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일까. 모래먼지가 섞여 대개 뿌옇게 번져나는 하늘 아래, 물이 부족하고 양분이 부족해서 시들시들하게
자라난 나무들도 힘겹게 버티고 있는 그 땅에 여릿하고 가냘픈 꽃들을 심어놓는다는 건.
그나마도 아직 모래폭풍에 당하기 전이라 그런지 꽃잎색깔이 선연했다.
집어삼키면서 착실히, 그리고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이고 있었다. 무겁고 걸쭉한 액체가 압도적인 느낌으로
퍼져나가며 흐르듯 모래폭풍은 그렇게 건조하지만 굉장히 밀도높고 걸쭉해 보이기까지 했다.
그나마 띄엄띄엄 있던 건물들이 파도에 안 먹히려 잠시나마 저항하다가 꿀꺽, 한 입에 삼켜졌다.
내다볼 수 있는 가시거리가 급격하게 짧아졌고, 숨을 들여마시면 거칠고 푸석한 흙냄새가 뱃속까지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지금도 이 모래폭풍의 아가리는 내 뒤로 쉼없이 내달리고 있을 텐데, 대체 몸통은 얼마나 큰거지.
대기의 색깔이 시시각각 변했겠지만, 어느 순간 흙빛에서 그나마 푸른빛을 회복했다고 느낀 것.
좋을 때야 굉장히 쨍쨍, 신나게 반짝반짝거렸다지만. 그나마 투르크메니스탄에, 아쉬하바드 근교에 산업시설이
고도로 갖춰지지 않아서 다행이라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저 흙먼지에 온갖 공업 부산물이나 오염물질이
합쳐진다고 생각하면.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urkmenistan-20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르크 카펫박물관, 내국인보다 23배나 돈을 더 주고도 가볼 만한 곳. (0) | 2010.10.28 |
---|---|
공산독재와 일인독재의 그늘 아래, 아쉬하바드의 끝. (6) | 2010.10.27 |
'발칙한' 발치카 맥주를 아시나요. (2) | 2010.10.23 |
투르크메니스탄의 야경이 대체 어떻길래. (5) | 2010.10.23 |
투르크메니스탄에선 피자 위에 대파를 올려먹더라는. (6) | 201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