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인지, 한국식으로 읽음 어떻게 읽는지 다 알겠는데 좀체 타이완 사람들과 소통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중례츠'라는 발음 역시 아무리 책으로 보고 눈으로 익혔어도 좀체 입에 붙지가 않아 여전히 낯설기만 하다.
조금 작은 현판이 걸린 채 내부로 들어가는 세 개의 아치형 정문 위에 걸려있었다.
말하자면 여기는 서울의 현충원 같은 곳이랄까. 일제 세력과 중국 내 공산당 세력과 항전하며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를 위해 목숨을 바친, '타이완'의 애국선열을 위한 공간인 거다.
거칠고 하얀 바닥 표면에서조차 섬광처럼 번뜩이는 햇살이 튕겨나왔다.
토해내지고 나니 어느새 북적북적대고 있다. 정문의 뒷면 현판에는 만고유방, 충의천추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이들의 타이완을 향한 '애국'의 의기가 오래도록 전해지리라는 희망과 주문, 그리고 그들의 충성과 '의로움'이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는 계시나 점지와도 같은 의미렸다.
아마도 저 누각 아래 있는 흉상도 장개석의 것이 아닐까 싶은데, 그가 공산당에 쫓겨 내려와 원주민을 압박하며
만들어낸 '타이완'이란 나라에 대한 애국의 대가, 애국의 보상을 위한 공간인 셈이다, 여긴.
다섯 개, 왕이나 제후의 용에는 발톱이 네 개나 심지어는 세 개. 조선시대 왕의 곤륭포니 의복이나 장신구에
나타난 용의 발톱은 늘 네 개였다. 사대교린의 국제질서와 관념 하의 세계였으니 그게 당연한 거였다.
희롱하는 바람 덕에 '청천백일기'가 휘날리는 걸 원없이 봤다. 파란 하늘에 선명히 박힌 하얗고 강렬한 태양,
그리고 온통 시뻘건 핏빛으로 가득한 대지. 그게 청천백일기에 담긴 의미 혹은 비주얼이라는.
17시까지 문을 연다고 하는데, 그럼 17시 정각에도 교대식을 하는 걸까 아님 그냥 위병들이 들어가고 문닫으면
끝인 걸까 모르겠다. 그나저나, 참 촌스럽고 색이 바랠대로 바랜 표지판. 아무리 여기가 국가를 위해 죽어간
영혼들의 애국심과 용맹을 기리는 공간이라 해도, 산 사람은 싸야 할 거 아니냐.
아주아주 얌전히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고, 그러고 있었을 거다.
교대할 위병 두명, 그리고 약간 앞에서 그들을 인솔하는 인솔자 한 명이 팔과 무릎의 각을 탁탁 맞춘 채
구분동작으로 걸어나오고 있었다.
그와 동시에 제자리걸음부터 시작해 서서히 굳었던 몸을 풀기 시작한 위병 둘.
다섯 명이서 내부로 스무 걸음쯤 걸어들어가더니 한참을 총도 돌리고, 군화로 착착 소리도 내고, 그랬다.
움직임은 과히 나무랄 데 없어서 볼 만 했지만, 기본적으로 그런 군대 병정놀이따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요새 많이 자제하고는 있지만 또 울컥, 아뉘 그 EBS 강사가 한 말 다 맞잖아. 군대가서 사람죽이는 거 배워오는
것도 맞고, 군대가 애초 사람죽이고 나라지키려고 가는 거잖아. 게다가 그에 더해 온갖 사회의 더러운 꼴의
원형에 익숙해져 오는 것도 맞고, 그렇게 자발성도 없고 동기부여도 안되는 허섭스런 징병제도의 부작용이
긍정적 효과보다 크다 싶으면 다른 방식을 찾아가는 것도 맞는 거고. 근본적으로는 군대나 경찰, 국가로부터
인증된 합법적 폭력집단이 해체되어야 하는 것도 맞는 거고. 뭐가 문제인 거지..?
가족을 지키고 '진충보국'하는 모범사례겠지만, 사실 그들은 적국의 군인과 민간인을 살상함으로써 그걸 가능케
하는 거다. 전쟁터에 총알받이되러 나간다, 는 표현의 어폐는 그걸 숨기는데 있다. 전쟁터에는, 전쟁은, 사람을
죽이러 가는 거다. 그리하여 파란하늘, 하얗게 작렬하는 태양 아래 대지를 온통 적의 피로 붉게 물들이려는 거다.
해군인 걸까. 왠지 삼군이 번갈아 한 시간씩 지키고 있지 않을까 하는 심증이 굳어졌지만, 그걸 확인하자고
한시간이나 더 여기서 개기자니 딱히 볼 거라곤 교대식밖에 없는 곳에 발이 묶일 순 없다 싶어서 포기.
똥그랗게 뜨고 있는 게 꽤나 귀엽다.
왼다리 들고 오른다리 부딪혀. 총 한바퀴 돌리고 멜빵끈에 손가락 걸어, 뭐 요런 식의 성마르고 까탈스런
청기백기 게임처럼 한없이 지속될 거 같은 그들의 움직임이 기이한 침묵 속에 계속되었다. 들리는 소리라곤
가끔씩 부딪혀주는 군화발 소리, 그리고 휘둘려지고 꽉 쥐여지는 총에서 비롯하는 철컥대는 쇳소리.
잠시 어물대는 사이 관광객들을 다시 꾸역꾸역 버스 안으로 소환되어 쌩하니 떠나고 말았다.
병정 둘이 남았다. 왠지 그들이 딛고 선 중례츠의 바닥이 온통 붉은 핏빛으로 보였다.
'[여행] 짧고 강렬한 기억 > Taiwan-20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춤연습하기 좋은 장소, 국부기념관. (4) | 2010.08.02 |
---|---|
통통배가 오가는 단수이항의 실루엣. (2) | 2010.07.30 |
타이완 길바닥의 껌딱지 오토바이 (1) | 2010.07.29 |
660톤짜리 쇠공으로 지탱하는 타이페이101. (4) | 2010.07.28 |
타이완의 별다방에선 '동방미인'차를 판다. (2) | 201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