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운동장에 그어진 뱀처럼 꼬불거리는 하얀 선을 따라 줄을 서서 구호용품을 배급받는 일본인들.

사재기도 없었고, 치료를 받을 때도 더 급한 다른 사람은 없었는지 물어보며, 일사분란하고

차분한 대응을 하고 있다는 거다. 그에 더해 몇몇 사람들이 쓰나미가 오는데 막판까지 안내

방송을 하며 마이크를 놓지 않았다거나, 녹아내리는 원전을 막기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원전 속으로 들어갔다거나. 일본인에 대한 미담은 이어진다. 이상할 정도로.


#2. 

일종의 미안함을 동반한 반작용인지도 모른다. 일본에 지진이 나자 한국 언론은 계산기를

두드려 국내 경제의 호재임을 입증하려 애쓰기도 했고, 정치인들은 한국에 산다는 게 다행이라

거침없이 이야기했으며, 무엇보다 일부 정신병자는 '하느님의 뜻'을 운운하며 천벌이라 했다.

다른 사람들도 나을 건 없었다. 이 기회에 일본을 꺽자느니, 일본이 그간 역사적으로 가해온

범죄행위에 대한 응징이라느니, 격하게는 아예 없어졌으면 좋겠다느니. 


#3.

문득 부끄러워진 걸까. 태극무늬를 앞세워 따끈따끈한 감동을 전하자는 쓰레기같은 말이

터져나오고, 수천수만을 헤아리는 사람들이 죽어가는 앞에서 비로소 인간이 보인걸까. 위안부

할머니들의 '국경을 넘어 생명은 소중하다'는 당연한 이야기가 새삼스러워 보일 지경이 되서야.

그에 더해 '아이티' 때와는 다르다느니, '명성높은 외국 언론'들이 일본의 겸양하는 멘탈리티를

부각하고 일사분란한 분위기를 주목하니 왠지 '트렌드'가 그게 아닌가보다 생각한 건 아닐까.


#4.

근거가 있다. 극단에서 극단으로 휘휘 내둘리는 이 나라의 언론 혹은 여론은 이미 숱한 사례를

배출해 왔다. 이번에 그 자극적인 '장자연 편지'에 대한 들불같은 분노는 어떤가. 이미 팩트는

익히 드러났던 사안임에도 그 야설같은 스토리에 반응해서는, 필적 조사 등 객관적인 절차 이전에

불끈 달아올라 버렸다. 그 이전 '중국 총영사 정보 유출'에 대해서는 또 어떤가. 희대의 스파이인

양 묘사되다가, 막판에는 초라한 생계형 브로커의 모습만 남지 않았나.


#5.

대개 실상은 극단과 극단 사이에 있기 마련이다. 팩트는 일본인들이 그렇게 전혀 새로운 질높은

인간성을 보였노라는 격찬과 그들의 '깃발을 따르는' 국민성 및 문화적 특성 때문이라는 질시어린

폄하 사이에 어딘가 존재할 거다. 한점 흔들림없이 사재기도 없고 질서도 잘만 지킨다는 차분한

일본 국민이라는 이미지는 상당부분 자연재해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지침을 마련해 둔 것에 기대어

있었겠지만, 사태가 장기화되고 심각해지면서 조금씩 균열이 나타는 것처럼 보인다. 카트리나때

미국인들은 어땠었는지 돌이켜보면, 지금의 상황이 딱히 예외적이란 느낌은 안 든다.


#6.

문제는, 그 와중에 "재앙 속에서도 빛나는 성숙한 시민정신"이라느니, 저런 게 바로 일본의

저력이라느니 하는 쎈 타이틀들이 은근슬쩍 주입하려는 듯한 고정관념이다. '시민'이 갖춰야
 
할 덕목 중의 그런 차분함과 이타심도 있겠지만, 과연 일본사회가 권리의식, 정치적 민주화,

사회경제적 민주화 따위에 눈뜨인 '성숙한 시민정신'을 갖춘 각성된 시민사회일까. 극단적이지만

그런 표현들이 숨긴 속마음은 이런 거 아닐까. 김문수가 말했듯, "일본 국민은 일이 터져도

대통령 탓을 하지 않는다". 조용하고 다루기 쉽다. 그걸 배우라는 건 아닌가.


#7.

결론. 일본인들이 지금같은 최악의 상황에서 저토록 차분하게 대처하는 걸 신화화하거나

신비화해서는 안 된다.
평소의 교육과 심적 대비, 그에 더한 사회적, 문화적 특성이 발현된

결과이지 무슨 새로운 인간형이 출현했다거나, 우리보다 멀찍이 앞선 '선진'시민이라거나,

우리가 배워야 할 '시민의식'의 궁극이 저런 모습이라거나 식의 이야기로 홀리는 건 곤란하다.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인식이 사춘기 소녀의 마음처럼 냉소와 찬탄으로 휙휙 바뀌는 건 결국

'질투'라는 감정에 사로잡힌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성숙하려면 아직 멀었다.


* 이 글을 쓴 다음날, 아니나다를까 치졸한 비방이 시작됐다.(중앙일보 편집인, 2011/3/16)

"그 풍경은 우리 시민의식을 되돌아보게 한다. 천재지변 탓에 비행기 출발이 늦어도 창구에 몰려가 항의하는 가벼움과 어이없음, 준법 대신 목소리 큰 사람이 행세하는 떼 법, 끼어들기 주행, 남 탓하기의 풍토를 부끄럽게 한다. 우리 부모 세대들은 그렇지 않았다. 자기 탓, 자기 책임부터 먼저 생각했고 염치를 지키려 했다. 그들은 한강의 기적과 국가적 풍모를 만든 세대다. 하지만 어느 때부터 남 탓하기와 떼 법의 억지와 선동의 싸구려 사회 풍토가 득세했다. 일본발 문화 충격은 그 저급함을 퇴출시키는 자극이 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