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의 영면을 지키는 청룡, 왕이 뉘어진 동쪽벽에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 백제를 중흥시킨 몇몇의 왕중에서도 손꼽히는 왕인 무령왕이 묻힌 곳이다. 그가 실제로 어떻게

생겼었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저 유추해보건대 저렇게 생겼으리라는 게 박물관측의 조심스런 추측.

백제 무령왕릉의 특징은 중국 남조로부터 전래되었다던가, 일정한 사이즈의 벽돌을 촘촘이 쌓아올린 과학적이고

탄탄한 벽돌무덤이었다고 얼핏 국사 시간에 배웠던 거 같다. 무덤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은 언제나 살짝

으스스하다, 그게 실제 무덤이건 모형이건 간에.

그리 넓지 않은 벽돌무덤 공간의 사방에 서서 나머지 삼면을 찍어보겠다고 기를 쓰고 벽 틈새로 몸을

부비적댔지만 쉽지 않다. 서늘하고 교교한 램프의 불빛이 벽돌 틈새로 걸쭉하게 흘러내리는 거 같았다.

제각기 독특한 문양이 새겨진 벽돌이 정교한 가로세로 비례에 따라 아귀를 맞춰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두 장의 벽돌을 합쳐서 저렇게 연꽃무늬가 떠오르는 식의 벽돌이란 건, 실제로 어떻게 쓰일지

어느 방향으로 배치될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준비가 있었단 얘기 아닐까. 우아하고 세련된 느낌에

더해서 섬세하고 정교하기까지.

고분들이 그려내는 저 안온하고도 푸근한 선은 볼때마다 감탄하게 된다. 인공적으로 쌓아올린 흙둔덕이면서도

저렇게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유려한 곡선이라니. 그런 고분 옆구리에 저렇게 잔뜩 녹슨 청동문짝이 숨어서

백제의 옛 왕들로 향하는 길을 내고 있단 걸 생각하면, 저 곡선은 신비롭기까지 하다.

무령왕의 무덤에서 발굴된 그의 왕관. 실제로 쓰였던 건지 아니면 무덤 부장품으로 만들어진 건지는

불명확하다고 하나, 수천년을 지나고서도 저렇게 모양이 건사되어 있는 황금관의 온전함에도 감탄, 또

그 형태를 토대로 반짝반짝하게 만들어낸 재연품의 화려함에도 감탄.

무령왕의 무덤자리를 땅의 신으로부터 샀다는 것을 증명하는 매지권에 새겨졌다는 문구. 토지는 모두

지신으로부터 빌린 거라는 관념은, 얼핏 원시적이고 야만스러워보이지만, 어쩌면 그 땅 위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을 지탱해주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와 같았을지 모른다. 모두가 왕의 땅, 이라거나 돈있는

사람의 땅, 이라는 식으로 권력과 금력을 좇아 땅의 소유가 이전되었다면, 그 결과는 사실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이 대변하고 있지 않은가.

그의 무덤 앞을 지키고 있었다는 상서로운 석물. 등짝에는 호랑이처럼 굵은 줄무늬가 가로로 죽죽 그어져있고,

네 다리에는 불꽃이 일렁이는 것 같다. 게다가 그 다부지고 단단해 보이는 위압감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뿜어내는 포스가 대단하다.

무령왕릉에서 발굴되었다는 귀중한 유산 중에서도 가장 맘을 끌었던 것, 은으로 만들어진 찻잔과 잔받침.

뚜껑 손잡이는 연꽃모양으로 정교하게 세공된 채 금으로 꽃받침장식을 만들어 손잡이와 뚜껑을 이었다.

게다가 찻잔의 실루엣에서 느껴지는 저 완만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선미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