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앞두고 발휘되는 통찰력.

'인생수업'에서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통찰력을 빌어 하는 이야기는 그런 거 같다. "지금의 삶으로 충분해,

더이상 바라는 것은 없어"라고 생각할 만큼 주어진 현실에 순응하라, 지금 여기 내앞에 놓인 순간에 만족하라,

그리고 (매끄럽게 배려된) 감정표현을 두려워하지 마라. 죽음을 앞두고야 깨닫지 말고, 평소부터 정말 중요한

것들을 잊지 말고 살아야 하지 않을까, 라는 조심스럽지만 강력한 제안이다.



다르지만 같아 보이는 것들.

순응과 포기는 다르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고정된, 주어진 부분이 뭔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해서는 더이상

떼쓰거나 욕심부리지 않는 것이 순응이다. 반면 어떻게 잘 해보면 자신이 움직여볼 수 있는 것들임에도 지레

힘들다거나 두려워서 손을 놓는 것은 포기하는 거다. 그렇지만 생활로 들어가 구체적으로 보자면 어려워진다.

어디까지가 내가 손대면 바꿀 수 있을 부분일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해도 마냥 손놓고 있을 수는 없으니

무엇을 해야 할지, 순응하는 마음자세와 포기하는 마음자세는 대체 어떻게 다른 건지.


현실만족과 현실안주는 다르다. 이른바 Carpe Diem, 지금 이순간에 대해 충만함을 느끼며 매 순간 살라는

이야기는 그럴듯하다. 인생수업의 이 부분은 이미 동양철학, 특히 불교철학에서 직접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보디사트바, 보살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매순간, 매행동거지 하나하나에 온통 주의를 집중해서 살게 된다,는

이야기나 '애인을 만날 때 온 정신을 기울여 이야기를 나누고 예컨대 담날 회의, 일거리 생각은 하지 말라'는

현대적 이야기나 핵심은 같다. 그렇지만 역시, 추상에서 구체로 들어가면 어려워진다.

HERE & NOW, '지금 여기'라는 지점이 대체 무엇일까. 온몸으로 살아내야 할 지금의 현실이라 느끼는 건

아주 피상적인 껍데기 현상에 불과할 수 있다. 자신이 연기해야 할 역할도 수십가지인 판에, 자신이 살고

있는 '지금 여기의 현실'이란 것 역시 잘 생각하면 깔끔하게 정답이 나오는 단순한 문제가 아닌 거다. 쉽게

던지는 '순간에 충실해'란 말이 '점심시간이지만 배가 고프진 않아'란 말과 비슷해지는 건 그래서다. 뭔가

의미는 알겠는데 어쩌란 건지 모르겠는.


감정표현과 감정전가도 다르다. 적절한 때 적절한 수준으로 감정을 표출, 화를 내는 것이던 화를 내겠다는

예고이던 해주는 게 본인에게나 서로의 관계에 좋다는 말은 귀담아 들어야 할 말이다. 특히 나처럼 딱히

화내지 않고 시니컬하게 반응하며 해소해 버리는 스타일이라면 더욱 그렇다. 반면 무턱대고 화만 내는

사람이나 화낼 꼬투리만 잡으려는 듯 보이는 사람, 그런 건 감정표현이 아니라 감정전가에 불과하다. 자신이

화났으니 너도 이만큼 화나게 만들어주마, 작정한 듯 계속 갈구고 찌르고 건드리는 사람들. 역시 개념적으로야

딱 떨어지는 정의와 설명이 주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혼동스럽다.

그러한 감정표현이 자신이 감내해야 할 상황, 받아들여야 할 불만족이나 분노를 다른 이에게 배구공 토스하듯

전가시키는 일인지 아니면 정말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의 어필이 가능하도록 안배된 일인지. 또 내가 생각컨대

적절한 감정표현의 범주에 들어가는 행위가 상대의 입장에선 전혀 불합리하고 치졸한 행위로 보일 수도 있다.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똑같아 보인다는 문제.(당장 죽지 않는다는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저자들의 탓은 아니다. 그렇게 구분하기 쉽고 해내기 쉬운 일이라면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죽을 때가 되서야

겨우 깨닫고 인생을 새롭게 반추하게 되겠는가. 심지어 평생 그런 '정말 중요한 가치'들을 깨닫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도 많은 판에 말이다. 게다가 머리로 알았다, 라고 아무리 외친들 게으른 몸이

그에 따르는 건 별개 문제다. 죽음이 턱밑까지 쫓아왔음을 느끼고 나서야 슬그머니 마음을 돌려먹는 거다. 


주관적인 입장에서, 나는 이런 교훈들을 체화시켜 살라고 할 때 몇가지 문제점을 의식하게 된다. 우선 타인의

시선에 대해 신경이 쓰인다는, 지극히도 유치하고 허세스런 문제다. 마치 식물이 빛을 따라 움직이듯 사람도

타인을 따라 움직이는 '굴타인성'이 있는 거니까 그렇다고 치기로 하고, 순응과 포기, 현실만족과 현실안주,

그리고 감정표현과 감정전가는 대개 거의 비슷한 외형으로 나타난다. 지금의 인생에 만족해, 라는 말을 뱉는

사람의 머릿속에는 당당한 주체성과 현실만족감이 자리해 있을지 몰라도, 겉으로 보기엔 현실에 안주하거나

심지어 거짓부렁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거다. 심지어 스스로도 불안해진다.


이건 사람들이 대개 타인의 이야기를 너무나 쉽게 하고-그만큼이나 쉽게 잊어버리기도 하지만-무책임하게

한다는 경험칙 때문에 더욱 신경쓰이는 상황이 된다. 다른 사람의 내면이 얼마나 복잡다단하고 얼기설기

꼬여있는 줄도 모르면서 잘도 훑어내려 몇몇 문장으로 정리해버리는 우악스런 사람들. 게다가 스스로 그러한

무책임한 '평론가'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더욱 스스로를 검열하고 재우치게 되는 바보스런 처지에 빠지기도

하는 거다.


물론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회광반조'와 당장에도 삶의 현장에서 치열한 격전을 벌이며 온갖 더러운 꼴을

보아야 하는 쌩쌩한 생활인의 마인드는 다를 수 밖에 없다고도 생각한다. 생일을 맞을 때마다 살 날이 한 해

더 줄었구나, 라고 생각하는 것에서도 더 나아가 오분후에 내가 죽을지도 몰라, 라고 생각하며 살 수는 없지

않은가. 당장 초상집에 가서도 처음의 어색함과 침중함도 잠시, 금세 배고프고 졸립고 우습고 욕망하는 게

사람인데 말이다. 배울 게 많으니 수업을 듣는 거니깐, 굳이 부끄러워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 반잔이나, 라고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소중한 존재가 있다면.

헬렌 켈러가 이야기했다는 말, "삶은 하나의 모험이거나 아무것도 아니다." 그곳에 쓰인 '삶'이라는 단어는,

혼자만의 삶을 이야기하는 게 아닌 게다. '우리'의 삶은 하나의 모험이거나 아무것도 아니다. 라고 고쳐

읽어야 할 거라 생각한다. 결국은 '길동무'의 문제. 아무리 혼자서 인생을 두고 '물 반잔이나'라는 식으로

고쳐 생각하려 애쓰고 그에 맞춰 살아보려 해도, 주위 사람들이 전부 '물 반잔밖에'라는 마인드로 평가하고

충고하고 개입한다면 금세 꺽일 수 밖에 없을 거다. 생각보다 인생은 길지 않던가.


이런 류의 다른 책들과는 달리, '인생수업'은 타인을 변화시킨다거나 타인과 함께 행복해진다는 식의

이야기에는 굉장히 조심스럽다고 느꼈다. 어디까지나 자신의 평화, 자신의 행복을 찾는 법에 집중하고

있어 보인다. 어쩔 수 없다. 자기 하나 바로세우기도 힘든데 다른 사람까지 어떻게 해보겠다는 건 지나친

과욕이거나 자만인지도 모른다. 어차피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고 모든 사람의 예스를 얻을 수도 없는 거다.

다만 인생에 대한 비슷한 자세를 가진 자기 편 한 명 정도만 든든하게 버텨주면 된다. 그저 꽃밭에서 꽃들이

제각기 자신의 무거운 꽃대궁을 쳐들고 꽃잎을 틔워내어 함께 아름답듯, 그렇게 누군가-그게 정말 단 한명이라

할지라도-와 함께 햇볕을 쪼이고 바람을 맞으며 '반잔 씩이나'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 그게 겸손해진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일지 모르겠다.


덧댐. 제목이 인생수업, 수업의 시작과 끝이 인생의 시작-탄생과 끝-죽음과 맞닿아 있다면, 아직 이렇게도

사는 게 뭔지, 무엇을 좇아 살아야 할지 모르는 건 어쩜 당연할지도 모른다. 왜 등산나오신 아줌마 아저씨들이

흔히 5학년이네 6학년이네 하는 말이 유난히도 와닿게 만드는 책이다.


인생 수업 - 8점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외 지음, 류시화 옮김/이레

+ Recent posts