 있었다. 무기력하게 바람이 불면 부는대로 몸을 내어맡긴

빨래를 보고 있자니 왠지 몸에 힘이 빠져나가고 허탈해지는 느낌마저 들더라는.


한때 그래도 마을의 가게였을 곳, 위에 덮였던 차양은 전부 뜯긴 채 앙상한 뼈대만 이리 휘청, 저리 휘청, 바람에

희롱당하고 있었다.

저렇게까지 쇠가 삭아나가려면 얼마나 시간이 흘러야 하는 걸까. 그리고 언제부터 사람이 살지 않는 폐가가 되었을까.


외벽이 없는 계단이란 건, 굉장히 위태해 보인다. 더구나 이곳처럼 경사가 급한 마을에서 아랫쪽으로 한없이

굴러떨어질 수 있는 곳으로 휘감아 돌아가는 계단이란 건.

야트막한 집들 사이로 불쑥 솟아있는 저 고층 아파트는, 왠지 서울로 치자면 강남의 타워팰리스랄까. 그런 위화감.




위태한 계단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니 세상이 기우뚱해 보인다. 아랫쪽의 철사를 두른 장독 하나와 풀떼기가 심긴

항아리가 신기해서 요리조리 살펴보았는데, 좀체 그 커다란 장독의 쓰임을 알 수가 없다.

전봇대가 힘겨워보이도록, 사방팔방에 십육방위로 하늘을 쪼개고 있는 전선들.


이 곳에서도 곳곳에서 보이던 교회의 십자가, 첨탑들. 비탈길의 각도를 완만하게 버혀내고 산뜻한 페인트로 건물을

단장해줄 수 있다면야 약간의 '마약'은 꽤나 유용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저기도 훌라후프 하나가, 공사가 진행되다가 만 건물인지 아니면 부수다가 만 건물인지 모르겠으되 뾰족하니

위태롭게 튀어나온 철근에 대롱대롱 매달려있었다. 이 동네, 훌라후프 보급운동이라도 벌어졌던 건가.

우리누리공부방 가는 길, 무슨 사막처럼 황량한 풍경이 펼쳐졌나 했더니, 흙바닥인가 했더니. 온통 시멘트가 부어져

꽁꽁 굳어있던 시멘트바닥.

그리고 터키니 대만이니 일본이니 프랑스니, 글로벌한 국기들의 휘황하던 공부방 옆에 만들어져 붙어있던 타일들,

그곳에 씌여진 말들은 그렇게 아름답지만은 않았다. 당연한 거라고 해야 할지 모른다.

이렇게 허물어지기 직전처럼 보이는, 폭삭 삭아버린 슬레이트 지붕이 바람에 날려갈까 시멘트 벽돌로 눌러둔 공간.

빨간 대야들이 온통 집밖에 전시된 채 비바람과 햇살에 바래가는 공간.

미용실에 붙은 스티커가 온통 잘근잘근 찢기고 터져나가도록 간판조차 바꾸지 못한 채 문닫은 공간.

그리고, 언제 찍었는지 알 수 없는 사진들 속 사람들이 온통 하얗게 바래지도록 남겨지고 지체된 공간.

오락실조차 온통 기계들이 불을 끈 채 잠들어있던. 사람들의 생기나 온기를 바로 느끼기가 쉽지 않던 공간.


그런 것들이 이 곳, 감천동 문화마을이 감추고 있던 속살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건물들의 군집이 이루는

그 전체 그림만을 보고 감상하며 '산토리니'니 '마추픽추'니 하는 건 좀 실례가 아닐까 싶은 거다.

간판 대신 거북이 박제가 걸려 있는 가게도 있고. 카메라를 들이대니 원하면 저거 사가라고 걸어둔 거라며

친절하게 말씀해주시던 할머니도 계시고.


아, 그리고 이곳 감천동 문화마을이, 감천2동이, '부산 산토리니'가, 태극도 마을 혹은 태극마을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이것. 1950년대부터 이곳에 형성된 '태극도'라는 종교 집단의 집단거주구역이 감천동 이 곳의

모태가 되었다고 한다. 이 곳에 들어가서 '도인'께 들은 설명에 따르자면 현재 이곳 문화마을에 살고 계신

어르신들 중에도 상당수가 여전히 '태극도' 신도인 '도인'이라고 하던데 진위 여부는 모르겠고.

감천동 문화마을, 그곳엔 사람이 살고 있다.

산토리니 따위 허명에 속아 이쁘게 담으려 하는 것보다, 그곳에 사는 분들에 대한 예의를 갖추는 게 우선일 듯 하다.

그리고 사실, '산토리니'라는 포장으로 이곳이 관광상품화되고 팔린다 치자. 지역경제에, 이 곳에 사는 분들에게

어떤 혜택이 얼마나 주어질까, 주어지기나 할까. 도리어 구경거리로 전락했다는, 최소한의 자존감마저 망가뜨리는

건 아닐까, 그치만 또 이런 건 너무 앞선 걱정은 아닐까, 여러가지 고민들이 일어나는 건 결국.


어딘가로 가서, 누군가의 일상이 전개되고 있는 공간을 침범해서 렌즈를 들이대고 걷는다는 행위 자체가

지극히도 이기적인 탓인지도 모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